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22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고자 62개교 연구·선도학교의 학생 선택 교육과정 편성, 소인수 과목, 고시 외 과목, 공동교육과정,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전반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선도학교의 경험 및 연차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및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본격 적용 전에 전국의 모든 학교에서 운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준비 시간을 확보하는 것,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수요를 반영한 선택 과목을 개설 성과 이면에는 교사의 다과목 지도, 진로·학업 설계 지도, 시간표 편성 등에 따른 추가 행정 업무 등이 작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업무 효율화, 시간표 작성 등의 시스템 지원, 교·강사의 원활한 수급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데이터의 범위를 확대하고 축적하여 고교학점제 경험과 연차에 따른 종단적 변화나 추이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현석·박소영·이지은·안윤주·손연태·서봉균(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경북 중소도시 공·사립 및 읍면지역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매뉴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3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1).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사례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4 교육부(2018).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 방향 발표. 2018.8.17. 미소장
5 교육부(2021a).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 계획. 2021.2.16. 미소장
6 교육부(2021b).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안)(2022-2024). 2021.8.23. 미소장
7 교육부(2021c).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발표. 2021.11.24. 미소장
8 김동욱(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및 학생선택 경향성 분석. 교육과정연구, 37(2), 131-157. 미소장
9 김영은·박진용·백경선·이광상·이미영·이영미·허예지(2022).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현장 실행 모니터링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0 김현미·이주연·이수정·김태환·이상아·김기철(2020).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현황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1 이미숙·이광우·김진숙·백경선·이주연·김영은·이수정·이민형·이상아·임유나·김정빈(2019).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2 이상은·백선희(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교육과정연구, 37(2), 79-105. 미소장
13 이수정·곽혜정·이미영·이승미·전호재·허예지(2022).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현황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4 이주연·이광우·권점례·백경선·배화순·전호재(202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5 이지연·김주현·김혜선·송은주·엄은숙·장창곡(보조연구원)(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인천 대도시 공립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6 한주·김선희·박보람·이경옥(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강원 중소도시 공립 및 읍면지역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7 홍원표·조복희·한은경·김용진·오창민·고석영(연구조원)(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서울 대도시 국·공·사립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