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땜빵용 강사의 처우, 교사계급 그리고 수업 열정 = The solder lecturers’ treatment, class and the passion for a lecture : about part-time lectur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 중등학교 시간제 강사를 대상으로 | 현영섭, 배선미, 신제일, 박상연 | p. 153-178 |
|
|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과 경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ilot schools | 김영은, 허예지, 백경선 | p. 179-20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석·박소영·이지은·안윤주·손연태·서봉균(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경북 중소도시 공·사립 및 읍면지역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2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매뉴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3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2021).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사례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4 | 교육부(2018).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 방향 발표. 2018.8.17. | 미소장 |
5 | 교육부(2021a).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 계획. 2021.2.16. | 미소장 |
6 | 교육부(2021b).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안)(2022-2024). 2021.8.23. | 미소장 |
7 | 교육부(2021c).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발표. 2021.11.24. | 미소장 |
8 | 김동욱(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및 학생선택 경향성 분석. 교육과정연구, 37(2), 131-157. | 미소장 |
9 | 김영은·박진용·백경선·이광상·이미영·이영미·허예지(2022).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현장 실행 모니터링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0 | 김현미·이주연·이수정·김태환·이상아·김기철(2020).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현황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1 | 이미숙·이광우·김진숙·백경선·이주연·김영은·이수정·이민형·이상아·임유나·김정빈(2019).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2 | 이상은·백선희(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교육과정연구, 37(2), 79-105. | 미소장 |
13 | 이수정·곽혜정·이미영·이승미·전호재·허예지(2022).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현황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4 | 이주연·이광우·권점례·백경선·배화순·전호재(2021).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공동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5 | 이지연·김주현·김혜선·송은주·엄은숙·장창곡(보조연구원)(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인천 대도시 공립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6 | 한주·김선희·박보람·이경옥(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강원 중소도시 공립 및 읍면지역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17 | 홍원표·조복희·한은경·김용진·오창민·고석영(연구조원)(2019). 2019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서울 대도시 국·공·사립 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