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기업규모가 지속가능 공급사슬관리와 공급사슬 회복탄력성, ESG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mpany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SCM, SCRES and ESG performance : comparison of large enterprises and SMEs : 대기업과 중소기업 비교 | 전성근, 이태원, 김희경, 김승철 | p. 1-30 |
|
|
우리나라 중소기업지원정책의 효과에 대한 메타연구 = Meta-study on the effects of SME support policy in Korea | 정근주, 원이중 | p. 31-58 |
|
|
프랜차이즈협동조합의 모델 재정립을 통한 지원정책개선 및 실행로드맵 제안 = Proposal for policy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roadmap based on re-establishment of the model of franchise cooperatives | 최우진, 이상훈, 최우석, 이유빈, 김성미, 안정아, 주가연, 정유리 | p. 59-86 |
|
|
Social entrepreneurship in Kyrgyzstan = 키르기스스탄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 정치사회적 환경이 사회적 기업 창업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xploring the influence of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process of social entrepreneurship | Oksana Nam, Ji-Hoon Park | p. 87-11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민철. (2019). 가맹사업법상 구입강제 행위에 관한 법적 고찰과 거래상 갈등개선 방향. 프랜차이징저널, 5(2), 86-115. | 미소장 |
2 | 고태순. (2016). 협동조합 정체성 인식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협동조합 임직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광운대학교. | 미소장 |
3 | 김성수. (2004). 프랜차이즈 본부 및 가맹점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2(1), 143-170. | 미소장 |
4 | 김세운, 정현, 서인석. (2019). 협동조합의 조직성과와 영향요인, 그리고 유형의 조절효과: 협동조합 경영공시 자료를 활용하여. 지방행정연구. 33(2), 181-208. | 미소장 |
5 | 김영균. (2015). 가맹사업에 있어서 대․ 중소기업의 상생협력. 경제법연구, 14(2), 149-182. | 미소장 |
6 | 김정원. (2016). 소셜 프랜차이징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해. 생협평론, 2016년가을호, 29-45. | 미소장 |
7 | 김정원. (2020). 프랜차이즈형 협동조합의이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미소장 |
8 | 김주영, 김선진, 박주영, 염규석, 이경희, 장재남. (2020). 프랜차이즈 사업의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小考 (소고). 프랜차이징저널, 5(3), 77-98. | 미소장 |
9 | 김태희, 주성희. (2018). 우수 프랜차이즈등급에 따른 특성 차이 연구. 프랜차이징저널, 3(2), 32-53. | 미소장 |
10 | 김현순. (2018). 가맹본부와 가맹점사업자간 성과분배의 공정성 강화를 위한 거래구조 연구. 프랜차이징저널, 4(1), 22-45. | 미소장 |
11 | 김형우. (2020).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협동조합 전환요인에 관한 연구: 보리네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미소장 |
12 | 박주영, 이원정. (2019). 자영업 대책으로서우수 상생프랜차이즈 육성의 필요성. 프랜차이징저널, 4(2), 103-123. | 미소장 |
13 | 심인숙. (2014). 영리기업조직의 한 유형으로서의 협동조합에 관한 소고-협동조합기본법상 일반협동조합의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선진상사법률연구, 2014, 33-83. | 미소장 |
14 | 윤길순, 신재민. (2018). 지속가능한 소상공인협동조합.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미소장 |
15 | 임현철. (2004).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관계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 미소장 |
16 | 장종익. (2014). 프랜차이즈모델형 사업자협동조합의 발전전략. 워킹페이퍼,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서울. | 미소장 |
17 | 장종익. (2016). 협동조합은 왜 프랜차이즈에 주목하는가. 생협평론, 2016년 가을호, 16-28. | 미소장 |
18 | 장종익. (2019).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협동조합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37(3), 67-83. | 미소장 |
19 | 장종익. (2020). 협동조합형 소매체인의 상대적 장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38(3), 155-175. | 미소장 |
20 | 진문근. (2018).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산업의 로열티 부과 현황과 로열티 방식전환에 관한 실효성 검토. 프랜차이징저널, 4(1), 64-97. | 미소장 |
21 | 최인식, 이상윤. (2012). 프랜차이즈산업의협동조합에 관한 연구.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3권, 1-19. | 미소장 |
22 | 최준규, 이유진, 윤소은. (2021). 경기도 사회적경제 협업사업 성과 및 개선방안, 정책연구, 2021, 1-135. | 미소장 |
23 | 한창용. (2014). 중소기업으로서 협동조합 의 가능성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ISSUE PAPER, 2014(348), 1-127. | 미소장 |
24 | Seo, M. K. (2014). Franchise management theory. Seoul, Bury Communication Publishing. | 미소장 |
25 | Temple, N. (2011). The Social Franchising Manual. UK, Social Enterprise Coalition. | 미소장 |
26 | Tracey, P., & Jarvis, O. (2007). Toward a theory of social venture franchising.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1(5), 667-685. | 미소장 |
27 | Zafeiropoulou, F. A., & Koufopoulos, D. (2014).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al marketing paradigm on the governance of the novel channel format named social franchising:An exploratory qualitative analysis of four social franchises from the UK'. Journal of Developmental Entrepreneurship, 19(2), 145-15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