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선경, 최윤, 2017, “중증뇌병변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9(1): 199-222. |
미소장 |
2 |
강희정, 2019, “의료 격차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70: 18-30. |
미소장 |
3 |
곽정란, 김병하, 2004, “장애담론의 정치적 이해: 장애인당사자주의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저널:이론과 실천』, 5(3): 249-263. |
미소장 |
4 |
권지성, 2018, 『사회복지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맥락-패턴 분석 방법』,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5 |
김대성, 2003, “장애인당사자주의 운동의 참여와 연대정신”, 『뉴 래디컬 리뷰』, 18: 170-187. |
미소장 |
6 |
김예리, 박지연, 2010, “장애아동 부모들의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4(4): 445-465. |
미소장 |
7 |
김용득, 2004, “한국 장애인복지 변천과 대안 담론 모색”, 『한국장애인복지학』, 1: 147-178. |
미소장 |
8 |
김창엽, 2020, 『건강의 공공성과 공공보건의료』, 파주: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9 |
김현민, 유진선, 2018, “정신장애 당사자의 권익옹호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41: 59-85. |
미소장 |
10 |
대전시 보도자료, 2022. 11.16., https://www.daejeon.go.kr/drh/drhStoryDaejeonView.do?boardId=blog_0001&categoryS eq=293&menuSeq=1626&ntatcSeq=1416604138 |
미소장 |
11 |
대전시 보도자료, 2023.3.15., https://daejeon.go.kr/drh/drhStoryDaejeonView.do?boardId=blog_0001&categorySeq=&menuSeq=1479&pageIndex=1&ntatcSeq=1424068759 |
미소장 |
12 |
박명숙, 2008, “장애아동 부모들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아동과 권리』, 12(4): 421-448. |
미소장 |
13 |
박미옥, 유숙, 정원철, 2020,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에 참여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경험에 관한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9(1): 81-109. |
미소장 |
14 |
박인용, 2007, “한국사회 장애인 부모운동 연구 : 장애인교육권연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
미소장 |
15 |
박인용, 2017, “발달장애인 부모운동과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 욕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학술발표논문집, 71-99. |
미소장 |
16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22, 12, 19, “2023년에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 지속 지원한다!”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 age=4&CONT_SEQ=374312 |
미소장 |
17 |
신희정, 2016, “대전시 중증장애아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지원욕구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6(2): 37-72. |
미소장 |
18 |
오세근, 이명호, 2022, “정신장애인 복지의 패러다임 전환으로서 ‘당사자주의’: 새로운 패러다음으로서 함의와 사상적 체계화의 방향 설정을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25(1): 105-148. |
미소장 |
19 |
유동철, 2017, “연대와 갈등사이-한국장애인운동사”, 한국장애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16. |
미소장 |
20 |
이미정, 주경희, 남세현, 우승명, 2019, “당사자주의관점에서 본 성인발달장애인의 농촌지역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인문사회 21』, 10(3): 877-892. |
미소장 |
21 |
이연희, 황순영, 2013,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293-314. |
미소장 |
22 |
이영화, 정희경, 2018, “장애인당사자의 장애인운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61(3): 23-39. |
미소장 |
23 |
이익섭, 2005, “장애인 당사자주의와 장애인 인권운동: 그 배경과 철학”, 한국장애인인권포럼,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장애인당사자주의 대토론회 자료집, 5-21. |
미소장 |
24 |
이정은, 조미형, 이승영, 최권호, 김동석, 2020,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시작이다』, 서울: 마인드북스. |
미소장 |
25 |
임종한, 2017, “장애인 건강권 보호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장애인 건강 주치의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4: 41-50. |
미소장 |
26 |
장창수, 최권호, 김명희, 2017. 『대전 어린이재활병원 건립 및 운영방안 연구』, 대전: 대전세종연구원. |
미소장 |
27 |
조유진, 김수영, 2016, “뇌병변 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생존하기: 수동적 행위자에서 능동적 행위자로 거듭나기”, 『사회복지연구』, 47(1): 93-121. |
미소장 |
28 |
최권호, 이정은, 안성호, 2021, “풀뿌리 옹호활동으로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설립 운동의 과정과의미: 정치적 기회구조의 확대와 유연한 연대”, 『비판사회정책』, 72: 153-183. |
미소장 |
29 |
최복천, 김유리, 2015, “중증 뇌병변장애 아동의 건강·의료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부모 인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3): 111-136. |
미소장 |
30 |
최창현, 2022, “정신장애인 ‘당사자’운동의 가능성: 정신장애인 운동 내 당사자성 논란과 정신장애차별주의적 보조금 지원 정책의 문제점”, 『한국문화인류학』, 55(3): 3-55. |
미소장 |
31 |
최희경, 2014,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운동으로서의 발달장애인 부모운동 참여자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가족과 문화』, 26(2): 38-79. |
미소장 |
32 |
하경희, 2021, “한국에서의 정신장애인 당사자 운동의 현황과 과제: 당사자 활동가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71: 391-430. |
미소장 |
33 |
허준, 이수정, 2019, “아버지의 장애인 부모운동 참여 경험 분석”. 『학부모연구』, 2019, 6.2:101-126. |
미소장 |
34 |
Braun, V. and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
미소장 |
35 |
Boshoff, K., Gibbs, D., Phillips, R. L., Wiles, L., and Porter, L., 2016, “Parents' voices:why and how we advocate, A meta-synthesis of parents' experiences of advocating for thei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42(6): 784-797. |
미소장 |
36 |
Butler, J., 1990(2008), 『젠더 트러블: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전복』, 조현준 역, 서울: 문학동네. |
미소장 |
37 |
Charlton, J.I., 1998, 『Nothing about us without us: Disability oppression and empowermen t』, Univ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38 |
Chaudhary, S., Avis, M., and Munn-Giddings, C., 2010, “The lifespan and life-cycle of self-help groups: A retrospective study of groups in nottingham”, UK. Health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8(4): 346-354. |
미소장 |
39 |
Heery et al., 2004, “The trade union response to agency labour in Britain”, Industrial Relations Journal, 35(5): 434-450. |
미소장 |
40 |
Humphreys, K., 1997, “Individual and social benefits of mutual aid self-help groups”, Social Policy, 27(3): 12-19. |
미소장 |
41 |
Jackson, J. B., Steward, S. R., Roper, S. O., and Muruthi, B. A., 2018, “Support group value and desig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or profound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48(12): 4207-4221. |
미소장 |
42 |
King, G., Stewart, D., King, S., and Law, M., 2000,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issues affecting the longevity of self-help group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0(2): 225-241. |
미소장 |
43 |
Maton, K. I., Leventhal, G. S., Madara, E. J., and Julien, M., 1989, “Factors affecting the birth and death of mutual‐help groups: The role of national affiliation, professional involvement, and member focal problem”,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5): 643-671. |
미소장 |
44 |
Morrison, C.A., Woodbury, E., Johnston, L. and Longhurst, R., 2022, “Everyday activisms:Parental places and emotions of disability activism in Wellington, Aotearoa New Zealand”. Area, 54(1): 126-134. |
미소장 |
45 |
Oliver, M., 1990, 『The politics of disablement』, London: Macmillan. |
미소장 |
46 |
Ryan, S., and Cole, K. R., 2009, “From advocate to activist? mapping the experiences of mothers of children on the autism spectrum”,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2(1): 43-53. |
미소장 |
47 |
Seebohm, P., Chaudhary, S., Boyce, M., Elkan, R., Avis, M., and Munn-Giddings, C., 2013, “The contribution of self-help/mutual aid groups to mental well-being”,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1(4): 391-401. |
미소장 |
48 |
Shakespeare, T., 2006(2013), 『장애학의 쟁점: 영국 사회모델의 의미와 한계』, 이지수 역, 서울:학지사. |
미소장 |
49 |
Shilling, V., Morris, C., Thompson‐Coon, J., Ukoumunne, O., Rogers, M., and Logan, S., 2013, “Peer suppor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disabling conditions: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55(7): 602-609. |
미소장 |
50 |
Solomon, M., Pistrang, N., and Barker, C,, 2001, “The benefits of mutual support group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1): 113–132. |
미소장 |
51 |
Wituk, S. A., Shepherd, M. D., Warren, M., and Meissen, G., 2002,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rvival of Self‐Help group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3): 349-366. |
미소장 |
52 |
Wright, A. C., and Taylor, S., 2014, “Advocacy by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ctivities, processe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40(5): 591-605. |
미소장 |
53 |
“명칭 끝나면 운영비… 대전·충남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산 넘어 산’”, 대전일보, 2022년 8월 22일. 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9800 |
미소장 |
54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2023년 4월 20일 검색, “장애인건강권을 왜곡하는 전달체계구축안을 거부한다!”. http://kodaf.or.kr/bbs/board.php?bo_table=B02&wr_id=121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