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소비자가 도심과 해안지역에 있는 향유적인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 :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ustomer decision on the hedonic café between downtown vs. coastal area : focusing on the Busan area / 이지현 ; 서주환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3
2.1. 향유적인 카페의 특성 3
2.2. 부산의 대표적인 향유적인 카페 3
2.3.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 5
III. 연구 방법 10
3.1. 연구모형 10
3.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0
3.3. 변수의 특성 10
IV. 연구 결과 11
4.1. 표본의 결과 분석 11
4.2.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1
V. 결론 및 시사점 14
VI.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6
참고문헌 16
Abstract 2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경구 (2023), “해안가 베이커리카페의 서비스회복 공정성이 고객감정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해양관광연구, 16(1), 49-66. | 미소장 |
2 | 강혜숙 (2017), “개인 커피 전문점 선택 속성이 이용고객의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및 연령 차이검증,” 한국외식산업학회, 13(2), 61-78. | 미소장 |
3 | 국토교통통계누리(2022), “자동차등록현황(성별/연령별)”, http://data.seoul.go.kr/dataList/10734/S/2/datasetView.do#. | 미소장 |
4 | 금진우 (2021), “장소를 활용한 영도지역 공간 스토리텔링적용 방안,” 조형미디어학, 24(2), 38-47. | 미소장 |
5 | 김경진 (2013), “입지와 종업원의 특성이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6(3), 781-800. | 미소장 |
6 | 김기동, 이재숙, 최웅 (2021), “SIT 참가동기가 지각된 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릉 커피여행 참가자를 대상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7(3), 21-34. | 미소장 |
7 |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수진, 권정윤, 이준영, 이향은, 한다혜, 이혜원, 추예린 (2022), 트렌드 코리아2023, 미래의 창. | 미소장 |
8 | 김두현, 고재윤(2020), “교외베이커리카페선택속성이만족도와충성도에미치는영향- 심리적거리의차이-,”호텔리조트연구, 19(4), 139-161. | 미소장 |
9 | 김성수, 한지수, 양동휘 (2018), “감성적 소비가치가 만족과 주관적 웰빙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디저트카페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 24(1) 1-12. | 미소장 |
10 | 김성조 (2021), “관광 상품의 시간과 공간적 거리가 상품선택결정과선택만족도에 미치는영향: 해석수준이론 적용,” 관광학연구, 45(1), 109-129. | 미소장 |
11 | 김용일, 남장현 (2015), “디저트카페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17(5), 188-203. | 미소장 |
12 | 김우성, 허은정 (2007),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 소비자들의 소비관련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비교,”소비문화연구, 10(4), 31-53. | 미소장 |
13 | 김재환, 이정훈, 강명수, 안제성 (2020), “편의체험과 쾌락적 체험 구성요인이 카페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기내식음료서비스 체험에 대한 함의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8(6), 79-98. | 미소장 |
14 | 김태희, 채선주, 김철원 (2013),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커피 소비행동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2(2), 93-112. | 미소장 |
15 | 김현미 (2008), “자녀 연령별 여성의 도시기회 접근성의시․공간적 구속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43(3), 358-374. | 미소장 |
16 | 데일리안 (2023.02.06), “커피 프랜차이즈 창업 성공 조건은? …가성비 메뉴와 소형 매장,” https://www. dailian.co.kr/news/view/1198602/?sc=Naver. | 미소장 |
17 | 라선아, 김지호, 이준영, 김소연(2018), “창문이크고천장이 높은 카페를 좋아하시나요?: ‘지각된 공간감’이‘순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33(4), 1-28. | 미소장 |
18 | 문지혜, 이준영, 라선아, 김지호, 김소연 (2019), “소비 공간으로서 카페의 의미 분석 연구,” 소비문화연구, 22(4), 153-174. | 미소장 |
19 | 박수옥, 이웅규 (2019), “해변관광지의 명소화를 위한 카페거리 경관조성 방향 연구,” 한국경관학회, 11(2), 1-20. | 미소장 |
20 | 박은경, 김신원 (2017), “신도시 특화거리의 색채에 관한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8(6), 259-270. | 미소장 |
21 | 박희용, 원철식, 김금영 (2018), “커피전문점 이용객의 웰빙 라이프스타일이 웰빙인식,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진구 전포 카페거리를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0(7), 339-356. | 미소장 |
22 |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공식 블로그 (2020), “뉴욕타임즈가 선정한 부산 전포카페거리를 아시나요?,”https://blog.naver.com/urcbusan/2219110 07758. | 미소장 |
23 | 세계일보(2021. 1. 30), “한국커피전문점시장세계3위... 카드사와 협업 확산,”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128522100. | 미소장 |
24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19),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_전국카페점포수,” https://www.data.go.kr/data /15067614/fileData.do. | 미소장 |
25 | 손문금 (2010), “서울시민의 이동행동에 있어서의 젠더차이: 생활시간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1), 1-25. | 미소장 |
26 | 송균석, 범상규 (2012), “손실회피성향에서 시간적 거리감과 해석수준 효과 : 사전예측여부와 지각된 주의강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5(3), 47-65. | 미소장 |
27 | 송시연 (2016), “여행업 서비스에 있어서 시간적 거리와 공간적 거리의 효과,” 서비스마케팅저널, 9(2), 35-42. | 미소장 |
28 | 어수하, 송정미 (2021), “수혜대상자와의 공간적 거리와 사회적 거리에 따른 기부광고 메시지 유형별 효과,”한국광고PR실학회, 14(3), 89-123. | 미소장 |
29 | 오동훈, 이지가, 이호택 (2023), “화장품 매장의 서비스스케이프와 인적서비스가 지각된 품질과 고객성과에미치는 차별적 영향: 심리적 의무감의 조절효과,”마케팅논집, 31(1), 86-107. | 미소장 |
30 | 오세진, 장원호 (2022),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서울시 핫플레이스 카페의 공간소비 양상분석 - 인스타그램내카페관련게시물을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12(26), 177-210. | 미소장 |
31 | 이광수, 이정수, 홍상진, 전봉재(2010), “공간적 거리와 한방병원 서비스의 이용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4(2), 23-31. | 미소장 |
32 | 이규태, 이광옥 (2021),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외식고객의 소비지출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5(2), 161-173. | 미소장 |
33 | 이동우 (2021), “여대생의 외식소비성향이 디저트 카페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27(5), 11-21. | 미소장 |
34 | 이세진(2010),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소비성향연구:현재의 X세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3(1), 83-112. | 미소장 |
35 | 이원옥 (2022), “Tobit 모형을 활용한 디저트카페 외식비지출결정요인 분석,” 관광연구저널, 36(3), 219-229. | 미소장 |
36 | 이인영, 주영진 (2018), “친환경제품 구매시 매장 선택요인,” 한국유통학회, 23(1), 25-55. | 미소장 |
37 | 이형주, 서지연 (2022), “디저트카페 이용자의 감성적 소비가치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38(3), 121-132. | 미소장 |
38 | 전무형, 김도년, 손세형 (2014), “가로 활성화를 위한 노천카페거리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3), 91-106. | 미소장 |
39 | 정양식 (2019), “디저트 카페의 감성적 소비가치가 심리적행복감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25(7), 11-19. | 미소장 |
40 | 조은일, 이병걸 (2008), “제주시와 부산시 해안변의 해양경관보전을 위한 경관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보시스템연구, 14(2), 127-133. | 미소장 |
41 | 지용현, 박은아 (2020), “환경오염지역의 공간적 거리와 메시지유형에따른친환경광고의설득효과,” 사회과학연구논총, 36(1), 5-28. | 미소장 |
42 | 차경천, 성두원, 유필화 (2017), “커피가격과 물리적 거리는 상관이 있는가?,” 유통연구, 22(2), 1-16. | 미소장 |
43 | 최막중, 김미옥 (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대학로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지, 36(2), 153-162. | 미소장 |
44 | 최성임, 박정열, 이민석(2010), “커피전문점방문수요결정요인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12(2), 150-161. | 미소장 |
45 | 최윤희, 이연정 (2016), “커피전문점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조리학회, 22(7), 203-221. | 미소장 |
46 | 행정안전부(2022), “행정안전부_휴게음식점,” https://www. data.go.kr/data/15006730/fileData.do. | 미소장 |
47 | 홍소희, 김민 (2021), “MZ세대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메소드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4(1), 113-120. | 미소장 |
48 | Babin, Barry J., and Attaway, Jill S. (2000), “Atmospheric Affect as a Tool for Creating Value and Gaining Share of Customer,”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2), 91-99. | 미소장 |
49 | Baker, J., Grewal, D., and Parasuraman, A. (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328-339. | 미소장 |
50 | Berry, L. L., Seidders, K., and Grewal, D. (2002), “Understanding service convenience,” Journal of Marketing, 66, 1-17. | 미소장 |
51 | Bitner, M. J. (1992), “Servicescapes :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56, 57-71. | 미소장 |
52 | Budiman, S., and Dananjoyo, R. (2021), “The Effect of Cafe Atmosphere on Purchase Decision:Empirical Evidence from Generation Z in Indonesia,”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8(4), 483-490. | 미소장 |
53 | Fujita, K., Henderson, M. D., Eng, J., Trope, Y., and Liberman, N. (2006), “Spatial distance and mental construal of social events,”Psychological Science, 17(4), 278-282. | 미소장 |
54 | Kah, J.A., Lee, C.K., and Lee, S.H. (2016), “Spatial – temporal distances in travel intentionbehavior,”Annals of Tourism Research, 57, 160-175. | 미소장 |
55 | Kotler, P. (1973),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49(4), 48-64. | 미소장 |
56 | Kim, D.H., and Jang, S.C. (2014), “Motivational drivers for status consumption: A study of Generation Y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38, 39-47. | 미소장 |
57 | Kim, J., Kim, Peter B.C., Kim, J.E., and Magnini, Vincent P. (2016), “Application of Construal-Level Theory to Promotional Strategies in the Hotel Industry,” Journal of Travel Research, 55(3), 340-352. | 미소장 |
58 | Labbe, D., Ferrage, A., Rytz, A., Pace, J., and Martin, N. (2015), “Pleasantness, emotions and perceptions induced by coffee beverage experience depend on the consumption motivation (hedonic or utilitaria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44, 56-61. | 미소장 |
59 | Liberman, N., Sagristano, M. D., and Trope, Y. (2002),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level of mental construal,”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8(6), 523-534. | 미소장 |
60 | Liberman, N., Trope, Y.,McCrea, S.M., and Sherman, S.J. (2007), “The effect of level of construal on the temporal distance of activity enactment,”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3(1), 143-149. | 미소장 |
61 | Liberman, N., Trope, Y., and Wakslak. C. (2007), “Construal Level Theory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2), 113-117. | 미소장 |
62 | Moeller, S., Fassnacht M., and Ettinger, A. (2009), “Retaining Customers With Shopping Convenience,”Journal of Relationship Marketing, 8(4), 313-329. | 미소장 |
63 | Mohamed, D.A., Pierre, Valette-Florence., and Cova, V. (2022), “Howpsychological distance shapes hedonic consumpti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need to justif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46, 57-69. | 미소장 |
64 | The New York Times (2017. 1. 4), “52 Places to Go in 2017,”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7/travel/places-to-visit.html. | 미소장 |
65 | Tifferet, S., and Hertein, R. (2012), “Gender differences in brand commitment, impulse buying, and hedonic consumption,”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21(3), 176-182. | 미소장 |
66 | Trope, Y., and Liberman, N. (2010), “Construal 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Psychological Review, 117(2), 440-463. | 미소장 |
67 | Wang, S., Hurlstone, M. J., Leviston. Z., Walker. L., and Lawrence. C. (2021), “Construal-level theory and psychological distancing: Implications for grand environmental challenges,”One Earth, 4, 482-486. | 미소장 |
68 | Zhang, Z., Qiao, S., Chen, Y., and Zhang, Z. (2022), “Effects of spatial distance on consumers'review effort,” Annals of Tourism Research, 94, 1-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