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돌봄청년이 경험하는 가족돌봄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리위탁가정의 보호대상자였다가 청소년기부터 조부모인 가족을 돌보게 된 청년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접근 중 하나인 맥락-패턴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사례별 맥락-패턴 분석과 통합된 맥락-패턴 분석결과로 구성하였다. 사례별 분석에서는 각 연구 참여자의 생애과정을 담은 패턴과 가족을 돌보게 된 상황을 반영하는 맥락을 중심으로 이들의 경험을 기술하였으며, 이후 전체 사례의 경험을 반영하는 통합 맥락-패턴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돌봄청년과 그 가족의 삶의 질과 복지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을 기획하고 추진할 때 고려해야 할 정책과 행정, 실천 수준의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족돌봄청년의 경험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 = A context-pattern 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young carers caring for their grandparents : 대리가정위탁 보호아동에서 가족돌봄청년으로의 전환 권지성, 좌현숙, 최서경 p. 5-42

한부모 결혼이주여성의 주거 경험 = Residential experience of single-parent married immigrant women 정미숙, 김미옥 p. 43-74

입양아동 학대 사건 판결문에 대한 내용분석 = A content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of child abuse in adoptive families 박현선, 안소영, 최미숙 p. 75-102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코로나19와 재난기본소득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친 영향 = The impact on quality of life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 of COVID-19 and basic disaster income 성정현 p. 103-132

아동학대 언론보도에 대한 타임라인별 텍스트마이닝 비교 = Comparison of text mining by timeline for media coverage of child abuse : focusing on topic modeling :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박해선 p. 133-175

발달과정에서 겪은 모 사별과 애도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f the mother’s death on the childhood and mourning process 박보라, 최연실 p. 177-209

재혼을 앞둔 중년 남성의 섹스리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역동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family dynamics influencing sexless in middle-aged men about to remarry 문혜린, 박태영, 서민순, 현일송, 김형범, 김경욱 p. 211-247

코로나19 시기 미혼모의 자녀 돌봄 경험 =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about caring for children during COVID-19 윤은영, 정익중 p. 249-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