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민철, 조현주, 이종선. (2013). 우울, 불안, 수치심, 자살사고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5(4), 873-896. |
미소장 |
2 |
구혜란, 구서정. (2019). 우울한 청년, 불안한 장년의 나라: 연결망 접근을 통해 본 세대별 마음의 형상 (形象). 한국사회학, 53(2), 253-292. |
미소장 |
3 |
김연아, 정원오. (2016). 비정규직의 세대 간 전승: 부모세대의 직업적 지위가 자녀세대의 비정규직 여부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정책, (50), 334-377. |
미소장 |
4 |
김정숙. (2018). 대졸 청년의 노동시장이행 수준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24(1), 93-117. |
미소장 |
5 |
김지경, 이윤주, 이민정. (2018). 20대청년 심리・정서 문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6 |
김홍중. (2015).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 한국사회학, 49(1), 179-212. |
미소장 |
7 |
박나리, 김교성. (2021). 청년 불안정성의 궤적과 유형: 20대 청년의 고용, 소득, 부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8(3), 45-74. |
미소장 |
8 |
박미희. (2017). OECD 국가의 청년니트 결정요인: 고용구조 변화와 사회정책의 조절효과. 노동정책연구, 17(3), 1-44. |
미소장 |
9 |
박미희, 홍백의. (2014).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그 결정요인. 사회복지정책, 41(4), 21-49. |
미소장 |
10 |
박민진, 민보경, 이민주. (2021). 미래세대의 행복과 영향 요인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34(4). |
미소장 |
11 |
박재흥. (2003).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 37(3), 1-23. |
미소장 |
12 |
박재흥. (2010).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권력ㆍ이념ㆍ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75-99. |
미소장 |
13 |
박종훈, 이경재, 이성우. (2018). 서울 시민의 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서울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도시연구, 19(4), 111-129. |
미소장 |
14 |
박천규, 이수욱, 손경환. (2009). 가구 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수요특성 분석 연구. 국토연구, 171-187. |
미소장 |
15 |
변금선. (2015). 가구 소득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취업 이행기간 및 임금수준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8(1), 129-161. |
미소장 |
16 |
변금선. (2018a).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변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7 |
변금선. (2018b).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의 계층화: 1970-80년대 출생코호트의 청년기 노동궤적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70(3), 113-137. |
미소장 |
18 |
변금선. (2022). ‘생애 전반기 위험에 대응하는 사회안전망은 잘 작동하고 있는가?’ 토론문. 2022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공동학술대회. |
미소장 |
19 |
변금선, 김기헌. (2019). 청년층의 삶의 질 격차에 관한 연구: 1988-1998 년생 청년의 다중격차 실태 분석. 사회복지정책, 46(2), 257-285. |
미소장 |
20 |
변금선, 이혜림. (2022). 청년의 다차원적 빈곤 특성-2010년과 2019년 청년층의 빈곤 비교. 사회복지정책, 49(1), 87-119. |
미소장 |
21 |
송관재, 홍영오, 박수애. (2004). 사회적 상황에서의 사회적 불안의 실태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연구보고서. |
미소장 |
22 |
우아영, 윤연숙. (2020). 30대 장기 미취업 청년들의 삶의 경험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1-110. |
미소장 |
23 |
유민상. (2022). 생애 전반기 위험에 대응하는 사회안전망은 잘 작동하고 있는가?. 2022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공동학술대회. |
미소장 |
24 |
이상영, 정진욱, 황도경, 손창균, 윤시몬, 채수미, 차미란, 김효진. (2015). 한국사회의 사회・심리적 불안의원인분석과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25 |
이승윤, 백승호, 김미경, 김윤영. (2017).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비판사회정책, (54), 487-521. |
미소장 |
26 |
이용호, 이원익. (2022). 부채에 따른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궤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4(3), 339-364 |
미소장 |
27 |
이원진. (2010).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지위 변화와 우울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62(4), 249-274. |
미소장 |
28 |
이현주, 곽윤경, 강상경, 노영주, 전지현. (2019)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사회적 불안에 대한질적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29 |
이현주, 곽윤경 전지현, 구혜란, 변금선. (2020).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청・중년의 사회적불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30 |
이희정. (2018).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 52(3), 119-164. |
미소장 |
31 |
은석, 안승재, 함선유, 홍백의. (2018). 세대 차이인가, 계층 차이인가?: 한국과 일본의 가족가치관 차이를중심으로. 아시아리뷰, 8(1), 41-74 |
미소장 |
32 |
조권중. (2014). ‘서울은 안전한가’ 불안사회 진단과 사회적 치유방안. 서울연구원. |
미소장 |
33 |
조혜정, 염동문, 권혁창. (2020). 청장년층 가구 빈곤과 우울 간의 관계: 연령별 비교. 인문사회 21, 11(2), 2091-2102. |
미소장 |
34 |
최인철, 김범준. (2005). 정보화시대의 사회적 불안의 특성과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서울대학교 |
미소장 |
35 |
통계청. (2019). 사회조사. 통계청. |
미소장 |
36 |
Arnett, J. J. (2004).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7 |
Beck, U. (1992).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Vol. 17). London: Sage. |
미소장 |
38 |
Blossfeld, H. P. (Ed.). (2008). Young workers, globalization and the labor market: Comparing early working life in eleven countries. Edward Elgar Publishing. |
미소장 |
39 |
Duncan, G. J., Morris, P. A., & Rodrigues, C. (2011). Does money really matter? Estimating impacts of family income on young children's achievement with data from random-assignment experim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47(5), 1263. |
미소장 |
40 |
Duffy, M. E., Twenge, J. M., & Joiner, T. E. (2019). Trends in mood and anxietysymptoms and suiciderelated outcomes among U.S. undergraduates, 2007–2018: Evidence from two national survey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65(5), 590–598. |
미소장 |
41 |
Elder Jr, G. H., & Pavalko, E. K. (1993). Work careers in men's later years: Transitions, trajectories, and historical change. Journal of Gerontology, 48(4), S180-S191. |
미소장 |
42 |
Elder, G. H., & O’Rand, A. M. (1995). Adult lives in a changing society. in K.S. Cook, Fine, G. A., &House, J. S. (Eds.).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ocial psychology(pp. 452-475). Boston, MA:Allyn and Bacon. |
미소장 |
43 |
Elder, G. H. (2018). Children of the Great Depression: Social change in life experience. Routledge. |
미소장 |
44 |
Elman, C., & O'Rand, A. M. (2004). The Race Is to the Swift: Socioeconomic Origins, Adult Education, and Wage Attainment1.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0(1), 123-160. |
미소장 |
45 |
Furlong, A. (Ed.). (2009). Handbook of youth and young adulthood: new perspectives and agendas. routledge. |
미소장 |
46 |
Goldin, C. (1999). Egalitarianism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during the great transformation of American educ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7(S6), S65-S94. |
미소장 |
47 |
Krahn, H. J., Chai, C. A., Fang, S., Galambos, N. L., & Johnson, M. D. (2018). Quick, uncertain, and delayed adults: Timing, sequencing and duration of youth-adult transitions in Canada. Journal of Youth Studies, 21(7), 905-921. |
미소장 |
48 |
Liu, C. H., Zhang, E., Wong, G. T. F., & Hyun, S. (2020).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PTSD symptomatolog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linical implications for US young adult mental health. Psychiatry research, 290, 113172. |
미소장 |
49 |
Lui, C. K., Chung, P. J., Wallace, S. P., & Aneshensel, C. S. (2014). Social status attain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3(7), 1134-1150. |
미소장 |
50 |
Lundberg, M., & Wuermli, A. (2012). Children and youth in crisis: Protecting and promoting human development in times of economic shocks. World Bank Publications. |
미소장 |
51 |
Mahmoud, J. S. R., Staten, R. T., Hall, L. A., & Lennie, T. A. (2012).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 college students’ depression, anxiety, stress, demographics, life satisfaction, and coping style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3(3), 149-156. |
미소장 |
52 |
Marshall, V. W., & Mueller, M. M. (2003). Theoretical roots of the life-course perspective. in W.R. Heinz and Marshall V.W.(Eds.) Social Dynamics of the Life Course. Transitions, Institutions, and Interrelations(3-32). New York: Walter de Gruyter, Inc. |
미소장 |
53 |
Mossakowski, K. N. (2015). Disadvantaged family background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roles of chronic stress and self‐esteem. Stress and Health, 31(1), 52-62. |
미소장 |
54 |
Settersten, R. J. (2003). Rethinking social policy: Lessons of a life-course perspective. In R. A. Settersten Jr. (Ed.), Invitation to the life course: Toward new understandings of later life(pp. 191–224). Amityville, NY: Baywood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55 |
Schroter, R., Jovanovic, A., & Renn, O. (2014). Social Unrest: A Systemic Risk Perspective. Global Risk Forum April 2014, GRF DAVOS Planet@Risk, Volume 2., Number 2. |
미소장 |
56 |
Van Winkle, Z., & Fasang, A. (2016). Complexity in Employment Life Courses i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Large Cross-National Differences but Little Change across Birth Cohorts. Social Forces, 96(1), 1-29.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