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공스포츠 조직구성원의 팔로워십,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 조직유효성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ublic sport organization employees’ followership,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김영준, 장경로, 김태희 p. 1-23

비체육전공자의 스포츠지도사 자격증 취득경험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non-sports/pe majors in acquisition of sports instructor certification : focused on sports instructor level 2 bodybuilding : 스포츠지도자 2급 보디빌딩 종목을 중심으로 안승기, 최윤소 p. 25-43
여성 풋살 동호인의 하위문화적 특성과 기능 = An the sub-cultur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female futsal club members 김동한, 윤정희, 이혁기 p. 45-61
학교체육 관련법의 정책화 지형과 현장의 모습 = A comparison of physical education-related laws, policies, and secondary schools in Seoul : 서울시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홍승연, 이해령 p. 63-84
여성 노인의 운동기능저하군과 기능체력 및 신체조성의 관련성 연구 = Effects of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ocomotive syndrome function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in elderly women : focusing on 3 stages of the GLFS-25 in 70s : GLFS-25 3단계 70대를 중심으로 강동연 p. 85-101
제주지역 여성농업인의 만성질환 유무에 따른 건강 및 체력수준 분석 = Analysis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levels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ronic diseases in female farmers in Jeju 고성희, 박철형 p. 103-118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기석, 이준혁, 이주연, 채성욱, 한동성(2014). 한의학 연구동향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7(2), 334-354.. 미소장
2 권성호, 전현수, 김방출(2015). 초등체육에서 스포츠심리학의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4), 133-145. 미소장
3 김경숙, 여지은, 김선희, 김도연(2009).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개발사업 2007-지정-1008928. 미소장
4 김경식(2015).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스포츠사회학의 지적 구조 규명: 22년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8(3), 1-25. 미소장
5 김동현, 윤양진 (2010). 학생선수 학습권 보호를 위한 법, 제도적 과제. 스포츠와 법, 13(4), 57-81. 미소장
6 김상겸(2006). 스포츠자치권과 스포츠기본법에 관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8, 11-41. 미소장
7 김상겸(2017). 헌법 개정과 스포츠 기본법의 제정방향.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0(4), 3-25. 미소장
8 김선희(2014). 학교체육진흥법 시행 1년에 따른 향후 과제; 응답하라! 2014 학교체육진흥법 -일반 학생 대상 관련 법 규정의 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26, 7-12. 미소장
9 김성희, 장로사(2010). 사회 연결망 분석 연구동향및 정보학 분야에서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71-87. 미소장
10 김수현(2010). 여성의 여가제약 및 여가제약협상에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2), 167-178. 미소장
11 김용섭(2009).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방향.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2(3), 11-33. 미소장
12 김용학(2011).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미소장
13 김용학(2015).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1(1), 145-171. 미소장
14 김인형, 이근모(2005). 여성 엘리트 스포츠의 사회학적 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6), 213-223. 미소장
15 김지선, 이근모(2015). 학교체육진흥법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 학교 운동부 운영을 중심으로 -. 한국체육정책학회지, 35, 233-243. 미소장
16 김지선, 이근모(2015).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관점으로 본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과정.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8(3), 45-63. 미소장
17 김지선, 장승현, 이근모(2019). 학교체육진흥법 개정의 정책적 함의: 초등스포츠강사의 제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7(4), 175-192. 미소장
18 김택천(2014). 학교체육진흥법 시행 1년에 따른 향후 과제; 학교체육 지원제도의 한계와 향후과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26, 20-23. 미소장
19 김현덕, 신현규(2005). 국민체육진흥법 형성과정연구.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5(1), 69-80. 미소장
20 김현우, 전현수 (2020). 대학운동선수의 수업참여실태 조사 및 학습권보장에 대한 인식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4), 155-171. 미소장
21 김홍렬, 박상현, 원도연(2015) 스포츠경영학의 연구동향 분석: 저자 연결망과 핵심어 연결망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0(3), 63-84. 미소장
22 머니투데이 (2020.10.11.).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에도 17시간 이상 등록률은 대폭 감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01113238296252. 미소장
23 문안나(2016). 한국 사회의 IR 개념: 1994∼2014년 신문기사 내용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홍보학연구, 20(1), 50-78. 미소장
24 박재우(2012). 미디어에 나타난 학교체육(진흥)법제정 관련 사회적 담론 분석, 한국콘텐즈학회논문지, 12(9), 434-446. 미소장
25 손석정(2012). 학교체육진흥원에 관한 학교체육진흥법 시행령 제정 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5(3), 9-38. 미소장
26 손석정(2014). 스포츠기본법비교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7(3), 11-31. 미소장
27 손석정(2014). 학교체육진흥법 시행 1년에 따른 향후 과제; 학교체육진흥법의 현황과 조망. 한국스초츠정책과학원, 126, 2-6. 미소장
28 손석정, 신현규(2008).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과변천과정 고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1(4), 253-271. 미소장
29 손석정, 정승재(2013). 생활체육진흥법 제정을 위한 시안개발 연구.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법, 116(3), 61-68. 미소장
30 손원호, 손순호(2022). 위드 코로나(with Corona)시대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생활체육 조례현황 및 정책방향 연구 -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4(1), 108-125. 미소장
31 신기철(2014). 초등학교 수준에서 학교체육진흥법주요 시책의 운영 현황과 향후 개선 과제에대한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2), 145-156. 미소장
32 신민혜, 조남기(2015). 인성교육진흥법과 학교체육진흥법안 분석을 통한 학교체육 및 스포츠클럽활동의 방향성 탐색.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3(2), 33-42. 미소장
33 신현규(2009). 제 5공화국의 국민체육진흥법 전문개정 배경에 관한 고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2(1), 151-169. 미소장
34 연기영(2008).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1(4), 113-143. 미소장
35 연기영(2011). 「학교체육진흥법」 제정을 위한 과제.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4(2), 117-157 미소장
36 연기영(2012). 학교체육진흥법 제정 의의와 향후과제.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5(2), 55-76. 미소장
37 유정애(2017). 우리나라 학교체육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체육진흥법의 개정 방향. 한국체육정책학회지, 43, 1-14. 미소장
38 이경숙(2012). 우리나라 댄스스포츠담론에 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10(4), 141-150. 미소장
39 이양구(2014). 자연과학편 : 학교체육진흥법 학교운동부 선진화 육성 정책의 성과 분석. 한국체육학회, 53(4), 543-553. 미소장
40 이한주, 이정화, 고봄나(2013). 스포츠교육학 질적연구의 양적 특성 분석: 2003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체육학회지, 52(1), 195-211. 미소장
41 장성수, 김종기(2012). 제주지역 관광 연구동향에관한 고찰: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40, 351-381. 미소장
42 장호민, 정용철(2013). 학교체육진흥법에 대한 증등학교 체육교사들의 인식조사. 한국스포츠교교육학회지, 20(1), 109-126. 미소장
43 정경환, 원영신, 구송광(2015). 특수체육 연구동향분석: 2011-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3(1), 77-88. 미소장
44 정복자, 홍양자(2006). 특수체육학의 최근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1), 65-72. 미소장
45 정연경(2011).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자들의 인용형태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367-391. 미소장
46 정영린(2011). 학생 운동선수 학습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9(3), 189-204. 미소장
47 조창옥, 오아라, 장지훈(2012). 법에 투영된 장애인체육 현황 및 변천과정 - 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시행규칙을 중심으로-.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5(4), 119-139. 미소장
48 채우석(2016). 일본의 스포츠기본법과 스포츠 정책에 관한 일고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4), 117-132. 미소장
49 최영금(2012). 페미니즘의 역사적 맥락에서 본 한국 여성 스포츠.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0 최철호(2009). 국민체육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2(1), 37-64. 미소장
51 최흥희, 김재우(2011). 1980년대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6(1), 153-162. 미소장
52 추나영, 조송현(2013). 국내 스포츠산업⋅경영학연구동향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4(2), 123-141. 미소장
53 한국여성체육학회(2014). 한국여성체육학회 60주년 기념집. 서울: 효일문화사. 미소장
54 Borg, W. R., & Gall, M, D. (1983). Educational research. New York: Longman. 미소장
55 Kamada, T. & Kawai, S. (1989). An Algorithm for drawing general undirected graphs. Information Processing Letters, 31(1), 7, 15. 미소장
56 http://blog.naver.com/moeblog/220484983820 교육부 공식 블로그. 검색일: 2023년 3월 16일. 미소장
57 http://www.phywomen.or.kr 한국여성체육학회 공식 홈페이지. 검색일: 2023년 3월 16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