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ftware education-link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 조두희 ; 이철현 1
요약 1
Ⅰ.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 문제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3
1. 인공지능 교육 3
2. 소프트웨어·인공지능 연계 수업 4
Ⅲ. 연구 방법 5
1. 연구 대상 5
2. 연구 설계 6
3. 연구 절차 7
4. 검사 도구 8
5. 자료 분석 9
Ⅳ. 연구 결과 9
1. 프로그램 개발 결과 9
2. 프로그램 적용 결과 15
Ⅴ. 결론 및 제언 19
1. 결론 19
2. 제언 21
참고 문헌 22
ABSTRACT 2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9). 인공지능(AI) 국가전략 발표. 보도자료 2019년 12월 19일 | 미소장 |
2 | 교육부 (2015a).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 미소장 |
3 | 교육부(2020). 인공지능 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보도자료 2020년 11월 20일. | 미소장 |
4 | 교육부(2021a).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보도자료 2021년 1월 24일. | 미소장 |
5 | 교육부(2021b). 2021 교육정보화 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6 | 교육부(2022). 2022년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수립. 보도자료 2022년 2월 8일. | 미소장 |
7 | 김예린(2019). 컴퓨팅사고력 측정을 위한 성취 기준 및 평가 도구 개발. 석사 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 미소장 |
8 | 류미영, 한선관(2019).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83-590. | 미소장 |
9 | 방진명(2021). 융합소양 증진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미소장 |
10 | 송의성, 임화경(2021). 해외 SW·AI 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필요성.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5(2), 301-308. | 미소장 |
11 | 윤여찬, 상종희, 박수명 (2018). 이미지 기반의 식물 인식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33(4), pp.54-60. | 미소장 |
12 | 이영호, 김성애, 홍지연, 구덕회, 박정호 (2019). 초중등학생 소프트웨어 교육 만족도 분석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73-581. | 미소장 |
13 | 이철현, 김동만 (2020). AI 요소 기술과 국내외 AI 교육과정에 기반한 AI 학습 요소 탐색. 인공지능 연구 논문지, 1(1), 21-30. | 미소장 |
14 | 이철현, 이수정, 박현주, 조윤주, 정경아, 이경식, 배선아, 임병상, 김동만, 오지현, 김용신 (2019). 초등학교 실과 6 지도서. 미래엔. | 미소장 |
15 | 정란수 (2022).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공지능 이해를 위한 이미지 인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미소장 |
16 | 최유현, 노진아, 임윤진, 이동원, 이은상, 노준호 (2013).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177-198. | 미소장 |
17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8). 일자리의 미래 2018(WEF) [동향리포트 18년 14호]. | 미소장 |
18 |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0). 초등 교사를 위한 KERIS와 시작하는 인공지능 교육 1권. | 미소장 |
19 | 한국과학창의재단 (2021). 학교에서 만나는 인공지능 수업. | 미소장 |
20 | 한선관, 류미영, 김태령(2021). AI사고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서울: 성안당. | 미소장 |
21 | ISTE & CSTA(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Education. AC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