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에서는 일본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에 소장된 사본 『매월당집』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을 고찰하였다. 검토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각문고본 『매월당집』은 詩藁와 文藁, 別集, 遊錄 등 각각 독립성을 지닌 별책이 하나의 전집으로 묶인 것이다. 책에 찍혀 있는 인장을 통해 볼 때, 18세기 말이나 19세기 초에 일본 창평판학문소에 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내각문고본 시고와 문고를 을해자본 『매월당집』, 경진자본『매월당집』 등과 비교해 보면, 내각문고본은 을해자본을 수용·증보한 사본이고, 경진자본은 내각문고본 계열 사본의 정고본을 바탕으로 간행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각문고본은 殘片만 남아 있는 을해자본의 실제 구성과 내용을 추정하고 경진자본의 성립 과정을 알려주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셋째, 내각문고본의 ‘유록’도 원고본 단계의 성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여기에는 김시습의 자필 유고본에 실려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넷째, ‘감흥시’의 원작은 11수가 아니라 13수였다. 11수로 된 것은 경진자본을 간행하면서 두 수를 제외했기 때문이다. 원작 13수는 1465년 무렵 김시습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잘 보여준다. 그 당시 김시습은 세조가 지배하던 당시의 현실은 인정하되, 세조 측근의 신하들에 대해서는 강한 적대 의식을 표출했다.

내각문고본 『매월당집』에는 새 작품으로서 비구니의 생애를 기록한 글이 있고, 그동안 서명만 알려졌던 『임천가화』도 별집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들은 불교와 관련된 김시습의 생평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거나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20년대 중후반 홍명희의 저술과 편찬 활동 = Hong Myung-hee’s writing and compilation activities in the late 1920s : 『학창산화』와 『조선사연구초』를 중심으로 류시현 p. 13-40

조선어학연구회 기관지 『정음』(1934-1941)을 통해 본 조선어 연구의 지형 = The topography of Korean language research through the journal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Association, Jeongeum (1934-1941) 최경봉 p. 41-73

해외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지식 사전 편찬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the knowledge dictionary compilation methodology for overseas Korean studies major. 1, Focusing on macrostructure of English Dictionary of Modern Korean Publications. 1. <한국 근대 간행물 영문 사전>의 거시 구조를 중심으로 도원영 p. 75-94

한국학 백과사전 기반 영문 사전 편찬을 위한 국문 원고 교열의 개념과 실제 = The study for the definition and actual process of editing Korean manuscripts for compiling an English edition of Korean studies encyclopedia 장경식 p. 95-119

하남 하사창동 천왕사지 철불좌상의 조성배경 = A study on the produciton background of iron seated Buddha statue in Cheonwangsa Temple Site, Hasachang-dong in Hanam 정성권 p. 123-155

草廬 吳澄의 역학사상에 대한 陽村 權近의 수용과 비판 연구 = A study on YangChoun(陽村) Kwon Geun(權近)’s acceptance and criticism of Caolu(草廬) Wu Cheng(吳澄)’s dynamics 서근식 p. 157-177

일본 내각문고 소장 寫本 『梅月堂集』의 문헌적 성격과 위상 = The literary character and status of the manuscript Maewoldangjip in the collection of the Japanese Naikaku Library 차충환 p. 179-215

송시열 예학의 연원과 복합성 = The academic origin and complexity of Si-yeol Song’s ritual study 박종천 p. 217-261

금대 이가환의 서학(西學) 연구와 그 파장 = Yi Gahwan’s approach and understanding to Western learning and its effects 김선희 p. 263-304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北學議』의 원본성 검토 = A study on the originality of Bukageui (北學議) in Suwon Hwaseong Museum 박철상 p. 305-339

조선후기 새로운 생활 신앙 염원의 단면(斷面) = The aspiration of new life relig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 유⋅불⋅도 관련 민화를 중심으로 심명주, 김취정 p. 341-360

이돈화의 동학사상 연구 = A study on Lee Don-Hwa’s Donghak thought : focusing on ‘Innaecheon (人乃天)’ and ‘theory of Jigi (至氣)’ : '인내천(人乃天)'과 '지기론(至氣論)'을 중심으로 정혜정 p. 361-386

1950-60년대 미국공보원 한국지부 전시와 그 영향 = Exhibi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U.S. information service in the 1950s and 1960s and its impact 국성하 p. 387-433

1960년 전후 재일조선인 미술가의 활동 = Activities of Korean artists in Japan around 1960 : focusing on Chongryon’s bulletin : 총련 기관지(紙)를 중심으로 오은영 p. 435-458

'아로운 삼부작' 속 '인간 추구'와 '외로움'의 의미 = The meaning of “Human Pursuit” and “Loneliness” in the trilogy of Ah Ro-woo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Komikawa Junpei's The Human condition and Turgenev’s Rudin : 고미카와 준페이의 『인간의 조건』, 뚜르게녜프의 『루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진규 p. 459-488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의 선전영화 상영과 문화냉전의 귀결 = The result of the Korean military’s screening of propaganda films and the cultural Cold War during the Vietnam War 허은 p. 489-526

현대국어 호출어의 종류와 사용 양상 = Types and characteristic of modern Korean summonses 송인성 p. 527-556

네이버 별점 하위권 웹툰의 베스트 댓글 연구 = A study on the best comments of low-rated webtoons on Naver 구자준 p. 557-587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목판본 『梅月堂詩四遊錄』 (청구기호: 한古朝45-22). 미소장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필사본 『梅月堂集』 (청구기호: 奎7062-v.1-9). 미소장
3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편, 『梅月堂全集』, 성균관대, 1973. 미소장
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 매월당집』 1∼5, 1977-1980. 미소장
5 일본 국립공문서관 내각문고 소장, 필사본 『梅月堂集』 (청구기호: 318-0171). 미소장
6 연세대 도서관 소장, 필사본 『梅月堂詩集』 (청구기호: 고서(1) 811.19 김시습 매-필-1∼5). 미소장
7 연세대 도서관 소장, 목활자본 『梅月堂詩藁』 (청구기호: 고서(1) 811.19 김시습 매-목). 미소장
8 이우성 편, 『매월당집』 상·중·하, 아세아문화사, 1995. 미소장
9 한국고전번역원 DB. 미소장
10 강창규, 「매월당 김시습의 「감흥시 11수」 연구」, 『한국문학논총』 90, 한국문학회, 2022, 5-38면. 미소장
11 김풍기, 「조선 초기 문명사의 전환과 김시습의 <유금오록(遊金鰲錄)>」, 『한민족문화연구』 62, 한민족문화학회, 2018, 75-104면. 미소장
12 金 烋, 『海東文獻總錄』, 學文閣, 1969. 미소장
13 박철상, 「을해자본 『매월당집』 잔편 발굴의 의미」, 『문헌과해석』 27, 문헌과해석사, 2004, 215-235면. 미소장
14 박철상,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매월당시고(梅月堂詩藁)』에 대하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고문헌총서 3 『梅月堂詩藁』, 계명대 출판부, 2008, 83-85면. 미소장
15 박학래, 「『海東文獻總錄』과 敬窩 金烋」, 『민족문화연구』 50,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9, 227-248면. 미소장
16 송석하, 「書物同好會會報」 14, 書物同好會, 1941, 1-5면. 미소장
17 심경호, 『김시습 평전』, 돌베개, 2003. 미소장
18 양승민, 「경진자본 『梅月堂集』 간행 과정과 校訂本」, 『한국한문학연구』 52, 한국한문학회, 2013, 457-495면. 미소장
19 차충환, 「일본 내각문고 소장 寫本 『梅月堂集』 소개 및 고찰—『林泉佳話』 소개를 중심으로」, 『2022년 한국한문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2022년 한국한문학회 동계학술대회 (성균관대 국제관), 2023. 미소장
20 차충환, 「김시습의 『林泉佳話』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87, 한국한문학회, 2023, 99-140면. 미소장
21 탁효정, 「조선 전기 정업원(淨業院)의 성격과 역대 주지」, 『여성과 역사』 22, 한국여성사학회, 2015, 101-132면. 미소장
22 황인규, 「조선 전기 정업원과 비구니 주지」, 『한국불교학』 51, 한국불교학회, 2008, 103-130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