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한국 기업들의 임금체계 개편 관련 탐색적 연구 : 일터혁신 스페셜 이슈 데이터를 중심으로 = The exploratory study for Korean firms' restructuring pay system : using workplace innovation special issue datasets / 김동배 ; 박지성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수집 데이터 특성 및 임금 관련 기초 분석 3
2.1. 수집 데이터 특성 3
2.2. 임금 관련 기초 분석 4
Ⅲ. 임금체계 개편 영향요인 분석 16
3.1. 임금체계 개편 다변량 분석 16
Ⅳ. 결론 26
4.1. 연구 결과 요약 26
4.2. 연구의 시사점 27
4.3. 한계 및 추후연구방향 28
참고문헌 28
[부표] 30
저자 소개 32
Abstract 3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용노동부. (2023, 2. 2). 미래세대를 위한 임금체계 개편 본격 추진, 이중구조 개선 첫걸음으로 상생임금위원회 발족.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4598.html | 미소장 |
2 | 김동배. (2010). 제도적 동형화와 상징적 동조:연봉제의 사례. 노동정책연구, 10(1), 35-67. | 미소장 |
3 | 김동배, 김정한. (2011). 성과주의 임금 도입의 영향요인: 한일 비교. 노동정책연구, 11(1), 25-54. | 미소장 |
4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2, 12. 12). 미래노동시장 연구회 권고문.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41991.html | 미소장 |
5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3, 1. 3). 유노조 사업장, 무노조 사업장에 비해 호봉제 적용비율 6배 이상 높아. https://www.korea.kr/news/actuallyView.do?newsId=148910111.html | 미소장 |
6 | 문무기. (2022). 세대 상생형 임금체계 구현을위한 단상(斷想). 법학논총, 39(2), 389-415. | 미소장 |
7 | 안상목, 박우성. (2021). 지속가능한 임금체계 모색: 풀무원의 임금체계 개편과 시사점. 노동정책연구, 21(1), 67-97. | 미소장 |
8 | 오계택. (2022).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노동정책 방향과 과제. 노동리뷰, 4, 49-54. | 미소장 |
9 | 채준호. (2019). 영국 공공부문 임금체계와 한국에 주는 시사점: 중앙정부와 NHS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5(1), 219-251. | 미소장 |
10 | Kang, S. C., & Yanadori, Y. (2011). Adoption and coverage of performance-related pay during institutional change: An integration of institutional and agency theorie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8(8), 1837-186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