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ined word method of Korean word that appeared in the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word naming tasks, to examine the pattern of word formation, and to examine one aspect of the Korean lexicon of foreign learners. Based on onomasiological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tried to examine how Korean language units actually oper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ask performance, The learners made Korean sentences and then created new words. In the results of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se words, learners were using the agglutinative languag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new lexicon will resemble the Korean lexic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교실의 쉬는 시간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 = A phenomenological inquiry on the break times experiences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이경희 p. 1-26

명명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형성과 어휘부 연구 = A study on the word formation and the lexicon in the naming task 강현진 p. 27-57

음높이 조절에 따른 한국인과 중국어권 청자의 범주적 지각 연구 = A study on Korean native listen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categorical perception according to pitch adjustment : for Korean initial consonants : 한국어 어두 자음을 대상으로 권민지 p. 59-95

생태학적 관점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 Ecological perspectives and application to Korean education 김규훈 p. 97-119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 analysis focused on the assessment of Korean language throug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안현수 p. 121-155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대비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in the TOPIK preparation course : 오산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오수진 p. 157-192

뉴노멀(New Normal) 시대, 한국어 의사소통 교육의 방향 모색 = Exploring prospective directions for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in the new normal 이효정 p. 193-224

베트남 세종학당 비원어민 교원의 한국어 수업 및 인식 연구 = A study on Korean classes and perceptions of non-native teachers of King Sejong Institute in Vietnam : with a focus on the non-nativ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 세종학당재단 비원어민 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손상미, 조영미, 김영랑, 이정민, 정연희 p. 225-259

전문용어 토론 수업을 위한 루브릭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 = Study on rubric and its effect in terminology and discussion class 최은실, 이아형 p. 261-288

탄뎀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perception survey study for tandem classes 류승의, 조윤경 p. 289-313

유학생을 위한 취업 한국어 교양 과목 교수요목 설계 연구 = Syllabus design of Korean language for employment 신현미, 김태연, 김수미 p. 315-344

온라인 세종학당 특별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 A study on needs analysis for selection of special curriculum in online King Sejong Institute 안정민, 최은지, 황선영, 한하림, 김민경 p. 345-371

북한 로동신문 보도 기사문의 텍스트 구성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text structure of North Korean Rodong Sinmun reporting articles 백승주 p. 373-419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본관 외(2015), 『한국어 문법 총론』, 집문당. 미소장
2 구본관(2016), 단어 형성법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유사 접사의 활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40, 1쪽 ̴47쪽. 미소장
3 박진호(1994),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4 박혜진(2019), 표현론적 관점의 단어 형성 교육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5 송기중(1998), 어휘 생성의 특수한 유형, ‘한자차용어’, 심재기(편)(1988), 『국어 어휘의 기반과 역사』, 태학사, 593쪽~615쪽. 미소장
6 송원용(2005가),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미소장
7 송원용(2005나), 신어의 어휘부 등재 시점 연구: 어휘 지식 유무 검사를 통한 검증, <국어학> 46, 국어학회, 97쪽 ̴123쪽. 미소장
8 정한데로(2009),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태학사. 미소장
9 정한데로(2013가), 임시어의 실재성 확립을 위하여, <어문연구> 157,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19쪽 ̴149쪽. 미소장
10 정한데로(2013나), 명명 과제(naming task)를 기반으로 한 임시어의 형태론: 도구명사를 중심으로, <국어학> 68, 국어학회, 367쪽 ̴404쪽. 미소장
11 정한데로(2014), 단어 형성과 의미 합성성: 통합관계와 계열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44, 한국어의미학회, 263쪽 ̴289쪽. 미소장
12 안소진(2009), 한자어 구성 음절의 특징에 대하여-고빈도 2음절 한자어를 대상으로, <형태론> 11-1, 43̴쪽 ̴59쪽. 미소장
13 안소진(2014), 『심리어휘부에 기반한 한자어 연구』, 태학사. 미소장
14 안희돈·황종배·정기섭(2018), 조선족 이중 언어 화자들의 한국어 형태 처리: 복수형접미사-들의 차폐 점화 실험 연구, 25-1,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35쪽 ̴252쪽. 미소장
15 이광오(2003), 단어인지 수행은 어종에 따라 다를까?, <한국심리학회지: 실험>15-4, 479쪽 ̴498쪽. 미소장
16 이상수(2019),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미소장
17 이상욱(2007), 임시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소고, <형태론> 9-1, 형태론, 47쪽 ̴67쪽. 미소장
18 이유경(2011),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의 의미 교육 방안,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19 이현의(2013), 의도적 단어 만들기에 나타난 조어 방식 연구, <어문학> 112, 한국어문학회, 235쪽 ̴268쪽. 미소장
20 최형용(2013가), 어휘부와 형태론, <국어학> 66, 국어학회, 361쪽 ̴413쪽. 미소장
21 최형용(2013나),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박이정. 미소장
22 채현식(1994), 국어 어휘부의 등재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23 채현식(2003),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미소장
24 채현식(2007),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129쪽 ̴145쪽. 미소장
25 황화상(2001),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 월인. 미소장
26 황종배·안희돈(2019), 조선족 이중언어 사용자들의 한국어 어말어미 ‘-고’의 처리에 대한 차폐 점화 연구, , 26-1,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13쪽 ̴230쪽. 미소장
27 Aronoff, M.(1976),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The M!T Press. 미소장
28 Bauer, L.(2001), Morphological Produc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9 Di Sciullo A-M & William, E.(1987), On the Definition of Word, MIT. 미소장
30 Halle, M.(1973), Proloegomena to a theory of word-formation, Linguistic Inquiry 4-1, 3-16. 미소장
31 Jiang, N. (2004). Semantic transfer and its implications for vocabulary teaching in a second langauge. Modern Language Journal 88(3). 416-432. Blackwell Publishing Ltd 미소장
32 Kolers, P. A. (1963). Interlingual word association.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 291-300. 미소장
33 Kolers, P. A. (1966). Interlingual facilitation on short-term memory. Journal of Verbal Leaning and Verbal Behavior, 5, 310-314. 미소장
34 Kroll, J. F. , & Curley, J. (1988). Lexical memory in novice bilinguals: The role of concepts in retrieving second language words. In P. M. Gruneberg & R. Sykes (Eds.). Practical aspects of memory, vol. 2,(pp. 157-168). London:John Wiley & Sons. 미소장
35 Scalise, S.(1984), Generative Morphology, Fosis, Dordrecht. [전상범 역(1987), <<생성형태론>>, 한신문화사.] 미소장
36 Štekauer, P.(2005), Onomasiological approach to word-formation, In Štekauer, P. & Lieber, R.(eds.), Handbook of Word-formation, Springer, 207-23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