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들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참여한 정착지원자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향후 교육적 접근 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들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 교육프로그램을 남한 출신 10명과 북한 출신 10명으로 구성된 참여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이행하였다.

연구내용: 교육 이전, 남한 출신 학습자들은 직무 역량과 네트워크 강화 방법에, 북한 출신 학습자들은 소진과 개인의 복합적 트라우마로 인한 문제 등의 해결에 참여 목표를 두었다. 교육 이후, 남한 출신은 직무적 영역에서, 북한 출신은 개인 트라우마 치유의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향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구성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강화 영역에서는 전문수준의 내용을 교육하기보다 개괄적 수준의 교육내용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들은 일반적인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개념보다 확장된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셋째, 정착지원자 개인의 트라우마에 대한 치료와 치유가 선행된 뒤 업무에 투입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ducational program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e and respond burn-out of a settlement supporter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use as a basic material in future educational approaches. Participants consisting of 10 South and 10 North Koreans settlement supporters, showed distinct changes in prior and after education depending on where they are from. Prior to education, South Koreans aimed to strengthen their job competency and networking skills, but North Koreans wished to solve problems caused by burn-out and individual trauma. Since education, South Koreans have made positive changes in the functional domain, but North Koreans in the area of personal trauma cure and healing. The following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settlement supporter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First, the contents at the basic level of care-give should be sufficiently provided rather than a professional level at empowering the job competency. Second, settlement supporters of North Korean refugees should be aware that it has an extended social meaning than the concept of ordinary care service workers. Third, it is important that the treatment and healing of individual trauma should be preceded with continuous support prior to active duty as a settlement support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양 선교사가 본 19세기 중국 아동의 삶 = Chinese children’s life by Western missionary in 19th century : a study on Mary Bryson Child life in China : Mary Bryson의 『Child life in China』 연구 구현아 p. 1-16

고려인 아동의 공간 획득과 장소성 탐색 = Exploration of the space acquisition and placeness of Koryoin children 권혜진 p. 17-28

미술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담론분석과 대안적 담론 탐색 = Discourse analysis and exploration of alternative discourse for art-base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김시정, 박윤미 p. 29-44

H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3중 멘토링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in tripl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of H university 김이준 p. 45-59

토루 타케미츠 음악에서의 드뷔시 영향 연구 = A study of influences of Debussy on Toru Takemitsu : a piece of And Then I Knew ’twas Wind : 작품 「그리고 그것은 바람이었다(そして,それが風であることを知った)」를 중심으로 류가일, 조대명 p. 61-71

한국의 대북 독자제재 = South Korea’s unilateral sanctions on North Korea : 유엔과 EU, 미국의 대북제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문예찬 p. 73-88

따뜻함과 안전 초기기억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armth and safety early memory and psychological health 박세란 p. 89-100

심상 시치료가 소방관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imsang-poetry therapy on the mental health of firefighters 박정혜 p. 101-116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competenc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 : case of K university : K대학 사례 박혜진, 차승봉 p. 117-130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따른 학습효능감과 인지적 실재감의 차이 = The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gnitive presence according to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박효진, 박성희 p. 131-145

Comparative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South Korea and China = 한국과 중국의 장애인 직업 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 : LDA 모델을 기반으로 : base on LDA model Yizhong Shui p. 147-161

남북한 출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e and respond burnout for a settlement supporter of North Korean refugees 신보경, 이영준, 김경숙, 손인배, 전우택 p. 163-178

다문화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 학교생활 적응 간 구조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self-esteem, school adap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신소영, 권성연 p. 179-194

우리나라 유가족의 수목장림 선택에 대한 태도와 관련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Korean bereaved family's attitudes towards choosing forest burial and its related factors 신윤호 p. 195-208

대학생의 성취목표, 희망, 목표조절과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 among achievement goals, hope, goal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신현숙 p. 209-224

생사관 관련 연구의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views of life-death 양준석 p. 225-237

발현성인기의 우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ubjective well-being in emerging adulthood : moderating effect of youth support policy satisfaction : 청년지원정책 만족도의 조절효과 이미영 p. 239-254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무용교육 콘텐츠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content in the post-COVID-19 era 이재정 p. 255-266

베트남의 농산물 과잉 생산 현황과 대응 방식 = Status and responses of over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Vietnam 이준원 p. 267-281

'교사교육과정'의 재용어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redefinition of 'teacher curriculum' 전현욱 p. 283-297

财政补贴、融资约束与⾼新技术企业创新投⼊ = Fiscal subsidies, financing constraints and innovation input of high-tech enterprises 丁⼀丹, 诸慧琴 p. 299-310

저소득 가정 초중학생의 우울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관계와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 = Effect of depression on self-estee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and mediative effect of peer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최경일 p. 311-321

대만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현황과 과제 = The status quo and plans for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Taiwan 최세훈 p. 323-336

손광성 수필의 환유적 구조와 주체의 향유 = The metonymic structure of Shon Kwang-seong’s essays and the jouissance of the subject 최영자 p. 337-352

토론 중심의 하브루타 학습법이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discussion-based Havruta learning method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최은희, 고현 p. 353-366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수단 유형에 대한 고찰 = An study on the types of policy instrument in local government : focusing on the Gyeonggi-do’s youth policy : 경기도 청년정책을 중심으로 최조순 p. 367-382

2006~2012년 중국 피아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Trend analysis in research of piano education in China from 2006 to 2012 팽일민, 이승진 p. 383-394

농촌지역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rural areas 하영진 p. 395-408

간호대학생의 자아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허은주 p. 409-424

19세기 말-20세기 초 로스앤젤레스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 연계성 = Formation of Los Angeles in the late-19th and early-20th century and the connectivity of the Trans-Pacific Mega region 현민, 정호윤 p. 425-436

한국 영화 속의 음악 = Music on Korean film : the comparative of film music for Chunhyang, and Seong Chun-hyang : 「춘향뎐」과 「성춘향」의 영화음악 비교를 중심으로 진상 p. 437-447

时尚网红的特性对时尚风格接受度和外貌管理⾏为的影响 =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fashion influencers on fashion style accept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centering on the 00th generation in China : 以中国00后⼀代为例 江南, 李英淑 p. 449-462

노인의 가족지지와 생활만족도 및 스트레스 대처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in the elderly 강선경, 서상형 p. 463-476

부모에게 환영받지 못한 아이의 삶의 과정에 대한 정신분석적 연구 = A psychoanalytic study on the life process of children unwelcomed by their parents 김경화, 김태완 p. 477-488

스포츠산업의 한국 유입과정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n the process of sports industry entry into South Korea 김미숙, 최주현, 이지현 p. 489-504

소비자 접점직원의 이직 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onsumer contact staff : focusing on the vehicle service center : 자동차정비 서비스센터를 중심으로 김영석 p. 505-52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hild-rearing stress of the mother on depression thorough the mediation by the self-esteem of the mother and children : focusing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f the mother and her children : 어머니와 자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김영애 p. 521-536

IPA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blem behavior guidance strategies using the IPA technique 김정희 p. 537-552

박정희의 1970년 8.15 평화통일 구상 선언의 내적 배경 = The internal background of Park Chung-hee's 1970 August 15th Peaceful Reunification Conception Declaration 김지형 p. 553-562

기후변화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김희영, 김나림 p. 563-576

대학의 원격교육 질 향상을 위한 교수자 역량 및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instructor competencies and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in university 나은창 p. 577-586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ing intentions of Chinese consumers for overseas direct purchases = 중국 소비자의 해외 직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모바일 앱을 활용하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consumers who utilize mobile applications Dong Nan p. 587-602

의사소통역량 제고를 위한 토론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Effectiveness analysis of debate contest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cation competency 박윤미 p. 603-617

아동중심 놀이치료(CPT)가 공격성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PT on the children’s aggressiveness : mediation effects of automatic thought and self-image : 자동적 사고 및 자아상 변화의 매개효과 변지혜, 유성진 p. 619-630

문화유산 정체성, 지역애착, 자기효능감, 장소 의미 및 행동의도 간의 경로모형 탐색 = Exploring path models among cultural heritage identity, area attachment, self-efficacy, place meaning, and behavioral intention : on the visitors in Jilin Province of China : 중국 길림성 관광객을 대상으로 사군, 진의남, 고영춘 p. 631-646

장애인 재활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시사점 제언 = Rehabilitation program for improving vocational a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y 송혜숙, 김선주, 이난희 p. 647-659

(A) study o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logistics distribution in e-commerce = 전자 상거래에서 공급망 관리 및 물류 유통에 관한 연구 Liang Jinxiang p. 661-676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musicology : 음악학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왕춘추, 고영춘 p. 677-692

韩国平安社区建设经验及对中国的启⽰ = South Korea's experience in constructing safe communities and implications for China 王彪, 程新炜, 郑푸름, 金锭汶 p. 693-706

감사인변경과 주기적지정이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uditor change and periodic designation on earnings quality 왕현선 p. 707-722

앤더슨 모형을 이용한 노인 의료비 지출 분석 = A study on the medical expenditures for the elderly using the Anderson model 원지숙, 서창진 p. 723-738

의료기관 종사자의 의사소통 만족도가 심리적 안녕감,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ealth care workers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윤대호 p. 739-752

韩新缅国家武术队体能训练模式与实践研究 = Study on physical training mode and practice of Han-Myanmar national wushu team 李兵, 刘艳妮, 郑弘溶 p. 753-761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광웅·이봉근(201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실증연구”, 『북한연구학회보』,15(1): 1-38. 미소장
2 김송이(2012), “돌봄서비스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 연구: 감정노동과 관계적 노동 속성을 중심으로”, 『The Women’s Studies』, 82(1): 103-136. 미소장
3 김연·위지희·김남희·임명호(2019),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우울, 자살사고, 불안, ADHD,자존감, 충동성, 삶의 질”, 『대한스트레스학회』, 27(3): 209-214. 미소장
4 김유나(2013), “돌봄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일가치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7:123-148. 미소장
5 김종경·양영희(2011),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처기전”, 『성인간호학회지』,23(1): 50-59. 미소장
6 김현아(2004), “북한이탈주민의 품행장애 행동과 성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12(1): 150-168. 미소장
7 김현아(2016),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PTSD에 관한 메타분석”, 『Crisisonomy』, 12(1):105-124. 미소장
8 김현아·전명남(2003), “MMPI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129-160. 미소장
9 김현아·전우택·도지완·유시은(2017), “북한이탈주민 지원 인력의 소진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통일정책연구』, 26(2): 267-292. 미소장
10 김효주·김정근(2019), “중장년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노후준비 저해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통일과 평화』, 11(1): 261-304. 미소장
11 김희진·정윤경(201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 및 자존감의 조절효과”, 『사회연구』, 16(1): 9-46. 미소장
12 노경란(2010),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서비스 제공자의 직무와 직무에 대한 인식 분석: 지역적응센터 담당자 역량모델의 기반 형성”, 『통일정책연구』, 19(1): 237-274. 미소장
13 노인숙·배미랑(2016), “북한이탈주민전문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2): 1051-1064. 미소장
14 노인숙·조선희(2012),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심리적 소진의 원인 탐색”, 『정신간호학회지』, 21(4): 303-310. 미소장
15 박지현(2015), “평생학습중심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자기 효능감 및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545-567. 미소장
16 설진배·송은희(2015),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방향: 델파이 조사를 통한 북한이탈주민 수요분석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16(5): 193-216. 미소장
17 설진배·송은희·이은미(2014),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방안: 경제적 적응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북아논총』, 19(1): 157-174. 미소장
18 송대기·신상수·이소희·김석주·전진용(2016),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도움에 대한 낙인감과우울감과의 연관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55(3): 194-201. 미소장
19 양계민·정진경(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 97-115. 미소장
20 윤석주·손지희(2015),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수의 소진 실태와 요인”, 『교육문제연구』, 28(1): 109-134. 미소장
21 윤여상·김현아·한유미(2007), “새터민 조력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8(3):877-898. 미소장
22 윤옥한(2017),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Design Thinking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1): 443-474. 미소장
23 윤혜미·박병금(2004),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3): 279-301. 미소장
24 이명순·박경(2011), “북한이탈여성의 외상경험과 우울 -낙관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8월). 미소장
25 이미정(2015),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 발달경험에 대한 현상하걱 연구”, 『가족과상담』, 5(1): 39-59. 미소장
26 이민지·전진용·장혜인(2016),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우울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59-481. 미소장
27 전연숙(2015),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자의 교육 실태 및 연구”, 『여성연구논총』, 16:53-85. 미소장
28 전영선(2014),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통일인문학』, 58: 99-126. 미소장
29 전우택(2000a), “탈북자들과 보호경찰관들의 인간관계에 대한 분석: 보호경찰들을 대상으로한 설무조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4(1): 21-64. 미소장
30 전우택(2000b),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5월). 미소장
31 정연희·송민선(2018), “미국 내 한국 유학생들의 건강신념, 사회적지지 및 건강증진행위”,『가정간호학회지』, 25(1): 5-14. 미소장
32 조영아(2009),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21(1): 285-310. 미소장
33 조영아·전우택·유정자·엄진섭(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증 예측요인: 3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7(2): 467-484. 미소장
34 조윤득·신현석·박은아(2010), “돌봄 서비스 영역에서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소진과 심리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부산, 경남 지역의 시설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26(1): 121-142. 미소장
35 주영준(2009), “사회적 지지와 연결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익명의 알코올중독자(AA)에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미소장
36 최영아·이주용·김정규(2009), “남성북한이탈주민의 초기 심리적 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연구”, 『통일정책연구』, 18(2): 215-248. 미소장
37 통일부(2022), “북한이탈주민 정책, 최근현황”, . 미소장
38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Medicine』, 38(5): 300-314 미소장
39 Gagné, R. M., Wager, W. W., Golas, K. C., & J. M. Keller(2005), 『Principles ofInstructional Design (5th ed.)』, Belmont, CA: Thomson/Wadsworth. 미소장
40 Held, V.(2006), 『The ethics of care: personal, political, and global』, USA: OxfordUniversity Press. 미소장
41 Iain, D. L. & G. H. Judy(2001), “Leadership development and reflection: what is theconnection”,『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15(3): 119-124. 미소장
42 Lee, G. R.(1979),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family”. 『Contemporarytheories about the family』, 1: 27-56. 미소장
43 Lloyd, C., King, R., & L. Chenoweth(2009), “Social Work, stress and burnout: Areview”, 『Journal of Mental Health』, 11(3): 255-265. 미소장
44 Seels, B. & R. Richey(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Technolog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