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검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검정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내용: 수학적 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상관관계와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수학적 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effect of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requency, reliability, descriptiv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the Sobel 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beliefs about math, teaching efficacy, and achievement goals. Seco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rtially mediates the impact of math beliefs on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ro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etween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ffering data to enha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침습적 반추와 내적 속박감의 이중매개효과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internal entrapment in the daily stress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주효은, 유선미, 김정민 p. 1547-1562

중국 동부연안지역의 산업별 비중과 효과분석 = Analysis of the proportion and effect of each industry in the eastern coastal region of China 채상수, 이종찬 p. 1563-1577

MBTI(행동유형)와 명리학 오행의 성격유형 연관성 연구 = A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yungrihak and the MBTI personality types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methods :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최영 p. 1579-1592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전공만족도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major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final year nursing students 최윤하 p. 1593-1605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상담에서 상담자가 인식하는 어려움 분석 = Analysis on counselor-perceived challenges in counseling for advance statemen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최지연, 이은영 p. 1607-1620

코로나 판데믹 이후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on adjustment to college after the COVID-19 pandemic 허정철, 한지수, 권병국, 한수미 p. 1621-1636

남성성 부각을 통한 여성의 주체적 삶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bjective life of woman by emphasizing masculinity : focused on the heroines of Chobuin-jeon : <조부인전>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허희수 p. 1637-1648

知识付费时代新派书院运营策略研究 = Research on the operation strategy of Xinpai College in the era of knowledge payment 姜伟志, 李政建 p. 1649-1664

부산지역 애완동물 시장 전망에 대한 연구방안 = A study on the outlook for the pet market in Busan 곽진숙 p. 1665-1674

국내 성인의 동물 학대 인식 유형 연구 = A study on animal abuse perception types of Korean adults 김민영, 유영은 p. 1675-1690

중년여성의 하타요가 체험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atha yoga experience process of middle-aged women : focusing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김영숙 p. 1691-1705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김주영, 탁진국 p. 1707-1722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ourism short videos on users' travel intention = 여행 숏트 클립이 사용자의 여행 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Lu Tang, Ge Cheng p. 1723-1737

<반딧불의 묘(火垂るの墓)> 연출에 나타난 다카하타 이사오(高畑勲)의 철학 = The philosophy of Isao Takahata presented in his directing of Grave of the Fireflies 박선영 p. 1739-1753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 Domestic research trends on art therapy for abused children 박영옥 p. 1755-1766

Reflection on the research object, scope, and route selection of jurisprudence in the context of modernization of Chinese national governance = 중국 국가 거버넌스 현대화 맥락 속 법리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범위에 대한 반성 및 진로선택 Shao Peizhang p. 1767-1780

남자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Male high school athlet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서향리 p. 1781-1791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토픽 분석 = Analysis of topics on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손대호 p. 1793-1808

삶 지향 태도와 일 가치관이 미혼 청년 임금근로자의 의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life-pursued attitude and work value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married youth wage earners 송민선, 박정윤 p. 1809-1824

청소년의 공격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무기력과 그릿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and grit on the effects of adolescent aggression on life satisfaction 송서연, 천수민, 손보영 p. 1825-1836

팔정도에 기초한 마음챙김 프로그램이 자기돌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n self-care through mindfulness programs based on the eightfold path : focusing on care workers : 돌봄종사자를 중심으로 양은순, 장경화 p. 1837-1849

Big 5 성격 요인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effects of big 5 personality factors on hopelessness : a study on middle-aged adults : 중년성인을 대상으로 오영하, 황재원 p. 1851-1866

중국 블렌디드 러닝 기반에 있어서 취업 교육의 교수 경험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employment education based on Chinese blended learning 왕첸, 허균 p. 1867-1877

사회적 지지가 학습전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learning strategy :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 성악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명성, 증빈, 고영춘 p. 1879-1893

(A) systematic review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ina and South Korea from 2013 to 2022 = 2013-2022년 한·중 아동·청소년의 신체 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Qiannan Liu, Eungsoo Oh p. 1895-1907

대학생 예비부모교육이 출산의식, 양육신념과 부모됨 인식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preliminary paren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on procreation consciousness, parenting belief, and perception of parenthood 이성희, 이승아 p. 1909-1923

IMF의 금융발전지수를 활용한 중국 지역별 금융발전도와 지역경제 = China's financial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y using IMF's financial development index 이종찬 p. 1925-1940

요양원 종사자의 안전의식에 관한 판례 고찰 및 시사점 = A study on the precedents about safety consciousness of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and its implication 전병주, 신경희, 김건호 p. 1941-1952

APARCH 모형을 이용한 주택 유형별 경매 매각가율 추정 = Estimation of bid price ratio by housing type using the APARCH model 전해정 p. 1953-1965

장애인의 차별인식과 장애수용 관계에서 사회참여와 여가 만족의 이중매개 =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ttendance and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discrimination percep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정지홍, 최희정 p. 1967-1980

라이브커머스 소비자의 감각 추구 성향이 충동 구매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ive commerce consumers' sensation seeking on impulsive buying intention 조승호, 박찬자, 홍숙영 p. 1981-1994

퇴원손상 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운수사고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nalysis of mortality factors affecting the death of transportation accident patients in Korea : using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 주지훈, 양유정 p. 1995-2008

城市老年群体视角数字人民币推广满足度研究 =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digital RMB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elderly group : taking Xiongan new area and Baoding City as examples : 以雄安新区与保定市为例 夏婉桐, 李政建 p. 2009-2024

대학 유학생 대상의 교양과정 연구 동향과 과제 = Research trends and tasks for university liberal ar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황희선 p. 2025-2035

중국 산업정책의 변천 및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industrial policy 홍길동 p. 2037-2046

사회복지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직업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workplace bullying on job esteem 김준수 p. 2047-2060

사회적 관계가 나주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the happiness of Naju citizens : mediating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매개효과 문유정, 문유진, 한영식, 정성경 p. 2061-2076

고3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the high school seniors :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trust : 부모신뢰의 조절효과 박동진, 김송미 p. 2077-2088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다문화경험이 다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social work students on multicultural competencies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 공감능력과 다문화수용성의 직렬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용권, 김소미, 배지민, 손은주 p. 2089-2102

이용자 특성에 따른 전라남도 골프장 수요예측 분석 = Jeollanam-do golf course demand forecast analysis according to user characteristics 박장진 p. 2103-2114

영국의 영케어러 지원정책 및 체계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영케어러 정책에의 시사점 탐색 = The review of the UK policy for establishing the Korean young carers support policy and system 박지영, 김병철 p. 2115-2130

코어 운동이 노인요통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core exercise on low back pain in the elderly 손현지, 임경희 p. 2131-2144

게임 '스피릿페어러'에 나타나는 치유성 고찰 = A study on the healing effects of the game 'Spiritfarer' 양송이 p. 2145-2160

생태주의 특성에 근거한 대학 이념 분석틀 개발 =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s for the idea of univers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y 오종욱 p. 2161-2172

변화하고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속에서의 태국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에 나타난 패션 특징 연구 = Thailand in the midst of changing social media platforms researching fashion characteristics in the work of fashion designers 오현아, 배수정 p. 2173-2187

영화 「아가씨」의 전유적 확장과 서사변용 연구 = A study on appropriation and expanding of film The Handmaiden 위정선 p. 2189-2202

의사소통능력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kills on learning immersion :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 성악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함, 고영춘 p. 2203-2216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윤은정 p. 2217-2230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as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윤지원, 제남주, 박미라 p. 2231-2242

무주택 직장인의 최초 아파트 구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first apartment purchase of homeless workers 이규봉 p. 2243-2258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지위와 정신건강 관련 연구 = A study on the ego-identity status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이재경, 박은아 p. 2259-2272

셰퍼드의 『매장된 아이』에 나타난 사랑과 저주의 패러독스 = Paradox between love and curse in Shepard's Buried Child 이정희 p. 2273-2282

진성리더십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individual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철우 p. 2283-2294

국립민주묘지와 신암선열공원의 유영봉안소 실감콘텐츠화 필요성과 방안 = Necessity and plan of installing realistic contents in the funeral homes of the National Cemeteries of Democracy and Shinamseonyeol Park 전용덕 p. 2295-2306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환선굴의 관광 수요예측 = Forecasting of tourism demand in Hwanseon Cave using time series data 정해선, 이강준 p. 2307-2319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문봉·김정하(2014),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18(3): 519-537. 미소장
2 권혜진(2012),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6): 133-147. 미소장
3 김부미(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분석”, 『수학교육학연구』,22(2): 229-259. 미소장
4 김세루·홍지명·김권일·홍혜경(2008),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141-157. 미소장
5 김영한(2011), “특수학급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1): 15-34. 미소장
6 문병상(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2(4): 49-68. 미소장
7 문태형(2005),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성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26(4):21-33. 미소장
8 박선화·김명화·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9 서소정·문혁준·김정희·부성숙·신희이·강인숙·김민석(2023), 『아동수학지도』, 서울: 창지사. 미소장
10 여은진·이경옥(2004), “유아교사의 개인적, 학문적,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75-192. 미소장
11 유승희·김지현(2017),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3): 49-63. 미소장
12 이대현(2013),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학교수학』, 15(1):201-219. 미소장
13 이명숙(2011),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이 교육학성적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7(2): 177-197. 미소장
14 이진화(2013),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8(2): 65-84. 미소장
15 정정희(2001),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4): 225-241. 미소장
16 한종화(2013),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421-439. 미소장
17 홍희주·정정희(2012),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457-483. 미소장
18 황지희(2007),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Andersson, A.(2011), A ““curling teacher” in mathematics education: Teacher identitiesand pedagogy development”,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3(4):437-454. 미소장
20 Ames, C.(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312. 미소장
21 Ashton, P.(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미소장
22 Baron, R. M. & D. A. Kenny(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미소장
23 Butler, R.(2007),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ssociations withteachers’ help seeking: Examination of a novel approach to teacher motivation”,『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2): 241-252. 미소장
24 Cho, Y. & S. S. Shim(2013),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The role of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2: 12-21. 미소장
25 Czerniak, C. M. & M. Shriver(1994), “An examination of pre-service scienceteachers’ beliefs and behaviors as related to self-efficacy”, 『Journal of ScienceTeacher Education』, 5: 77-86 미소장
26 Elliot, A. J. & M. A. Church(1997),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1):218-232. 미소장
27 Enochs, L. G. & I. M. Riggs(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Science and Mathematics』, 90: 694-70 미소장
28 Epstein, A.& G.L.Willhite(2015), “Teacher efficacy in a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development school”,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7(2): 189-198. 미소장
29 Ernest, P.(2009), Reflections on theories of learning, 『In Theories of mathematicseducation: Seeking new frontiers』, Berlin: Springer.: 39-47. 미소장
30 Luo, F.(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school teachers in Taiwan”, Texa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미소장
31 Malmberg, L. E.(2006), “Goal-orientation and teacher motivation among teacherapplicants and student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1):58-76. 미소장
32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NAEYC)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Promoting good beginnings』, WA: NAEYC & NCTM. 미소장
33 Pajares, M. F.(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미소장
34 Schoenfeld, A. H.(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L: Academic Press. 미소장
35 Shutz, P. A., Pintrich, P. R., & A. J. Young(1993), 『Epistemological beliefs,motivation,and student learning』,GA: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미소장
36 Thompson, A. G.(1992), “Teacher’s Beliefs and Conceptions: a Synthesis of theResearch”, 『Handbook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127-146, VA:NCTM. 미소장
37 Tschannen-Moran, M., Hoy, A. W., & W. K. Hoy(1998), “Teacher efficacy: Its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