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검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Sobel검정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내용: 수학적 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상관관계와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은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수학적 신념, 수학교수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적 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수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문봉·김정하(2014),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18(3): 519-537. | 미소장 |
2 | 권혜진(2012),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6): 133-147. | 미소장 |
3 | 김부미(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분석”, 『수학교육학연구』,22(2): 229-259. | 미소장 |
4 | 김세루·홍지명·김권일·홍혜경(2008),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141-157. | 미소장 |
5 | 김영한(2011), “특수학급 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1): 15-34. | 미소장 |
6 | 문병상(2009), “인식론적 신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22(4): 49-68. | 미소장 |
7 | 문태형(2005),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성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연구”, 『아동학회지』, 26(4):21-33. | 미소장 |
8 | 박선화·김명화·주미경(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9 | 서소정·문혁준·김정희·부성숙·신희이·강인숙·김민석(2023), 『아동수학지도』,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10 | 여은진·이경옥(2004), “유아교사의 개인적, 학문적, 사회환경적 요인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75-192. | 미소장 |
11 | 유승희·김지현(2017), “영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3): 49-63. | 미소장 |
12 | 이대현(2013),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신념 분석”, 『학교수학』, 15(1):201-219. | 미소장 |
13 | 이명숙(2011),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이 교육학성적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7(2): 177-197. | 미소장 |
14 | 이진화(2013),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8(2): 65-84. | 미소장 |
15 | 정정희(2001),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2(4): 225-241. | 미소장 |
16 | 한종화(2013),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421-439. | 미소장 |
17 | 홍희주·정정희(2012),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457-483. | 미소장 |
18 | 황지희(2007),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Andersson, A.(2011), A ““curling teacher” in mathematics education: Teacher identitiesand pedagogy development”,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3(4):437-454. | 미소장 |
20 | Ames, C.(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312. | 미소장 |
21 | Ashton, P.(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 미소장 |
22 | Baron, R. M. & D. A. Kenny(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 미소장 |
23 | Butler, R.(2007), “Teach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ssociations withteachers’ help seeking: Examination of a novel approach to teacher motivation”,『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2): 241-252. | 미소장 |
24 | Cho, Y. & S. S. Shim(2013),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The role of perceived school goal structure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32: 12-21. | 미소장 |
25 | Czerniak, C. M. & M. Shriver(1994), “An examination of pre-service scienceteachers’ beliefs and behaviors as related to self-efficacy”, 『Journal of ScienceTeacher Education』, 5: 77-86 | 미소장 |
26 | Elliot, A. J. & M. A. Church(1997),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1):218-232. | 미소장 |
27 | Enochs, L. G. & I. M. Riggs(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Science and Mathematics』, 90: 694-70 | 미소장 |
28 | Epstein, A.& G.L.Willhite(2015), “Teacher efficacy in a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development school”,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7(2): 189-198. | 미소장 |
29 | Ernest, P.(2009), Reflections on theories of learning, 『In Theories of mathematicseducation: Seeking new frontiers』, Berlin: Springer.: 39-47. | 미소장 |
30 | Luo, F.(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school teachers in Taiwan”, Texas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 미소장 |
31 | Malmberg, L. E.(2006), “Goal-orientation and teacher motivation among teacherapplicants and student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1):58-76. | 미소장 |
32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NAEYC)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NCTM)(2002), 『Early childhood mathematics,Promoting good beginnings』, WA: NAEYC & NCTM. | 미소장 |
33 | Pajares, M. F.(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 미소장 |
34 | Schoenfeld, A. H.(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FL: Academic Press. | 미소장 |
35 | Shutz, P. A., Pintrich, P. R., & A. J. Young(1993), 『Epistemological beliefs,motivation,and student learning』,GA: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미소장 |
36 | Thompson, A. G.(1992), “Teacher’s Beliefs and Conceptions: a Synthesis of theResearch”, 『Handbook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127-146, VA:NCTM. | 미소장 |
37 | Tschannen-Moran, M., Hoy, A. W., & W. K. Hoy(1998), “Teacher efficacy: Its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