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말러의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 가곡」 중 제1곡 ‘나는 보리수 향기를 맡았네’가 같은 작품임에도 반주 악기에 따라 달라지는 작품의 분위기를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 시의 내용을 파악하고 피아노 반주의 악곡 분석을 바탕으로 피아노 반주와 오케스트라 반주를 비교한다.

연구 내용: 먼저 피아노 반주에서 악곡의 선율·리듬·화성을 분석하였다. 피아노 반주의 울림, 음색과 오케스트라 반주의 두터운 색채감, 목관악기 호흡에 따른 프레이즈 표현, 악기군에 의한 느낌 변화, 오케스트라 악기 주법과 비교하였다.

결론 및 제언: 피아노 반주에서는 악기가 지닌 음색적 한계로 표현에 제약이 있었지만, 오케스트라 반주에서는 중음역 사용, 최소한의 악기 출현, 관현악적 색채의 변화, 성악과 음색 블렌딩 등의 관현악 기법을 구사하여 그 한계점을 뛰어넘었다. 최소한의 악기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로 최대의 관현악 색채 효과를 만들어 낸 악곡이라 할 수 있었다. 향후 나머지 4곡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 가곡」의 종합적인 결론 도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ood of the work depending on the accompaniment instrument in the first song, ‘Ich atmet' einen linden Duft’ of Mahler's Rückert-Lieder.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oem, and then, based on the music analysis of the piano piece, the piano and the orchestra version are compared. In the piano, the melody, rhythm, and harmony of the piece were analyzed. The sound and tone of the piano were compared with the orchestra that includes the thickness of color, the expression of phrases according to the breathing of woodwind, the change of feeling by musical instrument groups, and the playing technique of orchestra. In the piano, there were restrictions on expression due to the timbre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 But in the orchestral, the limits were overcome by using such as the use of the middle range, the appearance of minimal instruments, the change of timbre, and the blending of voice and timbre. In other words, the piece created the max. timbral effect through the orchestra composed of the min. number of instruments. In the future, it is a task to research the remaining four-piece and to draw a comprehensive conclusion on Rückert-Lied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노인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eniors in Korea using text mining :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stress,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 우울, 불안, 스트레스, 삶의 질,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제남주, 박미라, 윤지원, 박정규 p. 2321-2330

중국 공기업에서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ee voice behavior in public enterprises of China :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천전, 진춘화 p. 2331-2345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강화를 위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university students 최봉도 p. 2347-2359

(A) study of the influence factors of internet celebrity marketing on users' on-site tourism intentions =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이용자의 현지 관광 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Jia He p. 2361-2376

신약성경 속 부자의 현대 경영학적 해석 = The modern management interpretation of the wealthy in the New Testament 황유정 p. 2377-2388

(A) study on the impact mechanism of users' subscription intention of mobile music app = 모바일 음악 APP 이용자의 구독 의사에 미치는 영향 메커니즘 연구 Hu Qikai, Hyuntai Kim p. 2389-2403

중장년기 여성학습자가 경험한 주도적 전환과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itiative transformation process experienced by middle-aged female learners 황미화 p. 2405-2418

『真夏の死』に表われた「憤怒」と戦後認識に関する考察 = A study on "Anger" and postwar recognition in Death in Midsummer 黄珍 p. 2419-2428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style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s anxiety 임현주 p. 2429-2442

마이크로디그리의 도입과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Development direction of microdegree and general education 강영돈 p. 2443-2452

임이조 전통춤에 나타난 전통적 가치의 동시대적 표현 양상 = Contemporary expressions of traditional values in Yijo Lim's traditional dance 고유미 p. 2453-2466

4차 산업혁명시대의 K-뷰티산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K-beauty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최지형, 권기한, 정재형 p. 2467-2478

교복 스커트 설계를 위한 여자 고등학생의 하반신 체형분류 연구 = A study on the lower body type classificat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school uniform skirts design 구미란 p. 2479-2491

독일 기본법상 무과실 책임의 법리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jurisprudence of no-fault liability in Germany constitution 구형근 p. 2493-2502

Research on Chinese audience perception with K-pop girl group music videos based on big data = 빅 데이터를 기반한 케이팝 걸그룹의 뮤직비디오에 대한 중국 수용자의 인식 연구 : 걸그룹 Blackpink를 중심으로 : the Blackpink as an example Jing Qiwei, Qin Xiuchuan p. 2503-2516

'걱정하다'류 유의어의 사용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usage patterns of synonyms in the type of 'geokjeonghada' 김민채 p. 2517-2529

염불 명상이 마음치유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Buddha chanting meditation on mind healing : focusing on the practice of 'Byeokgwado' Buddha chanting : 벽과도(擘寡圖) 염불 수행을 중심으로 김수근 p. 2531-2546

대중문학과 순문학(純文學) 사이에서 = Between popular literature and pure literature : Kawabata Yasunari's theory of 'medium novels'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中間小說'론 김순희 p. 2547-2560

(A) study on the post tourist behaviors according to the tourism typology and motivation = 관광 동기와 유형에 따른 관광객의 사후 행동 성향에 관한 연구 Youngwoo Kim, Hyunsook Kim p. 2561-2574

요양보호사의 직업윤리의식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are workers' vocational ethics awareness on the quality of service : the meditation effect of job stress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김영탁, 정지홍 p. 2575-2587

노후부양책임의 유형별 특징과 노인인식의 영향 = A categorization for the responsibility of elder support and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the elder 김주현, 김동심, 주경희 p. 2589-2604

의미망 활동 기반 주제 일기 쓰기가 중국어 작문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mantic mapping based topic diaries on the Chinese writing ability 김진희 p. 2605-2619

명리학 관점에서 체용론 수용양상 연구 = A study of inclusive relationship of the space support in the construction arrangement in Myenglihak 김현정 p. 2621-2636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viewing behavior at online concerts = 대학생의 온라인 콘서트 감상 행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Haoliang Tang, Geni Wu, Jie Wang, Yujun Fei, Daimyung Cho p. 2637-2652

(The) position of women in ancient Indian texts = 고대 인도 텍스트에서의 여성의 위상에 대한 연구 : 카우틸랴의 아르타샤스트라를 중심으로 : with special reference to Kautilya's Arthashastra Ubhay Bharati, Shyam Kumar Anand p. 2653-2664

경찰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olice social support on stress 박가희 p. 2665-2675

19世纪金正喜,李尚迪在北京的交流研究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Kim Jung-hee and Lee Sang-jeock in Beijing in the 19th century 朴建孩 p. 2677-2689

언어재활 전공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llege life of adult learners majoring in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박소현, 황수진, 박진 p. 2691-2703

가족형태에 따른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dolescents' family life adapt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family type 박승민, 신선임, 오승재, 노종선, 변복수 p. 2705-2719
정서 지원 부모교육에 대한 유치원 부모의 인식 및 요구 = Perception and demand of kindergarten parents for emotional support parent education 배지현, 조유진, 이경진 p. 2721-2735

아동의 사회성 및 행복감 증진을 위한 복합국악 활용 음악치료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 of music therapy program using complex Korean traditional for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ity and happiness 변혜민 p. 2737-2748

말러의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 가곡」 중 제1곡 '나는 보리수 향기를 맡았네'의 피아노 반주 분석과 오케스트라 반주 비교 = Analysis of the first song 'Ich atmet' einen linden Duft' from Mahler's Rückert-Lieder and comparison with piano and orchestra accompaniment 서현양, 조대명 p. 2749-2763

미얀마 카렌족 재정착 난민의 한국 사회 적응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social adaptation of the resettled Karen refugees in Myanmar 송인선 p. 2765-2777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과사용에 미치는 연구 = The research of smartphone overuse i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신선임 p. 2779-2790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사회적 차별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discrimination factors in Korean textbooks : focusing on Aja! Aja! Korean 1 and 2 for migrant workers : 『이주노동자를 위한 아자! 아자! 한국어 1, 2』를 중심으로 신정명 p. 2791-2803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성과 불안장애 = Internet gaming addiction tendency and anxiety disorder : moderating effect of fetal sex hormones : 태아기 성호르몬의 조절 효과 심경옥 p. 2805-2816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scontinuous use intention of digital fitness platform users = 디지털 피트니스 플랫폼 이용자의 비지속적 사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Miwei Xie, Yeonpung Oh p. 2817-2831

식민지 인도에서의 신여성 출현 과정 = The emergence of new women in colonial India 아난드 샴 꾸마르 p. 2833-2843

진로개입 평가에서 단일문항척도를 활용한 개별사례접근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an idiographic approach using a single-item scale in a career intervention evaluation 안성식 p. 2845-2854

신카이 마코토의 재난 3부작 속 여성 영웅 서사 분석 = Analysis of the heroine's journey in the disaster trilogy by Makoto Shinkai Ruan Wentao p. 2855-2869

SCP模式下上海地区体育产业市场可持续发展研究 =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ports industry market in Shanghai under SCP mode 왕동연, 이승애 p. 2871-2882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mersive behavior on augmented reality-based picture books = 초등학생의 증강현실 기반 그림책에 대한 몰입행동 분석 연구 Tecnam Yoon p. 2883-2895

PBL 수업이 대학생의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PBL class on learning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윤혜림 p. 2897-2909

전남 누정·원림의 특징과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activation plan of Nujeong and garden in Jeollanam-do 이강수, 윤영주 p. 2911-2923

연의소설의 연원과 형성 연구 = A study o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Yanyi novels 이광훈, 지화룡 p. 2925-2935

해외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교정시설 문화예술교육의 현황 및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art education in correctional facilities in Korea through overseas cases 이대영, 이은진 p. 2937-2948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만족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anc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Korea 이비, 윤미라 p. 2949-2960

장률 영화와 윤동주 시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rtextuality of Zhang Lu movie and Yun Dong-ju poetry 이미옥 p. 2961-2974

기억의 이야기들과 비전의 글쓰기 = Stories of memory and writing of vision 이민경 p. 2975-2989

고등학생의 자기성찰, 사회적 관심, 긍정적 학급풍토가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bility to self-reflect, societal interest, and positive classroom climate on their multicultural attitudes 이병임 p. 2991-3002

자동차 제조업의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f the effects of followership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utomotive manufactur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the LMX mediating effect : LMX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보열, 김주일 p. 3003-3016

지역 문화재생 전략으로서 '세렌디피티' 연구 = A study on 'serendipity' as local cultural regeneration strategies : focused on achieve a self-reliance strategies of cultural arts cooperative : 문화예술협동조합의 자립 전략을 중심으로 이상우 p. 3017-3027

가덕도 일본군 군사시설 사적지의 다크 투어리즘 가치 재고 = Rethinking the value of dark tourism in the historic site of Japanese military facilities in Gadeok Island 이상원 p. 3029-3041

재중 탈북 여성에 대한 중국의 대응과 인권 보호 방안 연구 = A study on China's response to North Korean women defecting to China and how to protect their human rights 이소영 p. 3043-3052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보체크」 제1막 1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Act 1, Scene 1 from Alban Berg's opera Wozzeck 이쉐린, 조대명 p. 3053-3067

대학교 4학년의 영어학습 탈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and career barrier of university senior students 이영림, 차민영, 임희주 p. 3069-3080

여대생의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silencing between self-discrepa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이유주, 이정윤 p. 3081-3095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다현(2019), “Gustav Mahler 「Rückert Lieder」에 대한 연구 및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구슬아(2012), “Gustav Mahler의 《Fü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ükert》에 분석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소은(2006), “Gustav Mahler 에 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수민(2015), “Gustav Mahler의 「Ruckert 시에 의한 5가지 가곡」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혜옥(2003), “Gustav Mahler의 Ruckert 시에 의한 다섯 개의 가곡”,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신인선(2006), 『20세기 음악』, 서울: 음악세계. 미소장
7 이경미(2005), “Gustav Mahler의 가곡 「Fü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ükert」의 피아노 반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정복주·채은희(2009), 『성악예술: 연주와 문헌』, 서울: 예솔. 미소장
9 주혜림(2011), “구스타프 말러의 오케스트라 가곡 연구: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의 가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최미소랑(2017),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의 「5 Rückert Lieder」 분석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허영한·김문자·박미경·주대창·권송택·이석원·신인선(2009), 『새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서울: 심설당.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