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말러의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 가곡」 중 제1곡 ‘나는 보리수 향기를 맡았네’가 같은 작품임에도 반주 악기에 따라 달라지는 작품의 분위기를 논의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 시의 내용을 파악하고 피아노 반주의 악곡 분석을 바탕으로 피아노 반주와 오케스트라 반주를 비교한다.
연구 내용: 먼저 피아노 반주에서 악곡의 선율·리듬·화성을 분석하였다. 피아노 반주의 울림, 음색과 오케스트라 반주의 두터운 색채감, 목관악기 호흡에 따른 프레이즈 표현, 악기군에 의한 느낌 변화, 오케스트라 악기 주법과 비교하였다.
결론 및 제언: 피아노 반주에서는 악기가 지닌 음색적 한계로 표현에 제약이 있었지만, 오케스트라 반주에서는 중음역 사용, 최소한의 악기 출현, 관현악적 색채의 변화, 성악과 음색 블렌딩 등의 관현악 기법을 구사하여 그 한계점을 뛰어넘었다. 최소한의 악기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로 최대의 관현악 색채 효과를 만들어 낸 악곡이라 할 수 있었다. 향후 나머지 4곡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 가곡」의 종합적인 결론 도출이 과제로 남아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다현(2019), “Gustav Mahler 「Rückert Lieder」에 대한 연구 및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구슬아(2012), “Gustav Mahler의 《Fü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ükert》에 분석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소은(2006), “Gustav Mahler |
미소장 |
4 | 김수민(2015), “Gustav Mahler의 「Ruckert 시에 의한 5가지 가곡」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혜옥(2003), “Gustav Mahler의 Ruckert 시에 의한 다섯 개의 가곡”,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신인선(2006), 『20세기 음악』, 서울: 음악세계. | 미소장 |
7 | 이경미(2005), “Gustav Mahler의 가곡 「Fünf Lieder nach Gedichten von Rükert」의 피아노 반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정복주·채은희(2009), 『성악예술: 연주와 문헌』, 서울: 예솔. | 미소장 |
9 | 주혜림(2011), “구스타프 말러의 오케스트라 가곡 연구: 「뤼케르트 시에 의한 5개의 가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최미소랑(2017),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의 「5 Rückert Lieder」 분석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허영한·김문자·박미경·주대창·권송택·이석원·신인선(2009), 『새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서울: 심설당.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