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티무르조 초기의 지배층은 마와라안나흐르의 몽골-투르크계 유목 부족 세력으로, 이들은 국가의 고위 관직 군사력을 장악했다. 그러나 ‘몽골-투르크계 유목 부족 지배층’이란 개념은 광범위한 동시에 모호하며, 실제로는 유목 부족 세력 중에 티무르와 개인적으로 친분을 쌓은 특정 씨족이나 개인이 그의 가신으로 발탁되어 최고위 지배층이 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같은 부족 내에도 군주의 가신과 가신이 아닌 이들, 그리고 중심 씨족과 예속 씨족 간의 구분이 존재했으며 이는 유목 사회의 신분질서가 되었다.

그런데 사회적 변동이 심했던 티무르조 초기에는 신분질서가 매우 유동적이어서, 과거의 예속 부족 출신이 한 세대 만에 최고 아미르의 지위에 오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티무르의 손자로 그의 사후 사마르칸트를 장악한 할릴 술탄 또한 자신의 가신집단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기성 신분질서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다. 그는 몽골-투르크 사회에서 비교적 지위가 낮은 보조군대 출신과 많은 수의 타직인을 거느렸으며, 심지어 전쟁에서 포로로 잡은 이라크 출신의 노예를 가신으로 삼아 기존 지배층을 실각시키는 도구로 삼았다. 그의 정권은 4년 만에 붕괴되었고 그는 신분질서를 파괴했다는 명목으로 질타를 받았으나, 이러한 지배층의 세대교체는 티무르조 역사의 매 세대마다 볼 수 있는 현상이었다. 즉, 몽골-투르크 유목 세력은 티무르조의 지배층으로써 항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나, 각 부족 내의 개인이나 특정 씨족의 영향력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그들에게 있어 신분질서는 유동적이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본 제국/식민지 체제와 전체주의 담론의 긴장 = Reading tension between Japanese empire colony system and totalitarian discourse in Jogwang : 『조광』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윤정 p. 13-48

전시체제기(1937년~1945년) 일제의 '적색 제국주의' 소련 표상 = Jogwang’s representation of Soviet Union’s wartime "red imperialism", 1937-1945 : 잡지 『조광』을 중심으로 황동하 p. 49-88
청년의 초상과 청년교육 = Portrait of youth and youth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of Jogwang during world war two : 『조광(朝光)』을 중심으로 본 전시체제기 교육담론 김은영 p. 89-132

『조광』에 나타난 1930~40년대 식민지 도시-농촌 담론 = Urban-rural discourse in colonial Korea from Jogwang : from diagnostics to reorganization : 진단 담론에서 재편성 담론으로 김승정 p. 133-166
1862년 농민항쟁 과정의 공론의 형성 = Formation of public opinions through peasants’ struggle : focusing on Hyang-hoe and Min-hoe assembies : 향회와 민회를 중심으로 송찬섭 p. 169-214
일제하 고등사범학교 유학생의 구성과 교직 선출 = A study on Korean students at Japanese higher normal schools, 1910-1945 김광규 p. 215-259
일제하 '과학적'이라는 말의 의미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 Text mining analysis of colonial-era Dong-A Ilbo and Chosun Ilbo on the meaning of 'scientific' : 『동아일보』, 『조선일보』 수록 용례를 중심으로 조형열 p. 261-297
태평양전쟁 발발 직전 조선의용대의 남양 지역 활동과 성격 = A study on the nature and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in 'Nam Yang' region on the eve of the Pacific War 류동연 p. 299-331
전시체제기 국민체력관리와 건민운동 = National fitness management and Geonmin Undong (healthy people movement) in wartime colonial Korea 최규진 p. 333-395

잊힌 기억에서 '화랑혼(花郞魂)'의 대명사로 = A study of 'Bulam Mountain Guerrilla Unit' in view of history and memory : 6·25전쟁 초기 '불암산 유격대'에 대한 기억의 역사와 정체성, 기념의 문제 이동건, 남호현 p. 397-432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경제운영원리 = Economic operation principles of the 1st Five 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in South Korea 신용옥 p. 433-484

티무르조 할릴 술탄의 가신 구축과 신분질서 = Khalil Sultan’s entourage building and Timur’s social status order 이주연 p. 485-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