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국내 유학생 멘토의 영어회화 멘토링 프로그램 참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nternational student mentors' participation in a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mentoring program in Korea / 장형지 ; 윤성규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3

1. 대학생 비교과 영어캠프 프로그램 3

2. 유학생 멘토링 활동 4

Ⅲ. 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자료 수집 및 분석 7

Ⅳ. 결과 및 논의 7

1. 국내 유학생 멘토링을 활용한 영어회화 프로그램 설계 7

2. 유학생 멘토링 활동에 대한 영어회화 프로그램 만족도 9

3. 핵심역량 분석 결과 11

Ⅴ. 결론 및 제언 12

참고문헌 13

[부록] 1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he) intelligibility of Korean-accented English in the lingua franca context Bohyon Chung, Hyun Kyung Miki Bong p. 1-16

보기
Peer review, revision, and writing quality in L2 writing Woo-hyun Jung p. 17-40

보기
Coh-Metrix 시스템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모의고사 읽기 지문의 학년 간 연계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inter-grade continuity of the reading passages of high school English mock CSAT tests using Coh-Metrix 류지수, 전문기 p. 41-59

보기
교양영어 수업에서 번역기를 사용한 대학생의 경험 및 인식 =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using machine translators in a general English class 오희정 p. 61-83

보기
중등영어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범대학 연계 직무연수 수요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 The needs analysis and program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connection with a school of education : the case of Gangwon province : 강원지역을 대상으로 이유진 p. 85-108

보기
국내 유학생 멘토의 영어회화 멘토링 프로그램 참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international student mentors’ participation in a college English conversation mentoring program in Korea 장형지, 윤성규 p. 109-127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면선. (2017). 대학생을 위한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 연구: 1:1 밀착 수업 지도를 중심으로. 언어연구, 33(1), 1-26. https://doi.org/10.18627/jslg.33.1.201705.1 미소장
2 김재희. (2022). 중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형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연구–S 대학교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6(5), 381-396. 미소장
3 김지혜. (2017). 외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1(2), 537-562. 미소장
4 나경희. (2010). 국내영어집중캠프 참여가 우리나라 대학생의 영어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영문학 연구, 52(3), 151-171. https://doi.org/10.18853/jjell.2010.52.3.008 미소장
5 윤지원. (2022). 내외국인 교류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자 인식 연구. 인문사회 21, 13(1), 1505-1518. 미소장
6 윤지원, 심혜령. (2019).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대상 상호동료튜토링 프로그램연구-실제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3, 101-124. https://doi.org/10.21716/TKFL.53.5 미소장
7 이길영, 황명식. (2004). 대학생 멘토링이 중학생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 59(2), 237-268. 미소장
8 이민경. (2019).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동료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만족도와 효과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15(2), 183-206. https://doi.org/10.18842/klaces.2019.15.2.008 미소장
9 이선영, 나윤주. (2018).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응 실태조사–교양교과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 167-193. 미소장
10 장형지. (2006). 대학생을 위한 합숙형 영어몰입프로그램의 실제와 효과: 미국복수 학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 7(2), 150-168. 미소장
11 정숙희. (2015). 공강을 활용한 영어학습 프로그램의 학습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269-292. 미소장
12 최성호, 장경원. (2018). 4차 산업혁명 대비 주요국 동향과 직업능력개발 훈련, 한국산업인력공단. 미소장
13 하명애. (2016). 대학비교과 영어 프로그램 효과 사례연구: 원어민 교수 수업을 중심으로. 영어교과교육, 15(2), 79-100. https://doi.org/10.18649/jkees.2016.15.2.79 미소장
14 Alleman, E., Cochran, J., Doverspike, J., & Newman, I. (1984). Enriching mentoring relationships.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62(6), 329-332. https://doi.org/10.1111/j.2164-4918.1984.tb00217 미소장
15 Cameron, L. (1993). Book Reviews: Margo Murray with Marna A. Owen (1991) Beyond the Myths and Magic of Mentoring: How to facilitate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Asia Pacific Journal of Human Resources, 31(1), 108-109. https://doi.org/10.1177/103841119303100114. 미소장
16 Nam, K. M. (2020). The effect of peer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1, 1-3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