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실시한 뒤 수업 내에서의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소재 A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운영된 〈메타버스 한국어〉 교과목에서는 의사소통 과제를 중심으로 모듈형의 수업을 구성하고 ‘공간 탐색 및 언어 지식의 활성화’, ‘실재감 체험 및 자율적 몰입’, ‘다감각적 상호작용’, ‘상호작용 확장 및 내재화’의 네 절차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교과목 운영을 통해 본고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이 상호작용의 유형과 방법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소통의 깊이와 대상을 확장시키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은 오브젝트 활동에 참여하며 수행 과정 내에서 서로의 수행 양상에 영향을 받으며 비가식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결과적 측면에서 역시 서로의 게시물에 댓글, ‘좋아요’ 등 반응을 표시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주고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어 아바타 간 문자 기반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아바타로 인해 정서적 부담감이 경감되어 다소 풍부하고 정확한 언어 의사소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후속되는 대면 음성 의사소통에서 역시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유의미한 대화 연습을 하게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 양상은 기존의 말하기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작용했던 측면이 보완될 수 있음이 확인된 것으로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발견된 긍정적 상호작용 양상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학습자들은 선진적인 매체를 활용해 한국어를 교수·학습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수업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경험을 실세계에서의 소통 능력과 학업 능력 향상으로 연결시킨다. 즉, 〈메타버스 한국어〉 수업은 기존의 교실 수업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의 기회와 경험을 확장하는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개념적 혼성 기반 보조용언 '-고 말다'의 의미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construction of auxiliary verbs '-go malda' on conceptual blending theory 김동훈 p. 5-30

문장의미 구조에서 바라본 부사어의 유형 = Types of adverbs by sentence semantic approach 한주희 p. 31-55

음운론과 형태론의 접면에 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interface of phonology and morphology 홍희정 p. 57-83

<심청전> 이본에 나타난 '화주승 시주 제안'의 유형과 변모 양상 = The transformation aspect and the type of 'A Buddhist monk's offering suggestion’ appeared in different version <Shimcheongjeon> 경일남 p. 85-111

<쇼듕화역대셜>의 반동인물 고찰 = A study on the antagonists from Sojunghwayeokdaeseol : focused on the war narratives : 전쟁서사를 중심으로 윤보윤 p. 113-146

ChatGPT 시대 한문 해석의 지향점 연구 =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chinese translation in the era of ChatGPT : focusing on the tension between universality and diversity : 보편성과 다양성 쟁점을 중심으로 이병찬 p. 147-171

어린이 인권의 문화지형도와 선언의 수행성 = Cultural topography of children's human rights and the performance of declaration :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declaration on the children's human rights in the 1980s and 2000s : 1980년대~2000년대 어린이 인권 선언의 의미 김화선 p. 173-198

전환과 배제 = Transition and exclusion : 황린론 박수연 p. 199-223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국가의 현대시에 투영된 노동의식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labor consciousness projected in modern poetry of capitalism and socialist states : focusing on the literary therapeutic perspective of coal mine poems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 남한·북한·중국의 탄광시가 지닌 문학치료적 관점을 중심으로 정연수 p. 225-253

<더 글로리>에 나타난 가해자의 권력과 폭력 연구 = A study on the assailant's power and violence in <The Glory> 조규찬 p. 255-28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 도구 개발 = A study on developing of assessment tools for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 item analysis according to item response theory : 문항반응이론에 따른 문항 분석 김현주, 김은경 p. 281-304

일제강점기 야학 교재와 조선어 교육에 대한 고찰 = Study of night school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송미영 p. 305-330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의 설계 원리 및 적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metaverse : focusing on interaction patterns 심지연, 류선숙, 김민경 p. 331-359

한국어 시점 시간 부사 유의어의 변별 교육 = A study on distinguishing temporal ad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윤주리, 송정근 p. 361-391

한국어 교재의 성차별적 요소 연구 = A study on the gender discriminatory factor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이금영 p. 393-427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민경 심지연 류선숙, 「메타버스 기반의 교양한국어 교과목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연구」,『교양교육연구』 16(6),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183~195쪽. 미소장
2 류선숙·김민경·전형길,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Journal of Korean Culture』 55,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271~299쪽. 미소장
3 류선숙, 「메타버스(Metaverse) 기반의 한국어 교과목 설계에 관한 가능성 탐색 연구」,『교양교육연구』 16(2),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289~305쪽. 미소장
4 박진철,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Metaverse) 활용 가능성 탐색」,『한국언어문화학』 18(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117~146쪽. 미소장
5 양은별·류지헌,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와 교사 아바타가 학습실재감과 시각적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1629~1653쪽. 미소장
6 장지영,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게더타운(Gather.town)을 중심으로」,『한국어교육』 32(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1, 279~301쪽. 미소장
7 전재천·정순기,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한국정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361~368쪽. 미소장
8 천시우·최은경,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초급 한국어 교육 방안 : 대학부설한국어교육기관의 교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837~864쪽. 미소장
9 홍희경,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융합』 43(9),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1~23쪽. 미소장
10 Smart, J. et al., Metaverse roadmap: Pathways to the 3D Web. A cross-industry public foresight project, 2007, (http://www. metaverseroadmap.org/MetaverseRoadmapOverview. pdf). 미소장
11 Bokyung, K. et al., “Educational applications of metavers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Health Professions 18, 2021. 미소장
12 Jackson, J., “Myths of active learning: Edgar Dale and the cone of experience”, Journal of the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Society 20(2), 2016, 51~53. 미소장
13 Ning, H. et al., A Survey on Metaverse: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arXiv preprint arXiv:2111.09673, 2021. 미소장
14 Mystakidis, S., Metaverse. Encyclopedia 2(1), 2022, 486~49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