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여가 참여시간과 여가활동 몰입, 반추가 여가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ime engagement, flow, rumination on leisure life satisfaction : the dual model of leisure passion : 여가스포츠 활동에 대한 열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조종완 p. 1-28
코로나19 위기 이후 기업의 현금보유 증가에 대한 가치관련성과 ESG 활동의 영향 = The value relevance of cash holdings after COVID-19 crisis and effects of ESG activities 이윤정, 박종일 p. 29-65
B2B에서 B2C로 전환하는 시장에서 블루오션 찾기 = In search of blue ocean in the market evolving from B2B to B2C : focusing on allergy testing market in Korea : 알레르기 검사 시장 가치혁신 전략 수립사례 박경민, 홍정기, 백유림, 이효주 p. 67-104

Corporate response to hostile activism = 적대적 행동주의에 대한 기업 정책 변화 Jun Kyung Auh p. 105-115
국내 생명보험시장의 효율성 분석 = Efficiency in the Korean life insurance industry : focusing on life insurance companies specialized in internet and bancassurance : 인터넷 및 방카슈랑스 전문 생보사를 중심으로 김용우, 최진선, 김영민 p. 117-142
Firms’ strategic dissemination of tweets around earnings announcement dates = 이익공시 시점에서 트위터를 통한 기업의 전략적 공시 Chae Won Lee, Jonghwan (Simon) Kim p. 143-174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에 따른 TV 광고 활성화 방안 연구 = Revitalizing TV advertising : exploring multifaceted approaches in response to evolving media consumption patterns 박혜경, 한윤 p. 175-203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호정. 2009. 국내 생명보험회사의 상대적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9(4): 323-330. 미소장
2 고길곤. 2017. 효율성 분석 이론: 자료포락분석과 확률변경분석. 문우사. 미소장
3 김병철. 2017.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생명보험 산업의 효율성 분석. 전문경영인연구20(2): 1-20. 미소장
4 김병철. 2020. 국내 생명보험사의 DEA 효율성과 경영효율지표 및 생명보험사 위험과의상관관계 연구. 금융소비자연구 10(3): 5-24. 미소장
5 김병철. 2021. 국내 생명보험사의 코로나19 전 후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24(4): 133-151. 미소장
6 김석영. 2022. 전속설계사의 분포와 시사점. KIRI 리포트(포커스) 558: 1-7. 미소장
7 김욱․이기성. 2019. DEA 방법을 이용한 한국과 중국 생명보험회사의 자산운용 효율성분석. 아태연구 26(2): 229-257. 미소장
8 김정동․손민지. 2008. 방카슈랑스 도입에 따른 생명보험사의 효율성 변화. 보험학회지79: 61-92. 미소장
9 김재현. 2007. 방카슈랑스 도입에 따른 생명보험회사의 비용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연구. 보험금융연구 50: 3-40. 미소장
10 김재현. 2016. 초효율성을 이용한 생명보험회사의 효율성 순위 연구. 보험학회지 107: 143-166. 미소장
11 목월. 2018. DEA방법을 이용한 한․중 생명보험회사의 자산운용 효율성에 대한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2 민재형․김진한. 2000. 한국생명보험산업의 효율성 평가와 비효율성 원인의 규명: 비모수적접근. 경영학연구 29(1): 323-356. 미소장
13 박은진․이원기․강호영. 2009.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생명보험사의 경영효율성 평가. 경영교육연구 53(1): 25-50. 미소장
14 박희우. 2021. 온라인채널 보험 가입자 상품 연령별특성 분석. KIRI 리포트(포커스) 535:1-7. 미소장
15 배세영․김희창. 2017. Dynamic-Network DEA를 이용한 우리나라 생명보험회사의 효율성분석. 보험학회지 109: 103-138. 미소장
16 서수덕. 2014. 우리나라 생명보험 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국제회계연구 53: 372-392. 미소장
17 신종각. 2006. 생명보험회사의 설립형태 및 규모별 생산성 변화추이 분석. 보험금융연구17(1): 3-34. 미소장
18 안철경․정인영. 2018a. 보험회사의 비대면채널 활용 현황과 시사점. KIRI 리포트(포커스)452: 1-11. 미소장
19 안철경․정인영. 2018b. 신용보험의 활용과 과제. KIRI 리포트(포커스) 454: 1-16. 미소장
20 안철경. 2020. 포스트 코로나 전망과 과제 : 보험회사 CEO 설문조사. KIRI CEO Report 2020(3): 1-19. 미소장
21 윤경준․최신융․강정석. 2005. DEA를 통한 공공조직 벤치마킹 정보의 단계적 도출. 한국행정학보 39(2): 233-262. 미소장
22 이석호. 2020. 방카슈랑스 시행에 따른 생명보험사의 비용효율성 영향 분석: Bootstrap DEA와 Stochastic Frontier Analysis를 중심으로. KIF 연구보고서 2020(4): 1-86. 미소장
23 이형석․김기석. 2008.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국내 생명보험산업의 상대적 효율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192-206. 미소장
24 임성묵. 2008. DEA에서 투입․산출 요소 선택 방법. 산업공학 22(1): 44-55. 미소장
25 정세창. 2008. 생명보험회사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21(5): 775-781. 미소장
26 정재욱․김재현. 2008. 유해산출물을 고려한 생명보험회사의 효율성 연구. 보험금융연구19(2): 109-135. 미소장
27 조영현. 2019. 금리 하락이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과제. KIRI 리포트(포커스) 477: 1-8. 미소장
28 지홍민. 2006. Free Disposal Hull 방법을 이용한 생명보험산업의 기술진보 및 퇴보 분석. 보험학회지 74: 225-252. 미소장
29 최성호. 2016. 국내 생명보험산업의 경쟁도 변화에 대한 융합적 연구: 방카슈랑스와 퇴직연금제도의 시행을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5): 201-211. 미소장
30 최장훈․전용식․조용운․오승연․송윤아․변혜원․정원석․김규동․이상우․김진억. 2019. 2019년 보험소비자 설문조사. 보험연구원 연구보고서 2019(3): 1-434. 미소장
31 한기정․전상경․이수진․최현경․이효경․여은정․이기영․윤민섭․오광욱․조혜진․하정림․조성진. 2021. 2020년 보험업 경쟁도평가 결과 보고서. 금융산업경쟁도평가위원회. 미소장
32 Andersen, P., & Petersen, N. C. (1993). A procedure for ranking efficient unit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9(10): 1261-1264. 미소장
33 Banker, R. D., Charnes, A., Cooper, W. W., Swarts, J., & Thomas, D. (1989). An introduction to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some of its models and theiruses. Research in Governmental and Nonprofit Accounting, 5(1): 125-163. 미소장
34 Berger, A. N., Cummins, J. D., & Weiss, M. A. (1997). The coexistence of multiple distribution systems for financial services: The case of property-liability insurance. The Journal of Business, 70(4): 515-546. 미소장
35 Berger, A. N., & Humphrey, D. B. (1997). Efficiency of financial institutions: International surve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98(2): 175-212. 미소장
36 Bowlin, W. F. (1998). Measuring performance: An introduction to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Cost Analysis, 15(2): 3-27. 미소장
37 Coll-Serrano, V., Bolós, V., & Benítez Suárez, R. deaR: Conventional and Fuzzy Data Envelopment Analysis. R package version 1.4. 2023. Available online: https://CRAN.R-project.org/package=deaR (accessed on 16 Feb 2023). 미소장
38 Färe, R., Grosskopf, S., Norris, M., & Zhang, Z. (1994). Productivity growth, technical progress, and efficiency chang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84(1):66-83. 미소장
39 Gardner, L. A., & Grace, M. F. (1993). X-efficiency in the US life insurance industry. Journal of Banking & Finance, 17(2-3): 497-510. 미소장
40 Pastor, J. T., & Lovell, C. K. (2005). A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Economics Letters, 88: 266-271. 미소장
41 Tone, K. (2001). A slacks-based measure of efficiency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30(3): 498-509. 미소장
42 Tone, K. (2002). A slacks-based measure of super-efficiency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43: 32-41. 미소장
43 Wiśnicki, B., & Duda, J. (2016). Assessment of utilization of regions’ transport capacity by the DEA method of determining relative efficiency. Problemy Transportu i Logistyki, 34, 197-207. 미소장
44 Xiaoya, L. I., & Jinchuan, C. U. I. (2008). A comprehensive DEA approach for the resource allocation problem based on scale economies classification. 系统科学与复杂性, 21(4):540. 미소장
45 Zhu, J. (2014). Quantitative mode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benchmark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spreadsheets. New York: Springe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