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lation patterns of women’s language in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ions of the novel The Vegetarian. In terms of translating feminine reference terms, both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ors actively intervened to bridge the cultural gaps and facilitate the reader's understanding. However, regarding feminine-related words, the translators' intervention was not as evident as in the translation of feminine reference terms. Both the English and Russian translators made subtle adjustments to aid the reader's overall comprehension. On the other hand, it was observed that the translation of feminine descriptive language tended to be more literal.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while both translators actively intervened in the translation of feminine reference terms, the intervention was less evident in feminine-related words and feminine-descriptive word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선희. (1991). 여성어에 대한 고찰. 『목원대 논문집』19, 111-128. | 미소장 |
2 | 김욱동. (2023). 『번역가의 길』. 연암서가. | 미소장 |
3 | 김진우 (1985). 『언어』. 탑출판사. | 미소장 |
4 | 민현식.(1995). 국어의 여성어 연구. 『아세아여성연구』34, 1-55. | 미소장 |
5 | 백경숙 & 박은하. (2020). 국내 언어와 성 연구의 주요 성과와 향후 전망. 『사회언어학』28(4), 95-130. | 미소장 |
6 | 서유경. (2012). 한국 여성어 번역과 문화간극: 김주영의 <천둥소리> 러시아어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16(2), 39-67. | 미소장 |
7 | 이명자. (2003). 러시아 남성언어와 여성언어의 변별적 특성들. 『노어노문학』16(2), 107-126. | 미소장 |
8 | 이석규 & 김선희. (1992). 남성어와 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 연구』2, 35-74. | 미소장 |
9 | 이상빈. (2017). 광고와 젠더 번역: 수입자동차 인쇄광고의 남성타킷 번역전략. 『통번역학연구』21(2), 85-108. | 미소장 |
10 | 임홍빈 (1993). 국어의 여성어.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819-829,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1 | 조남민. (2010). 여성어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민족문화연구』33, 143-181. | 미소장 |
12 | 주지언. (2008). 한국어 여성 발화어 연구 방법론 재검토. 『방언학』8, 197-216. | 미소장 |
13 | 채춘옥. (2009). 연변지역의 여성어와 남성어에 대한 고찰–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언어학』17(2), 115-136. | 미소장 |
14 | 홍선희. (2014). 러시아어에서 남성어/여성어의 변별적 특성-대중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26(1), 83-106. | 미소장 |
15 | Lakoff, R. (1975). Language and Woman’s Place. Harper Colophon Books: New York. | 미소장 |
16 | 한강. (2007). 채식주의자. 서울: 창비. | 미소장 |
17 | Smith, D. (역). (2015). The Vegetarian. Portobello Books. | 미소장 |
18 | Хан Ган. (역) (2017). Вегетарианка. Издательство AC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