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우리 사회는 지나온 분단의 역사가 만들어낸 깊은 이념의 골로 사회집단 간 갈등의 파고가 높다. 이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대립과 충돌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민주사회가 되면서 권리 의식이 높아지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개인이나 집단이 지나친 자기주장과 강한 권리 요구에 몰입하면서 극단적인 반목과 대립으로 사회구성원들 간에 상처를 주는 갈등 사회의 모습을 露呈한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和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和의 역사성과 전통성을 검토하였다.
‘和’라는 글자는 이미 발생 초기부터 함께 밥을 지어 먹으며 사이좋게 지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동양의 사상을 대표하는 『논어』, 『예기』, 『중용』, 『주역』, 『명심보감』 등의 서적에는 相生과 會通으로서 和가 무수히 강조되고 있다. 고대의 제천행사인 고구려의 東盟·부여의 迎鼓·濊의 舞天·삼한의 5월제[播種]·10월제[收穫] 등도 다양한 의미가 함의되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사람이 어우러져서 마시고 노래하며 춤추는 공동체의 화목이다. 풍류도 역시 儒佛仙 三敎의 화합이라는 대승적 和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 고대 한반도의 和 사상은 일본열도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열도에서 和를 매우 다양하게 言表하면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은 현대의 우리 인류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즉, 인류는 홀로 존재하기가 어려우므로 고대부터 和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