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영실 (2000). 청소년 재 임신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2 강은숙⋅김은나⋅이숙자 (2010). 미혼모의 아기장래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계간 사회복지, 187, 106-127 미소장
3 강태인 (2014). 해외입양인 생모(生母)의 모성정체성 구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미소장
4 김은정⋅백혜정⋅김희진 (2019). 청소년복지시설 거주 가정 밖 여자 청소년들의 가출 실태와 자립지원 연구. 사회사상과 문화, 22(4), 195-240. 미소장
5 김원희 (2003). 미혼모의 입양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6 김다은 (2018). 입양숙려제도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미소장
7 김미영⋅최정숙 (2022). 아동양육시설 보호종료자의 자립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참여자경험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 ㈜브라더스키퍼. 사회과학연구, 33(1), 3-35. 미소장
8 김수정⋅김지선⋅정익중 (2017).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 한국아동복지학, 58, 1-45. 미소장
9 김은지⋅김동식⋅최인희⋅선보영⋅김나연⋅정다은 (2013).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1-289 미소장
10 김정남 (2019). 가정 밖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범죄 가⋅피해 실태 연구: 학대와 범죄경험 간 상관성을 중심으로.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1-48. 미소장
11 김정남⋅박미랑 (2021).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연구: 취약성과 범죄피해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23(1), 53-84. 미소장
12 김혜영⋅선보영⋅김은영⋅정재훈 (2009). 미혼부모의 사회통합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13 김희진⋅백혜정⋅김은정⋅이미영 (2018). 가정 밖 청소년의 실태와 자립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584. 미소장
14 권지성⋅정정호⋅김진숙 (2018). 국내입양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맥락과 패턴. 한국아동복지학, 64, 173-204. 미소장
15 권지성⋅정익중⋅박현선⋅김아롱 (2022). 국내 입양절차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4(3), 255-282. 미소장
16 노충래⋅김원희 (2004). 시설거주 미혼모의 입양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7, 49-7. 미소장
17 박인선 (1994). 해외입양인의 뿌리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24, 127-156. 미소장
18 보건복지부 (2016). 보건복지백서. 미소장
19 성윤숙 (2013). 주제발표 Ⅱ 인터넷성매매 실태 및 지원방안 : 주제발표 2 : 청소년의 인터넷성매매 실태 및 지원방안. 한국청소년학회 학술대회, 2013(-), 19-46. 미소장
20 성윤숙⋅손병덕 (2014). 스마트시대 대중매체를 통한 청소년의 성 상품화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664. 미소장
21 신경림⋅조명옥⋅양진향 (2013).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 미소장
22 신필식 (2018). 한국 해외입양 아동과 친생모의 이산 과정, 그리고 젠더화 된 고통. 페미니즘 연구, 18(2), 101-147. 미소장
23 신혜령⋅박은미⋅강현아⋅이현주⋅한규제⋅김경희 (2008).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소년자립지원을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아동자립지원센터. 미소장
24 안은미⋅정익중⋅이정애 (2019). 우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외보호여부와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45, 209-230. 미소장
25 안재진⋅김지혜 (2006). 시설미혼모의 양육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아동과 연구, 10(4), 605-624. 미소장
26 안재진⋅최운선⋅권지성⋅변미희 (2019). 입양아동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66, 159-184. 미소장
27 이용우 (2017).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사회정책, 24(1), 97-115. 미소장
28 이미선 (2002). 해외입양인의 자아정체감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4, 114-144. 미소장
29 이춘화⋅조아미 (2004). 청소년 성매매의 상습화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부산:한국청소년개발원. 미소장
30 이창훈⋅안계원⋅김원기 (2017).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 가해 및 피해와 관련된 요인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3(4), 1-14. 미소장
31 이현정 (2021). 모성 정체성의 변화 : 해외입양인 생모의 자녀재회경험 사례연구. 가족과문화, 33(3), 188-236. 미소장
32 육혜련 (2017). 가출청소년의 성매매피해 경험에 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9(1), 109-136. 미소장
33 윤미현 (2000). 10대 미혼모의 임신 및 유아입양 관련요인들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34 이정애⋅정익중 (2020). 가정외보호 퇴소청소년의 건강관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9(1), 81-109. 미소장
35 정익중 (2021). 스마트폰은 아동청소년에게 위기인가, 기회인가?: 정반합의 변증법. 청소년문화포럼, 66, 133-148. 미소장
36 정익중⋅남성희⋅유정아⋅이승진⋅김지현 (2022). 청소년가출 상황에서 부모와 경찰관의찾기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69(2), 187-217. 미소장
37 정익중⋅오정수 (2021). 아동복지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38 정지은 (2022).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 준비 경험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미소장
39 정혜원 (2011). 가출 청소년 성매매 유입예방 및 지원방안(Ⅱ): 가출 청소년 성매매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서울: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미소장
40 최승희 (2008). 입양으로 자녀를 상실한 미혼모들의 슬픔. 사회복지연구, 36, 203-225. 미소장
41 허남순 (2009). 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 공청회. 제 54차 여성정책포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보건복지가족부. 3-28. 미소장
42 Blanton, T. L., & Deschner, J. (1990). Biological mothers’ grief: The postadoptive experience in open versus confidential adoption. Child Welfare, 69(6). 525-535. 미소장
43 Carr, M. J. (2000). Birthmothers and subsequent children: The role of personalitytraits and attachment history. Journal of Social Distress and the Homeless, 9, 339–348. 미소장
44 Creswell, J. W. (2010).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학지사. (원서 출판 2007). 미소장
45 Donnelly, B. W, & Voydanoff, P. (1996). Parenting versus placing for adoption: Consequences for adolescent mothers. Family Relations, 45, 427-434. 미소장
46 Gillmore, M. R.; Lewis, S . M. & Lohr, M. J .(1994), Repeat Pregnancies among adoles cent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3), 536-550 미소장
47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48 Mahler, K. (1997). Young mothers who choose adoption may be regretful, but not usually depressed. Family Planning Perspectives, 29(3), 146–147. 미소장
49 Merriam, S. B. (2005).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강윤수 외 역). 서울: 교우사. (원서 출판 19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