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행복, 탁월성, 합리적 선택, 자제력 없음, 즐거움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나타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의 윤리사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현대적 의의를 고찰한다. 먼저 윤리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관점과 최고선의 두 조건, 그리고 기능논변을 살펴보면서 탁월성, 즉 덕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라는 행복개념을 파악한다. 성격적 탁월성과 관련해서는 그 기원과 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실천적 지혜에 대해서는 철학적 지혜와 비교하면서 그 성질을 파악하고 성격적 탁월성과의 관련성을 논의한다. 이와 함께 자발성의 의미와 합리적 선택의 성격, 그리고 자제력 없음의 가능성과 무절제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또한 활동으로서의 즐거움의 의미를 검토하면서 행복한 삶이 즐거운 삶이라는 점과 관조적 활동이 완전한 행복이라는 점을 고찰한다. 나아가서 자연주의적 접근, 행복개념과 중용개념 등을 중심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덕윤리의 현대적 부활, 이성과 욕구의 상호작용을 통한 도덕적 행위의 설명, 그리고 의무론적 요소와 결과론적 요소의 공존 등을 중심으로 현대적 의의를 살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Aristotle's ethical thoughts in Nicomachean Ethics, focusing on concepts such as happiness, virtue, decision, incontinence, and pleasure, and then to critically discuss his ethical thoughts and their significance.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as the activity of the soul according to virtue is identified by examining Aristotle's teleological perspective on ethics, the two conditions of the highest good, and the function argument. Second, the virtue is grasped, centering on the origin of the virtue of character, moder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virtue of character and phronēsis. The next investigation is about the meaning of voluntary action, the nature of decision, the possibility of incontin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incontinence and intemperance. It is discussed that pleasure is an activity and also complete happiness is contemplative activities. Lastly, Aristotle's ethics is critically reviewed, focusing on the naturalistic approach and the concepts of happiness and moderation and then it is evaluated to have significance in explaining moral behavior through the interaction of reason and desire and also holding deontological and consequenialist elements at the sam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