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확산 방안 연구」. | 미소장 |
2 | 광주광역시 서구청. 2021. 「AI 지능형 통합돌봄케어모델 구축 사업」. 내부자료. | 미소장 |
3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21. 「실효성 제고를 위한 통합적 공공 R&D 이행전략」. | 미소장 |
4 | 길현종·이영수. 2017. 「통합적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 대인서비스를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 미소장 |
5 | 김수완·임정원·최종혁. 2021. 「복지기술은 사회혁신인가: 독거노인을 위한 기술기반 돌봄서비스 사례 연구」. 비판사회정책 17: 7-41. | 미소장 |
6 | 김수완·최종혁. 2019. 「사회서비스 기술혁신 모델로서 복지기술 리빙랩의 쟁점과 유형」. 사회복지정책 46(3): 255-291. | 미소장 |
7 | 김지은·황정민·김수경. 2021.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8 | 김희강. 2022. 『돌봄민주국가』.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9 | 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광복100주년을 향한 새로운 대한민국: 혁신적 포용국가 미래비전 2045」. | 미소장 |
10 | 박선미·김수범. 2019.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ICT 활용 사례 연구」. 서울디지털재단. | 미소장 |
11 | 박소영·이영석·강창욱·박화옥. 2017.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내 복지기술 동향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295-304. | 미소장 |
12 | 사회관계장관회의. 2020. 「사회서비스 혁신방안」. 사회관계장관회의 심의 안건. | 미소장 |
13 | 성지은·송위진·정병걸·최창범·윤찬영·정서화·한규영. 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14 | 성지은·서정주·송위진. 2020. 「공동창조를 지향하는 일본 리빙랩 활동 현황:초고령사회 대응을 중심으로」. 리빙랩 동향과 이슈 2. | 미소장 |
15 | 성지은·김민수·한동숭·계신웅·정은희·서호철·전병훈. 2021a. 「대학 리빙랩 활동 현황 조사・분석 및 과제」. 리빙랩 동향과 이슈 7. | 미소장 |
16 | 성지은·송위진·서호철·김희대·한동숭 ·정은희·김인호·김민수. 2021b. 「지역별리빙랩 네트워크 운영 현황 및 추진 사례 조사·분석」. 리빙랩 동향과이슈 6. | 미소장 |
17 | 성지은·신하영·임소연·정은희·서정주. 2021c. 「<리빙랩과 젠더 포럼> 성과와 과제」. 리빙랩 동향과 이슈 8. | 미소장 |
18 | 성지은·송위진·정병걸·전호일·김미영. 2021d. 「혁신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에서의 최종 사용자 조직화 모델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19 | 성지은·송위진·김수은. 2020.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확산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20 | 성지은·송위진·진우석·정병걸·김은영·김인호. 2022. 「지역의 위기와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21 | 송사리·김태희·박명숙·엄태림. 2019.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돌봄서비스 실천인력의 공감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4(2): 61-85. | 미소장 |
22 | 송위진. 2020.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과제」. KNoLL Working Paper 2020-1. | 미소장 |
23 | 송위진·성지은 ·정미애·김수은 ·이주량 ·박희제·정병걸·한재각 ·이정필·하바라·한규영. 2 019.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전략 연구사업(5차년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24 | 심상완·박을종·이동석·여순주. 2002. 「고령사회대비 복지 과학기술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25 | 안상훈·김수완·박종연. 2017.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10(2): 167-196. | 미소장 |
26 | 오무타미래공창센터. 2020. 「일반사단법인 오무타미래공창센터 사업개요」. 오무타-한국리빙랩네트워크 방문단 회의자료. | 미소장 |
27 | 유범상·유해숙. 2022. 『선배시민론: 시민으로 당당하게 늙어가기』. 인천: 마북. | 미소장 |
28 | 이명진·김명희.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전광역시사회서비스원. | 미소장 |
29 | 이혁준. 2021. 「노인돌봄기관 전문인력의 고령친화기술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오미애·이혜정·정소희·전진아·유재언·이준우. 2021.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II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31 | 임정원·최종혁·김수완. 2021. 「독거노인 대상 ICT/IoT 기반 복지기술 서비스의현황과 쟁점」. 한국사회복지교육 55: 1-38. | 미소장 |
32 | 전용호. 2015. 「노인 돌봄서비스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 인력과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2): 347-379. | 미소장 |
33 | 정가원·김영란·홍승아·배호중 ·김수진·김보영. 2021. 「가족 내 노인돌봄현황과 지역사회 통합돌봄 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미소장 |
34 | 정덕영. 2021. 「성남 시니어산업혁신센터 한국시니어리빙랩 운영사례 및 시사점」. 2021 리본포럼 발표문. | 미소장 |
35 | 정일영·최병삼·송명진·김지은. 2021. 「헬스케어 데이터 공공 플랫폼의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미소장 |
36 | 조미정·박태영. 2016. 「재가노인 사례분석을 통한 돌봄체계 강화방안」.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6: 113-138. | 미소장 |
37 | 최소연. 2022. 「독거노인 돌봄에 있어 인간중심의 IT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2): 455-462. | 미소장 |
38 | 힐러리 코텀. 2020. 『래디컬 헬프: 돌봄과 복지제도의 근본적 전환』. 박경현·이태인 역. 서울: 착한책가게. | 미소장 |
39 | KIAT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 2022.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미소장 |
40 | EEA. 2019. Sustainability Transitions: Policy and Practice . | 미소장 |
41 | Lundvall, B. 1992. National System of Innovation: Toward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 Pinter Publishers, London. | 미소장 |
42 | Geels, F. and Penna, C. 2015. “Societal Problems and Industry reorientation:Elaborating the Dialectic Issue Life Cycle (DILC) model and a case study of car safety in the USA (1900–1995).” Research Policy 44(1): 67-82. | 미소장 |
43 | Mazzucato, M. 2018. “Mission-oriented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 미소장 |
44 | Mazzucato, M. 2019. “Governing Missions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 미소장 |
45 | Muir, R. and Parker, I. 2014. “Many to Many: How the Relational State will transform Public Servic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 미소장 |
46 |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5(1): 14-37. | 미소장 |
47 | OECD. 2021.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ies: a Systemic Policy Approach to address Societal Challenges” In Technology and Industry Policy Papers . No. 100. | 미소장 |
48 |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시니어리빙랩.” 오마이뉴스. 2021.10.14.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780075#cb(검색일: 2022년 11월 5일)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