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기반 복지·돌봄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탐색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기반 복지·돌봄혁신의 현황을 살펴보고 초고령사회의 도래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복지·돌봄혁신 활동의 성과를 높이는데 핵심적 역할 변수로 ‘과학기술혁신-서비스 혁신의 통합’, ‘돌봄 당사자’의 역량 강화를 중요 요소로 설정하였다. 이 틀에 기반하여 현재 복지·돌봄혁신에서 의미있는 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광주 서구와 성남시니어산업혁신센터 사례를 분석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논의하고 과학기술기반 복지·돌봄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기술혁신-서비스 혁신 융합촉진 방안으로서 1) 복지·돌봄 도전과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임무지향적 혁신 프로그램’ 추진 2) 복지·돌봄혁신을 위한 플랫폼 형성·확대를 제시하였다. 둘째, 복지·돌봄혁신 주체들의 역량 강화 방안으로 1)복지·돌봄혁신 리빙랩 활성화 2)시스템 전환의 전망과 전환실험으로서의 프로젝트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policy measures to revitaliz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welfare and care innovation.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and technology-based welfare and care innov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Service Innovation Integration' as a key role variabl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welfare and care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new environment of the advent of a super-aged society,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caring party' was set as an important factor. Based on this framework, we analyzed the cases of the Gwangju Seo-gu and Seongnam Senior Industrial Innovation Centers, which are currently evaluated as meaningful activities in welfare and care innovation, discussed their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and presented policy measures to activat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welfare and care innov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산신도시 도시설계 적용 특성 연구 = An analysis of urban design application in Ilsan Newtown : focused on apartment complex :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김준우 p. 11-44

1인가구 연령대와 전입지 특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 Interaction effects of ag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mobility of one-person households 임태균, 김준영, 박정호 p. 45-89

지방소멸 위기지역 유형화와 특성 분석 = A typology of depopulated areas in Korea : evaluation and characterization by subgroups 이민주, 김슬기, 김의준 p. 93-137

과학기술연구기관의 성별다양성과 일가정양립제도가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and work family reconciliation policy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정윤, 유두호 p. 139-176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기반 복지·돌봄 혁신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cience and technology-based welfare and care innovations’ to respond to a super-aged society : focusing on the degree of technology-service integration and subjectivization of care : 기술·서비스 통합도 및 돌봄 당사자의 주체화를 중심으로 성지은, 송위진 p. 177-214

코로나19 시기 노인가구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변화 분석 = Di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change differentially between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older married couples during COVID-19? : evidence from South Korea : 독거노인과 노인부부가구의 차등적 변화를 중심으로 오종석, 손세호, 안상화 p. 215-262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코로나19 경험과 포스트 코로나 시기 일상 회복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VID-19 experience of the vulnerable children & adolescents and daily recovery during post-COVID-19 전경숙 p. 263-315

G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서울시 노인복지시설 공급 및 입지 특성 연구 = A study on supply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Seoul using GIS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pedestrian accessibility and facility vehicle accessibility : 보행 접근성과 시설 차량 접근성을 중심으로 홍지수, 문지석 p. 317-365

인천지역 청년층의 주관적 일자리 미스매치 현황 및 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subjective job mismatch and effectiveness of young people in Incheon 황광훈 p. 367-405

참고문헌 (4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확산 방안 연구」. 미소장
2 광주광역시 서구청. 2021. 「AI 지능형 통합돌봄케어모델 구축 사업」. 내부자료. 미소장
3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21. 「실효성 제고를 위한 통합적 공공 R&D 이행전략」. 미소장
4 길현종·이영수. 2017. 「통합적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 대인서비스를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미소장
5 김수완·임정원·최종혁. 2021. 「복지기술은 사회혁신인가: 독거노인을 위한 기술기반 돌봄서비스 사례 연구」. 비판사회정책 17: 7-41. 미소장
6 김수완·최종혁. 2019. 「사회서비스 기술혁신 모델로서 복지기술 리빙랩의 쟁점과 유형」. 사회복지정책 46(3): 255-291. 미소장
7 김지은·황정민·김수경. 2021.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8 김희강. 2022. 『돌봄민주국가』. 서울: 박영사. 미소장
9 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9. 「광복100주년을 향한 새로운 대한민국: 혁신적 포용국가 미래비전 2045」. 미소장
10 박선미·김수범. 2019.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ICT 활용 사례 연구」. 서울디지털재단. 미소장
11 박소영·이영석·강창욱·박화옥. 2017.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국내 복지기술 동향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295-304. 미소장
12 사회관계장관회의. 2020. 「사회서비스 혁신방안」. 사회관계장관회의 심의 안건. 미소장
13 성지은·송위진·정병걸·최창범·윤찬영·정서화·한규영. 2017. 「국내 리빙랩 현황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14 성지은·서정주·송위진. 2020. 「공동창조를 지향하는 일본 리빙랩 활동 현황:초고령사회 대응을 중심으로」. 리빙랩 동향과 이슈 2. 미소장
15 성지은·김민수·한동숭·계신웅·정은희·서호철·전병훈. 2021a. 「대학 리빙랩 활동 현황 조사・분석 및 과제」. 리빙랩 동향과 이슈 7. 미소장
16 성지은·송위진·서호철·김희대·한동숭 ·정은희·김인호·김민수. 2021b. 「지역별리빙랩 네트워크 운영 현황 및 추진 사례 조사·분석」. 리빙랩 동향과이슈 6. 미소장
17 성지은·신하영·임소연·정은희·서정주. 2021c. 「<리빙랩과 젠더 포럼> 성과와 과제」. 리빙랩 동향과 이슈 8. 미소장
18 성지은·송위진·정병걸·전호일·김미영. 2021d. 「혁신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에서의 최종 사용자 조직화 모델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19 성지은·송위진·김수은. 2020.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리빙랩 확산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20 성지은·송위진·진우석·정병걸·김은영·김인호. 2022. 「지역의 위기와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전환적 지역혁신정책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21 송사리·김태희·박명숙·엄태림. 2019.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돌봄서비스 실천인력의 공감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4(2): 61-85. 미소장
22 송위진. 2020. 「사회적 도전과제에 대응하는 ‘임무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과제」. KNoLL Working Paper 2020-1. 미소장
23 송위진·성지은 ·정미애·김수은 ·이주량 ·박희제·정병걸·한재각 ·이정필·하바라·한규영. 2 019.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전략 연구사업(5차년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24 심상완·박을종·이동석·여순주. 2002. 「고령사회대비 복지 과학기술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25 안상훈·김수완·박종연. 2017. 「사회적기업 중심의 복지기술 생태계 모델에 관한 서설적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10(2): 167-196. 미소장
26 오무타미래공창센터. 2020. 「일반사단법인 오무타미래공창센터 사업개요」. 오무타-한국리빙랩네트워크 방문단 회의자료. 미소장
27 유범상·유해숙. 2022. 『선배시민론: 시민으로 당당하게 늙어가기』. 인천: 마북. 미소장
28 이명진·김명희.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전광역시사회서비스원. 미소장
29 이혁준. 2021. 「노인돌봄기관 전문인력의 고령친화기술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오미애·이혜정·정소희·전진아·유재언·이준우. 2021.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II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31 임정원·최종혁·김수완. 2021. 「독거노인 대상 ICT/IoT 기반 복지기술 서비스의현황과 쟁점」. 한국사회복지교육 55: 1-38. 미소장
32 전용호. 2015. 「노인 돌봄서비스의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 인력과 공급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2): 347-379. 미소장
33 정가원·김영란·홍승아·배호중 ·김수진·김보영. 2021. 「가족 내 노인돌봄현황과 지역사회 통합돌봄 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34 정덕영. 2021. 「성남 시니어산업혁신센터 한국시니어리빙랩 운영사례 및 시사점」. 2021 리본포럼 발표문. 미소장
35 정일영·최병삼·송명진·김지은. 2021. 「헬스케어 데이터 공공 플랫폼의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36 조미정·박태영. 2016. 「재가노인 사례분석을 통한 돌봄체계 강화방안」.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6: 113-138. 미소장
37 최소연. 2022. 「독거노인 돌봄에 있어 인간중심의 IT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20(2): 455-462. 미소장
38 힐러리 코텀. 2020. 『래디컬 헬프: 돌봄과 복지제도의 근본적 전환』. 박경현·이태인 역. 서울: 착한책가게. 미소장
39 KIAT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 2022.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미소장
40 EEA. 2019. Sustainability Transitions: Policy and Practice . 미소장
41 Lundvall, B. 1992. National System of Innovation: Toward a Theory of Innovation and Interactive Learning . Pinter Publishers, London. 미소장
42 Geels, F. and Penna, C. 2015. “Societal Problems and Industry reorientation:Elaborating the Dialectic Issue Life Cycle (DILC) model and a case study of car safety in the USA (1900–1995).” Research Policy 44(1): 67-82. 미소장
43 Mazzucato, M. 2018. “Mission-oriented Research and Innovation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미소장
44 Mazzucato, M. 2019. “Governing Missions in the 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미소장
45 Muir, R. and Parker, I. 2014. “Many to Many: How the Relational State will transform Public Service.”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미소장
46 Nonaka, I. 1994. “A Dynamic Theory of Organization Knowledge Creation,” Organization Science 5(1): 14-37. 미소장
47 OECD. 2021.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ies: a Systemic Policy Approach to address Societal Challenges” In Technology and Industry Policy Papers . No. 100. 미소장
48 “초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시니어리빙랩.” 오마이뉴스. 2021.10.14.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780075#cb(검색일: 2022년 11월 5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