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수사기관의 통신데이터 수집과 해외 서비스제공자의 협력 의무 : 벨기에의 법제 및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Law enforcement access to communications data : Belgian legal approach / 송영진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벨기에의 통신데이터 수집 관련 법제 3
1. 통신데이터의 수집 3
2. 원격 압수수색 및 온라인 수색 4
III. 벨기에 법원의 판례 분석 6
1. 야후(Yahoo!) 사건 6
2. 스카이프(Skype) 사건 9
IV. 우리나라의 통신데이터 수집 관련 법제 11
1. 우리나라의 관련 법제 및 실무 11
V. 시사점 및 결론 14
참고문헌 18
Abstract 20
범죄수사에 있어 통신데이터의 수집 역시 필수 불가결한 것이 되었고 수사기관은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이렇게 범죄수사에 활용되고 있는 통신데이터는 주로 민간기업 특히 구글, 페이스북 등과 같은 다국적 기업이 보관 및 관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사기관이 해외 서비스제공자로부터 통신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할 때, 이와 같은 문제를 벨기에가 국내법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하는지를 관련 법제와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벨기에는 형사소송법에 통신데이터 수집과 관련된 규정을 마련하고 있고, 해킹 등 기술적 수단을 활용한 온라인수색의 법적 근거 역시 마련하고 있다. 벨기에는 서비스제공자의 국적과 관계없이 자국 영토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자국법이 적용된다고 규정함으로써 해외 서비스제공자에 대해서도 데이터 제공 및 협력의무를 부과하고 있고 이는 법원의 판례에서도 재확인되었다. 이러한 벨기에의 입법례에 비추어보아 국내법에서 통신데이터 수집에 관한 법 개정이 필요한 것인지, 만약 필요하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개정할 것인지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공론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acquisition of 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has grown indispensable for criminal investigation, prompting law enforcement agencies to employ diverse strategies for acquiring such data. This research delves into Belgium’s legal framework and legal precedents to investigate how the country handles and resolves the issue of gathering communication data from foreign service providers by law enforcement agencies. Belgium's Code of Criminal Procedure encompasses provisions for obtaining telecommunications data and conducting online searches through technical means. Belgium also imposes data disclosure and cooperation obligations on foreign service providers by stipulating that services provided within its territory are subject to national law, regardless of the nationality of the service provider, which has been reaffirmed in court cases. Given this Belgian law, additional research and public discourse should occur regarding the need and approach to amending Korean legislat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현준, 이상진. 2019. “비식별화된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제공 절차 도입을 통한 수사기관의 기본권 침해 최소화 방안.” 『형사정책연구』 제30권 제1호. pp.93-122. | 미소장 |
2 | 송영진. 2019. “수사기관의 클라우드 데이터 접근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데이터 예외주의” 논쟁과 각국의 실행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30권 제3호. pp.149-180. | 미소장 |
3 | 이순옥. 2018. “디지털 증거의 역외 압수・수색: 대법원 2017. 11. 29. 선고 2017도9747 판결을 중심으로.” 『중앙법학』 제20권 제1호. pp.117-150. | 미소장 |
4 | 정대용. 2018. “디지털 증거 수집을 위한 온라인 수색의 허용가능성에 관한 연구.”『디지털포렌식연구』 제12권 제1호. pp.67-76. | 미소장 |
5 | 허황. 2018. “최근 개정된 독일 형사소송법 제100조b의 온라인 수색(Online-Durchsuchung)과 제100조a의 소스통신감청(Quellen-Telekommunika tionsuberwachung)에 관한 연구.” 『형사법의 신동향』 제58호. pp.94-141. | 미소장 |
6 | Case Translation: Belgium - Hof van Cassatie van Belgie. 2016. Digital Evidence and Electronic Signature Law Review Vol. 13. | 미소장 |
7 | Court of Cassation of Belgium, February 19, 2019, P.17.1229.N. | 미소장 |
8 | Court of First instance Antwerp, Division Mechelen 27 October 2016, Registry No 1286, Case No 20.F1.105151-12. | 미소장 |
9 | Court of Appeal Antwerp, 15 November 2017, Case No 2016/CO/1006. | 미소장 |
10 | Court of First instance Antwerp, Division Mechelen 27 October 2016, Registry No 1286, Case No 20.F1.105151-12. | 미소장 |
11 | Court of Cassation of Belgium, 1 December 2015, No.P.13.2082.N. | 미소장 |
12 | Cybercrime Convention Committee (T-CY). 2021. “Second Addi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Cybercrime on enhanced co-operation and disclosure of electronic evidence”, T-CY (2020)7. | 미소장 |
13 | EUROJUST. 2016. Cybercrime Judicial Monitor Issue 1. | 미소장 |
14 | Franssen, Vanessa. 2017. “The Belgian Internet Investigatory Powers Act – A Model to Pursue at European Level?.” European Data Protection Law Review Vol. 3, Issue 4. | 미소장 |
15 | Hert, Paul de, Parlar, Cihan, and Thumfart, Johannes. 2018. “Legal arguments used in courts regarding territoriality and cross-border production orders: From Yahoo Belgium to Microsoft Ireland.” New Journal of European Criminal Law Vol. 9, Issue. 3. | 미소장 |
16 | Liguori, Carlos. 2020. “Exploring Lawful Hacking as a Possible Answer to the “Going Dark” Debate.” Michigan Technology Law Review Vol. 26, Issue 2. | 미소장 |
17 | Mayer, Jonathan. 2018. “Government Hacking.” Yale Law Journal Vol. 127, No. 3. | 미소장 |
18 | Ryngaert, Cedric. 2020. Selfless Intervention: The Exercise of Jurisdiction in the Common Interest.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9 | Widenhouse, Kurt C. 2017. “Playpen, the NIT, and Rule 41(b): Electronic “Searches” for Those Who Do Not Wish to be Found.” Journal of Business & Technology Law Vol. 13, Issue 1. | 미소장 |
20 | Lexology. 2018. “Lawful Interception on VoIP services; Skype in Belgium”, https://www.lexology.com/library/detail.aspx?g=cf4cdf3a-f194-4754-a945-db00750edab0 (검색일: 2023년 7월 5일).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