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In his preface of Gay Science, Friedrich Nietzsche expressed his famous motto that “Ja, das Leben is ein Weib”(Yes, life is a woman). When he adopted a ludicrous Baubo who showed her genitalia before the public, he could insidiously reveal his antipathy of woman and truth, deep as well as superficial. One can also trace Nietzsche’s misogynistic tendency in his “vita femina” section of 339. Considering that if “vita femina” should be considered an exhilarating version of woman as life or truth, Nietzsche should have put it as “vitae femina” or “vita feminina.” The recent argument that Nietzsche was actually a proto-feminist loses its ground when we know that Baubo, a persona of Demeter, degenerated into a figure of vita femina, a sly identical version of mors femina, woman of death.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애령. 『여성, 타자의 은유: 주체와 타자 사이』. 서울: 그린비, 2012. 미소장
2 김정현. 니체와 페미니즘 - 데리다와 코프만의 진리 담론을 중심으로 . 『철학』 67(2001): 79-102. 미소장
3 박찬국. 니체와 하이데거의 진리 개념의 비교연구 . 『존재론 연구』 31 (2013):69-102. 미소장
4 박찬국. 『니체와 하이데거』. 서울: 그린비, 2016. 미소장
5 신경원. 니체의 진리. 삶, 심연과 여성 은유 . 『영미문학 페미니즘』 10.1 (2002):157-85. 미소장
6 이재황. 카오스로서의 세계 -니체의 카오스론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17 (2007);381-404. 미소장
7 이진우. 진리의 허구성과 허구의 진실성 . 『철학연구』 35 (1994): 187-208. 미소장
8 임철규. 웃는 하부: 눈과 성기 . 『안과밖』 12 (2002): 195-216. 미소장
9 최상욱. 『하이데거와 여성적 진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6. 미소장
10 Burgard, Peter, ed. Nietzsche and the Feminine. Charlottesville: UP of Virginia, 1994. 미소장
11 Derrida, Jacques. Spurs: Nietzsche's Styles. Trans. Barbara Harlow. Chicago: The Chicago UP, 1979. 미소장
12 Heidegger, Martin. Sein und Zeit. 1927. 『존재와 시간』. 이기상 옮김. 서울: 까치, 1988. 미소장
13 Heidegger, Martin. Nietzsche. Erster Band. 1961. Frankfurt: Klostermann, 1996. 『니체』. 박찬국옮김. 서울: 길, 2019. 미소장
14 Heidegger, Martin. Holzwege. 1977. 『숲길』. 신상희 옮김. 파주: 나남, 2020. 미소장
15 Kelley, Oliver. Womanizing Nietzsche: Philosophy’s Relation to the “Feminine.” NY:Routledge, 1994. 미소장
16 Lacan, Jacques. Écrits: A Selection. 1966. NY: Norton, 1977. 미소장
17 Lubell, Winifred. The Metamorphosis of Baubo: Myth of Woman’s Sexual Energy. Nashville: Vanderbilt UP, 1994. 미소장
18 Nietzsche, Friedrich. Nietzsche’s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Eds. Mazzino Montinari & Giorgio Colli. Berlin: Walter de Gruyter, 1974. [KWA] 미소장
19 Nietzsche, Friedrich. Der Wille zur Macht. 1906. Stuttgart: Alfred Kröner, 1996. 『권력에의 의지』. 강수남 옮김. 서울: 청하, 1988. 미소장
20 Nietzsche, Friedrich. 『즐거운 지식』. 『반 그리스도교』. 곽복록 옮김. 1976. 서울: 동서문화사, 2009. 미소장
21 Nietzsche, Friedrich. 비도덕적 의미에서의 진리와 거짓에 관하여 . 이진우 옮김. 니체전집 3:441-461. 미소장
22 Nietzsche, Friedrich. “Über Wahrheit und Lüge im auβermoralischen Sinne.” Sämtliche Werke;Kritische Studienausgabe. 2nd edition. Eds. Mazzino Montinari & Giorgio Colli. München: Walter de Gruyter, 1999. I: 873-890. [KSA] 미소장
23 Nietzsche, Friedrich. 『즐거운 학문』. 니체 전집 12. 안성찬 홍사현 옮김. 서울: 책세상, 2009. 미소장
24 Nietzsche, Friedrich.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 니체 전집 13. 정동호 옮김. 서울: 책세상, 2014. 미소장
25 Nietzsche, Friedrich. 『선악을 넘어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강두식 옮김. 서울: 동서문화사, 2011. 미소장
26 Nietzsche, Friedrich. 『선악의 저편』. 니체 전집 14. 김정현 옮김. 서울: 책세상, 2009. 미소장
27 Nietzsche, Friedrich. 『우상의 황혼』. 『니체 대 바그너』. 니체 전집 15. 백승영 옮김. 서울: 책세상, 2009. 미소장
28 Nietzsche, Friedrich. 『안티 크라이스트』. 니체 전집 15. 백승영 옮김. 서울: 책세상, 2009. 미소장
29 Nietzsche, Friedrich. 『이 사람을 보라』. 니체 전집 15. 백승영 옮김. 서울: 책세상, 2009. 미소장
30 Olender, Maurice. “Aspects of Baubo: Ancient Texts and Contexts.” Before Sexuality:The Construction of Erotic Experience in the Ancient Greek World. Eds. David M. Halperin et als. Princeton: Princeton UP, 1990. 83-114. 미소장
31 Picart, Caroline. Resentment and the “Feminine” in Nietzsche’s Politico-Aesthetics. University Park, PA: The Penn State UP, 1999. 미소장
32 Vasseleu, Cathryn. "Nor Drowning, Sailing: Women and the Artist's Craft in Nietzsche."Nietzsche, Feminism, and Political Theory." Ed. Paul Patton. London:Routledge, 1993. 71-87. 미소장
33 Zola, Emile. Nana. 1880. 『나나』. 송면 옮김. 서울: 삼성, 197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