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부상한 다크히어로 드라마는 반윤리적이며 반사회적인 것들을 통해 그 서사를 완성한다. 이를 통해 보편적 가치의 변화가 감지됨에 따라 본 연구는 정동 이론을 통해 드라마 〈빈센조〉를 분석하였다.

정동이론은 스피노자에서 비롯되어 들뢰즈 그리고 마수미로 계승되는데, 구조주의가 집중하지 않는 인간의 감정, 기분, 인지 등에 관심을 둔다. 정동의 관점에서 보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정동 체계를 형성하는 하나의 신체로써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된다. 드라마의 분석 방법은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영웅 여행의 단계를 차용하였다. 이는 연구대상 드라마가 영웅서사를 원형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드라마가 재생산하는 보편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 결과, 드라마 〈빈센조〉는 영웅서사를 원형으로 하며 주인공 빈센조가 ‘분노’의 정동을 통해 영웅으로 거듭났음을 확인하였다. 주인공 빈센조가 분노의 정동을 갖게 된 것은 그가 맺은 인연과 관계된다. 이는 빈센조의 생모 오경자와 정신적 스승인 홍유찬을 비롯한 금가프라자의 세입자들 그리고 바벨그룹과 관련된 피해자 유가족 등 약자로 대변되는 이들이 적대자 장준우와 그림자 최명희의 사주로 살해당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 편, 마피아 콘실리에리인 빈센조가 영웅으로 인정받은 것은 약자로 대변되는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의 호명에 있다. 이는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이 강한 리더를 원하는 것에서 기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은 빈센조에 정동됨으로써 잠재된 저항의 정동을 이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다크히어로 〈빈센조〉가 영웅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관계를 통한 분노의 정동 발현과 약자로 대변되는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의 공포와 희망의 정동이 주효하였다. 이를 통해 선(善)이 악(惡)을 이긴다는 보편적 가치의 전복을 확인하였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의 권선징악과 인과응보의 메시지가 유지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불가살이 콘텐츠 속 괴물의 형상과 맥 설화와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monsters in Korean folklore : bulgasari and maek 곽재식 p. 9-26
공연에서 조연 경험이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upporting role experience on psychological state in performance : focused on the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stage fright, self-esteem, self-efficacy as an actor, and immersion in acting : 우울, 무대공포증, 자아존중감, 연기자 자아효능감, 연기몰입을 중심으로 권지혜, 조영일 p. 27-47
디지털 콘텐츠의 행위성과 네트워크의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gency of digital content and the meaning of networks : focused on the Getty Museum challenge : <게티뮤지엄챌린지>를 중심으로 김보름 p. 49-73
한국국학진흥원 개발 고문헌 AI 자동번역 프로그램과 활용 전망 = AI automatic translation program and utilization prospect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박나연 p. 75-113
<슈퍼 마리오> 시리즈 분석을 통한 디지털 게임의 체험 공간 연구 = A study on the lived-space of digital games through the analysis of <Super Mario> game series 박은경 p. 115-136
지역 콘텐츠IP를 활용한 로컬 브랜딩 성공 요인 도출 = Deriving local branding success factors using regional content IP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Mom Katuri> : 애니메이션 <엄마 까투리>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성종현 p. 137-161
포스트 시대, 다크히어로 드라마 <빈센조> 고찰 = A study on the post-era, dark hero drama "Vincenzo" : focusing on Brian Masumi's affect theory :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 이론을 중심으로 윤복실 p. 163-195

전통놀이 고누의 전승동력과 콘텐츠적 가치 = The transmission power and content value of konu, a traditional game 이정훈 p. 197-218

팬덤 실천을 통한 초국적 기억정치에의 개입과 정동의 작동 = Intervention and affect in transnational memory politics through fandom practices : focusing on "BTS atomic bomb t-shirt controversy" : 'BTS 원폭 티셔츠 논란'을 중심으로 이지행 p. 219-245

미디어를 통해 본 현대사회 철도모빌리티의 특징과 가능성 = The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public-train-mobilities in modern society through media : focused on the drama #Izakayasinkansen : 드라마 <#이자카야신칸센>을 중심으로 조소연, 권응상 p. 247-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