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御定宋史筌』은 조선 正祖와 奎章閣臣들에 의해 편찬된 『宋史』 改修書이다. 『송사전』의 특징은 ①남송 말기 황제로서 端宗과 末帝의 本紀를 만든 것, ②遼, 金, 蒙古를 列傳으로 편입시킨 것, ③周敦頤에서 朱熹까지 다섯 명의 理學家를 「五賢傳」으로 독립시킨 것, ④「遺民傳」을 지어서 송에 충절을 다한 사람들을 표창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송사전』 편찬배경의 하나인 正統論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찰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宋史筌』 「遼傳」을 『宋史新編』 「遼傳」과 비교하여 『송사전』의 편찬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宋史筌』 「義例」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은 遼, 金을 ‘동북의 잡종’, ‘고려의 속국’으로 규정하였고, 몽골이 宋을 완전히 멸망시킨 뒤에도 ‘正統’으로서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고려를 열전의 수위에 두어서 포폄의 뜻을 나타내었고, 요, 서하, 금 몽고를 건국 순으로 배열하였다.
『송사전』 「요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체재 면에서 볼 때, 『송사전』은 『송사신편』 「요전」에 비해 더욱 엄밀한 「열전」의 형태를 띠고 있다. 다음으로 『송사전』이 송의 연호를 사용하는 등 『송사신편』에 비해 더욱 철저하게 정통론에 근거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내용 면에서 보았을 때, 『송사전』 「요전」에 인용된 『契丹國志』 계통의 사료는 기본적으로 『續資治通鑑綱目』에서 인용하였다. 게다가 송에 대한 존숭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송이 크게 패한 高梁河와 岐溝關의 싸움을 매우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그리고 고려 관련 기사를 빠짐없이 채록하였으니, 여기에는 편찬의 담당자인 조선의 입장이 반영되었다.
마지막으로 科擧, 儒學, 書籍編纂과 관련한 기사는 하나도 빠짐없이 『송사전』 「요전」에 수록되어 있다. 그 목적은 ‘鑑戒’를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이는 이적인 遼조차 禮樂制度를 닦는다면 ‘중화의 계승자’인 조선은 더욱 예악제도를 진흥시켜야 한다는 의도를 나타낸다. 더 나아가 『송사전』 「외국전」의 배열 순서를 본다면, 「고려전」을 맨 앞에 둔 것은 고려가 遼, 西夏, 金, 元과는 달리 예악제도가 더욱 발전하였음을 암시하게 된다. 이것이야말로 조선이 『송사전』 「외국전」에서 나타내려고 한 궁극적인 의도였다고 생각한다.
한편, 청대 고증학자들도 『송사』의 개수를 시도하였지만, 모두 완성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송사전』의 완성은 사학사적으로 의의가 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宋] 薛居正 等撰, 陳尙君 輯纂, 2005, 『舊五代史新輯會證』,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 미소장 |
2 | [宋] 歐陽脩 撰, [宋] 徐無黨 注, 2016, 『新五代史』, 點校本二十四史修訂本,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3 | [宋] 朱熹 撰, 『資治通鑑綱目』, 朱傑人·嚴佐之·劉永翔 主編, 2010, 『朱子全書』, 上海, 上海古籍出版社·合肥, 安徽敎育出版社. | 미소장 |
4 | (舊傳) [宋] 葉隆禮 撰, 賈敬彦·林榮貴 點校, 2014, 『契丹國志』,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5 | [元] 脫脫 等撰, 1977, 『宋史』, 上海, 中華書局. | 미소장 |
6 | [元] 脫脫 等撰, 2017, 『遼史』, 點校本二十四史修訂本,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7 | [明] 商輅 等撰, 『續資治通鑑綱目』, 文淵閣四庫全書本, 中國基本古籍庫 수록본. | 미소장 |
8 | [明] 王洙 撰, 1977, 『宋史質』, 臺北, 大化書局. | 미소장 |
9 | [明] 王洙 撰, 『史質』, 1996, 四庫全書存目叢書編纂委員會 編, 『四庫全書存目叢書』 史部第20冊, 臺南縣永康市, 莊嚴文化事業有限公司. | 미소장 |
10 | [明] 柯維騏 著, 1936, 『宋史新編』, 上海, 大光書局. | 미소장 |
11 | [高麗] 崔瀣 編, 『東人之文四六』,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編, 1987, 『高麗名賢集』 5, 서울, 成均館大學校出版部. | 미소장 |
12 | [朝鮮] 작자 미상, 正祖年間, 『內閣訪書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 1990, 『奎章閣』13, 서울, 서울대학교. | 미소장 |
13 | [朝鮮] 徐居正 編, 1478, 『東文選』, 한국고전종합DB 수록본. | 미소장 |
14 | [朝鮮] 徐浩修 編, 『奎章總目』,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 1981, 『奎章閣』 4, 서울, 서울대학교. | 미소장 |
15 | [朝鮮] 尹行恁, 憲宗年間, 『碩齋稿』, 한국고전종합DB 수록본. | 미소장 |
16 | [朝鮮] 李德懋, 1900, 『靑莊館全書』, 한국고전종합DB 수록본. | 미소장 |
17 | [朝鮮] 李書九, 1932, 『惕齋集』, 한국고전종합DB 수록본. | 미소장 |
18 | [朝鮮] 正祖 編, 1780, 『御定宋史筌』(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奎1800-v.1-61). | 미소장 |
19 | [朝鮮] 正祖, 1814, 『弘齋全書』, 한국고전종합DB 수록본. | 미소장 |
20 | [後金] 滿文 『大遼國史(dailiyoo gurun i suduri)』(東洋文庫, 청구기호: Ma2-6-3). | 미소장 |
21 | 강혜영, 1994, 「「內閣訪書錄」의 書誌學的 硏究」, 『書誌學硏究』 第10輯, 水原, 韓國書誌學會. | 미소장 |
22 | 계승범, 2012,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문제」, 『한국사연구』 159, 서울, 한국사연구회. | 미소장 |
23 | 김남일, 2010,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의 「凡例」와 화서학파의 『송원화동사합편강목』의 「書法」 비교」, 『韓國史學史學報』 22, 昌原, 韓國史學史學會. | 미소장 |
24 | 金文植, 1999, 「『宋史筌』에 나타난 李德懋의 역사인식」, 『韓國學論集』 第33輯, 서울, 漢陽大學校韓國學硏究所. | 미소장 |
25 | 김순자, 2009, 「고려전기의 거란[遼], 여진[金]에 대한 인식」, 『한국중세사연구』 제26호, 부산, 한국중세사학회. | 미소장 |
26 | 김양섭, 2004, 「元末·明初 金華學派의 正統觀念」, 『中央史論』 20집, 서울,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미소장 |
27 | 盧明鎬, 1999,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韓國史硏究』 105, 서울, 韓國史硏究會. | 미소장 |
28 | 閔斗基·吳金成·李成珪, 1980, 『朝鮮學人의 中國史硏究의 整理와 評價』, 서울大學校東洋史學科. | 미소장 |
29 | 朴性淳, 2001, 「李恒老의 學統과 學問目標」, 『朝鮮時代史學報』 19, 서울, 朝鮮時代史學會. | 미소장 |
30 | 박인호, 2003, 「『송원화동사합편강목』에 나타난 화서학파의 역사인식」, 『朝鮮時代史學報』 27, 서울, 朝鮮時代史學會. | 미소장 |
31 | 서울大學校圖書館 編, 1981, 『奎章閣韓國本圖書解題』 史部1, 서울, 서울大學校圖書館. | 미소장 |
32 | 서울大學校圖書館 編, 1982, 『奎章閣圖書中國本綜合目錄』, 서울大學校圖書館. | 미소장 |
33 | 吳瑛燮, 1990, 「19世紀 中葉 衛正斥邪派의 歷史叙述」, 『韓國學報』 60, 서울, 韓國學會. | 미소장 |
34 | 吳恒寧, 1998, 「朝鮮 世宗代《資治通鑑思政殿訓義》와 《資治通鑑思政殿訓義》의編纂」, 『泰東古典硏究』 第15輯, 南楊州,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 미소장 |
35 | 우경섭, 2012, 「조선중화주의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 『한국사연구』 159, 서울, 한국사연구회. | 미소장 |
36 | 우경섭, 2013,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서울, 유니스토리. | 미소장 |
37 | 이근명, 2012, 「『宋史筌』에 나타난 王安石과 王安石의 改革」, 『中央史論』 36집, 서울,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미소장 |
38 | 이규철, 2013, 「세조대 건주위 정벌과 명의 출병 요청」, 『역사와 현실』 89, 서울, 한국역사연구회. | 미소장 |
39 | 李成珪, 1980, 「「宋史筌」의 編纂背景과 그 特色-朝鮮學人의 中國史編纂에 관한一硏究-」, 『震檀學報』 第49號, 서울, 震檀學會. | 미소장 |
40 | 정옥자, 1998,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 연구』, 서울, 일지사. | 미소장 |
41 | 최숙인, 2005, 「여행자 문학의 관점에서 본 이덕무의 「입연기(入燕記)」 연구」, 『比較文學』 35, 서울, 한국비교문학회. | 미소장 |
42 | 최해별, 2012, 「『御定宋史筌』 권8 「本紀·后妃」 체례개편의 목적:『季漢書』 계승을통한 정통성의 강조」, 『歷史敎育』 124, 서울, 歷史敎育硏究會. | 미소장 |
43 | 추명엽, 2002, 「고려전기 ‘번(蕃)’ 인식과 ‘동·서번’의 형성」, 『역사와 현실』 43, 서울, 한국역사연구회. | 미소장 |
44 | 秋明燁, 2005, 「高麗時期 ‘海東’ 認識과 海東天下」, 『韓國史硏究』 129, 서울, 韓國史硏究會. | 미소장 |
45 | 허태용, 2006, 「17세기 중·후반 중화회복의식의 전개와 역사인식의 변화」, 『韓國史硏究』 134, 서울, 韓國史硏究會. | 미소장 |
46 | 허태용, 2007, 「英·正祖代 中華繼承意識의 강화와 宋·明 역사서의 편찬」, 『朝鮮時代史學報』 42, 서울, 朝鮮時代史學會. | 미소장 |
47 | 허태용, 2014, 「동아시아 중화질서의 변동과 조선왕조의 정치·사상적 대응」, 『歷史學報』 第221輯, 서울, 歷史學會. | 미소장 |
48 | 홍승태, 2013, 「『宋史筌』 「五行志」의 “災異” 기록과 그 의미」, 『韓國史學史學報』 28, 昌原, 韓國史學史學會. | 미소장 |
49 | 홍승태, 2014, 「『宋史筌』 「儒林傳」의 宋儒系統論」, 『韓國史學史學報』 30, 昌原, 韓國史學史學會. | 미소장 |
50 | 高遠, 2005, 「淸代《宋史》學硏究」, 武漢大學博士學位論文. | 미소장 |
51 | 古松崇志, 2003, 「脩端「辯遼宋金正統」をめぐって-元代における『遼史』『金史』『宋史』三史編纂の過程-」, 『東方學報(京都)』 第75冊, 京都,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 미소장 |
52 | 金毓黻, 1957, 『中國史學史』, 上海, 商務印書館(初版: 1941). | 미소장 |
53 | 金鎬德, 1997, 「朝鮮後期の儒敎における華夷論の展開」, 『立命館文學』 第549號, 京都, 立命館大學人文學會. | 미소장 |
54 | 毛利英介, 2015, 「滿洲史と東北史のあいだ-稻葉岩吉と金毓黻の交流より-」, 『東西學術硏究所紀要』 第48輯, 大阪, 關西大學東西學術硏究所. | 미소장 |
55 | 木村拓, 2015, 「朝鮮王朝英祖による「華人子孫」創出の背景」, 『東洋文化硏究』 第17號, 東京, 學習院大學東洋文化硏究所. | 미소장 |
56 | 山內弘一, 2000, 「朝鮮國人李德懋と慕華意識」, 『朝鮮文化硏究』 7, 東京, 東京大學朝鮮文化硏究室. | 미소장 |
57 | 宋晞, 1980, 「讀『宋史筌』高麗傳」, 『宋史硏究論叢』 第2輯, 臺北, 中國文化大學出版部. | 미소장 |
58 | 宋晞, 1989, 「讀宋史筌遼·金傳」, 衣川强 編, 『劉子健博士頌壽紀念宋史硏究論集』, 京都, 同朋舍出版. | 미소장 |
59 | 宋晞, 1992, 「讀『宋史筌』遺民傳」, 『宋史硏究論叢』 第4輯, 臺北, 中國文化大學出版部. | 미소장 |
60 | 宋晞, 1996, 「讀『宋史筌』立端宗·末帝紀」, 『岳飛硏究』 4輯,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61 | 宋晞, 1999, 「讀宋史筌蒙古傳」, 『宋史硏究論叢』 第5集, 臺北, 中國文化大學出版部(初出: 1996). | 미소장 |
62 | 承志, 2009, 『ダイチングルンとその時代』, 名古屋, 名古屋大學出版會. | 미소장 |
63 | 愛宕松男, 1988, 「遼金宋三史の編纂と北族王朝の立場」, 『愛宕松男東洋史學論集』 第4卷: 元朝史, 東京, 三一書房(初出: 1951). | 미소장 |
64 | 吳漫, 2009, 「論明代宋史著述的史料學價値」, 『第十三届明史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 北京, 中國明史學會. | 미소장 |
65 | 吳漫, 2012, 『明代宋史學硏究』, 北京, 人民出版社. | 미소장 |
66 | 奧村周司, 1979, 「高麗における八關會的秩序と國際環境」, 『朝鮮史硏究會論文集』 16, 東京, 朝鮮史硏究會. | 미소장 |
67 | 奧村周司, 1984, 「使節迎接禮より見た高麗の外交姿勢」, 『史觀』 第110冊, 東京, 早稻田大學史學會. | 미소장 |
68 | 王秀麗, 2004, 「《續資治通鑑綱目》纂修二題」, 『史學史硏究』, 2004年第2期, 北京, 北京師範大學. | 미소장 |
69 | 劉浦江, 2008, 「從『遼史·國語解』到『欽定遼史國語解』」, 『松漠之間』,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70 | 陳學霖, 1990, 「柯維騏『宋史新編』述評」, 『宋史硏究集』 第20輯, 臺北, 國立編譯館. | 미소장 |
71 | 朱仲玉, 1984, 「明代福建史學家柯維騏和《宋史新編》」, 『福建論壇』, 1984年第1期, 福州, 福建社會科學院. | 미소장 |
72 | 秋山高志, 2009, 『水戶の文人』, 東京, ぺりかん社. | 미소장 |
73 | 侯虎虎·賀小娜, 2005, 「試論明人的《宋史》硏究」, 『延安大學學報』社會科學版, 第27卷第3期, 延安, 延安大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