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谷川士淸(1709-1776)와 本居宣長(1730-1801)는 같은 지역 출신으로서 같은 시대를 살면서 편지를 주고받으며 긴밀히 학문적 교류를 하였다. 그들은 神道家로서 『日本書紀』와 『古事記』를 神典으로 認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인식은 결코 그들에게만 국한된 게 아니었고, 그 당시에는 普遍的이었다. 또한 『日本書紀』를 重視하고 『古事記』를 輕視하는 風潮가 일반적인 상황이었지만, 註釋書로서 谷川士淸는 『日本書紀通證』을, 本居宣長는 『古事記傳』을 각각 著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谷川士淸는 『日本書紀通證』 35권을 1751년 완성하여 1762년에 간행하였으며, 本居宣長는 1764년에 起稿해서 1798년 脫稿하여 『古事記傳』 44권을 1790년부터 1822년에 걸쳐 完刊하였다.
谷川士淸의 學問的 寄與로는 첫째, 『日本書紀通證』이 『日本書紀』 全篇에 걸친 것으로서 近世에 있어서 『日本書紀』 연구의 先驅者라는 명예를 가진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둘째, 그가 日本 및 中國의 학문에 정통하고 佛典에도 어둡지 않아 合理的이고 實證的 방법을 취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한편 本居宣長의 學問的 寄與로는 첫째 『古事記』에 옛날의 遺風이 比較的 잘 나타나고 있음을 반영하여 『古事記傳』을 저술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그로 인해 『古事記』가 새로이 인식되었으며, 『古事記傳』이 註釋이면서 동시에 歷史 연구가 될 수 있었던 점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神道家로서 『日本書紀』와 『古事記』를 神典으로 認識하면서 註釋 작업을 하여 神道의 精神主義가 강하게 내세워진 것은 결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本居宣長의 경우 『古事記傳』 자체가 객관적인 성격을 지닌 학문적 연구가 아니라 그 자신의 宗敎인 神道에 기초한 註釋書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있다. 반면에 그를 가장 훌륭한 역사가로 보는 견해도 있다. 따라서 두 서적을 인용할 때는 嚴重한 史料 批判을 통해서 史實과 說話를 구별하여 인용해야만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지닌다고 생각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京都大學文學部國史硏究室 編, 1954, 『日本史辭典』, 東京:東京倉元社, 初版; 1960, 改訂增補 新版; 1974, 21版. | 미소장 |
2 | 高柳光壽·竹內理三 編, 1966, 『日本史辭典』, 東京:角川書店, 初版; 1974, 第二版初版; 1982, 14版. | 미소장 |
3 | 竹內理三·山田英雄·平野邦雄 共編, 1977, 『日本古代人名辭典』 1-7, 東京:吉川弘文館. | 미소장 |
4 | 三省堂編修所 編, 上田正昭·津田秀夫·永原慶二 (等)監修, 1994,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改訂新版·机床版>, 東京·三省堂. | 미소장 |
5 | 兒玉幸多 監修, 1995, 『日本史人物辭典』, 東京:講談社. | 미소장 |
6 | 淸原貞雄, 1928, 『日本史學史』, 東京:中文館書店; 1944, 『增訂日本史學史』, 東京:中文館書店. | 미소장 |
7 | 伊豆公夫, 1936, 『日本史學史』, 東京:白揚社; 1947, 東京:月曜書房; 1972, 新版, 東京:校倉書房. | 미소장 |
8 | 東京帝大 史學會 編, 1939, 『本邦史學史論叢』 上·下, 東京:富山房. | 미소장 |
9 | 歷史學硏究會·日本史硏究會 共編, 1956, 『日本歷史講座』 第8卷 日本史學史. 東京:東京大學出版會; 1968, 8刷. | 미소장 |
10 | 坂本太郞, 1958, 『日本の修史と史學』, 東京:至文堂 | 미소장 |
11 | 坂本太郞, 1989, 『修史と史學』 坂本太郞著作集 第5卷, 東京:吉川弘文館. | 미소장 |
12 | 坂本太郞, 2020, 『日本の修史と史學:歷史書の歷史』, 東京:講談社. | 미소장 |
13 | 坂本太郞, 박인호 (외)옮김, 1991, 『일본사학사』, 첨성대. | 미소장 |
14 | 酒井忠雄, 1962, 『日本史學史ノ ト』, 大阪:酒井忠雄. | 미소장 |
15 | 松本芳夫, 1968, 『日本史學史』, 東京:慶應義塾大學通信敎育部. | 미소장 |
16 | 永原慶二, 2003, 『20世紀日本の歷史學』, 東京:吉川弘文館; 하종문 역, 2011, 『20세기 일본의 역사학』, 삼천리. | 미소장 |
17 | 保立道久, 2015, 『日本史學』, 東京:人文書院. | 미소장 |
18 | 村岡典嗣, 1925, 「垂加神道の根本義の本居への關係」, 『思想』 42. | 미소장 |
19 | 村岡典嗣, 1940, 『增訂 日本思想史硏究』, 東京:岩波書店; 1956, 『日本思想史硏究』 第2卷, 東京:創文社. | 미소장 |
20 | 河野省三, 1930, <垂加神道の普及>, 「近世神道の社會敎化」, 『神道の硏究』, 東京:森江書店; 1936, 訂正增補, 東京:森江書店. | 미소장 |
21 | 小林健三, 1934, 「垂加神道の硏究」, 『日本神道史の硏究』, 東京:至文堂. | 미소장 |
22 | 小林健三, 1942, 『垂加神道』 日本思想大系 2, 東京:理想社. | 미소장 |
23 | 河野省三, 1944, 「神道史上に於ける宣長翁」, 『神道史の硏究』, 東京:中央公論社. | 미소장 |
24 | 村岡典嗣, 1956, 『神道史』 日本思想史硏究 第1卷, 東京:創文社; 무라오카 츠네츠구 지음, 박규태 역, 1998, 『일본신도사』, 예문서원. | 미소장 |
25 | 伊豆公夫, 1946, 『日本古代史』, 東京:光文社. | 미소장 |
26 | 坂本太郞, 1951, 『日本史槪說』 上卷, 東京:至文堂, 初版; 1962, 『新訂日本史槪說』 上卷; 1964, 4版. | 미소장 |
27 | 阿部眞琴 (外)編, 1966, 『入門日本史』, 東京:吉川弘文館. | 미소장 |
28 | 佐 木潤之介 (外)編, 1982, 『新編 日本史硏究入門』, 東京:東京大學出版會. | 미소장 |
29 | 津田左右吉, 1919, <記紀の由來性質及び’二書の差異>, 「硏究の目的及び其の方法」, 『古事記及び’日本書紀の新硏究』, 東京:洛陽堂. | 미소장 |
30 | 津田左右吉, 『神代史の硏究』, 1923, 東京:岩波書店. | 미소장 |
31 | 柴田實, 1939, 「江戶幕府の修史事業について」, 東京帝大 史學會 編, 『本邦史學史論叢』 下, 東京:富山房. | 미소장 |
32 | 盧鏞弼, 2019, 「淸末 黃遵憲의 『日本雜事詩』·『日本國志』 著述과 그 史學史的 意義」, 『韓國史學史學報』 39. | 미소장 |
33 | 박재용, 2021, 「사카모토타로(坂本太郞)의 백제사 연구」, 『백제연구』 74, 忠南大 百濟硏究所. | 미소장 |
34 | 盧鏞弼, 2022, 「韓致奫 『海東繹史』의 百濟 王仁 『千字文』 日本 傳播 確認論 比較史的 分析」, 『民族文化』 60, 한국고전번역원. | 미소장 |
35 | 盧鏞弼, 2022, 「日本 寺島良安과 淸 黃遵憲의 百濟 王仁 『千字文』 日本 傳播 確認論 比較 檢討」, 『서강인문논총』 63,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