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金允植, 『續陰晴史』(1980,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2 | 동학농민전쟁백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편, 1996,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1・2‧3‧4‧・8・10・12‧18‧22‧23, 사운연구소 | 미소장 |
3 | 『韓國民衆運動史資料大系: 1894年의 農民戰爭篇附東學關係資料1, 東學書』, (1985, 여강출판사) | 미소장 |
4 | 『東學思想資料集』 1・2(1979, 아세아문화사) | 미소장 |
5 |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3(1986,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6 | 『동학관련판결문집』(1994,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 미소장 |
7 | 황현(김준 역), 1994, 『梅泉野錄』, 교문사 | 미소장 |
8 | 김정기 외, 1983,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 미소장 |
9 | 김진소, 1998, 『천주교 전주교구사』, 빅벨 | 미소장 |
10 | 박찬승 외, 1993,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역사비평사 | 미소장 |
11 | 배항섭 외, 1995, 『1894년 농민전쟁연구 4』, 역사비평사 | 미소장 |
12 | 배항섭, 2002, 『조선후기 민중운동과 동학농민전쟁의 발발』, 경인문화사 | 미소장 |
13 | 배항섭 외, 2020, 『비교와 연동으로 본 19세기의 동아시아』, 너머북스 | 미소장 |
14 | 손정목, 1982, 『한국개항기도시변화과정연구』, 일지사 | 미소장 |
15 | 송건호·강만길 편, 1982, 『한국민족주의론』 1,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16 | 이영호 외, 2000, 『근대교류사와상호인식』,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 미소장 |
17 | 이이화, 1984, 『민족・통일・해방의 논리』, 형성사 | 미소장 |
18 | 張泳敏, 1991, 『白山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韓國獨立運動史의 認識』(白山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편) | 미소장 |
19 | 崔承熙, 1981,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지식산업사 | 미소장 |
20 | 표영삼, 2004, 『동학 1 -수운의 삶과 생각-』, 통나무 | 미소장 |
21 | 한우근, 1970, 『韓國開港期의 商業硏究』, 일조각 | 미소장 |
22 | 홍순권, 1994, 『한말 호남지역 의병운동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3 | 菊池謙讓, 1934, 『朝鮮王國』, 東京: 民友社 | 미소장 |
24 | 趙景達, 1998, 『異端의 民衆反亂-東學と甲午農民戰爭-』, 東京: 岩波書店 | 미소장 |
25 | 金義煥, 1970, 「1892・3年의 東學農民運動과 그 性格」『韓國史硏究』 5 | 미소장 |
26 | 김정기, 1988, 「대원군의 납치와 반청의식의 형성」『한국사론』 19 | 미소장 |
27 | 金正起, 1989, 「1890년대 서울상인의 撤市同盟罷業과 示威투쟁」『한국사연구』 67 | 미소장 |
28 | 김희영, 2010, 「어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소래마을의 동학농민전쟁」『동학연구』 28 | 미소장 |
29 | 배항섭, 1994, 「개항기(1876∼1894) 민중들의 일본에 대한 인식과 대응」『역사비평』 27 | 미소장 |
30 | 배항섭, 2001, 「개항기의 대청의식과 그 변화 : 민중계의 동향을 중심으로」『韓國思想史學』 16 | 미소장 |
31 | 배항섭, 2002, 「1893년 동학교도와 大院君의 擧兵企圖」『韓國史學報』 12 | 미소장 |
32 | 배항섭, 2017,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기반과 유교」『역사학보』 236 | 미소장 |
33 | 신용하, 1985, 「갑오농민전쟁의 제1차 농민전쟁」『한국학보』 40 | 미소장 |
34 | 이영호, 2011, 「황해도 동학농민군과 기독교 선교사의 접촉과 소통 -매켄지(William J. McKenzie) 선교사를 중심으로-」『한국기독교와역사』 34 | 미소장 |
35 | 李離和, 1989, 「전봉준과 동학농민전쟁」(1) 『역사비평』 계간7호 | 미소장 |
36 | 鄭昌烈, 1985, 「古阜民亂의 硏究」(上・下) 『韓國史硏究』 48・49 | 미소장 |
37 | 조 광, 2003, 「19세기 후반 서학과 동학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동학학보』 6 | 미소장 |
38 | 하우봉, 2002, 「水雲崔濟愚의 對外認識」『한일관계사연구』 17 | 미소장 |
39 | 趙景達, 1994, 「朝鮮の獨立と日淸爭」『季刊中國』 39(1994年冬季号), 東京: 季刊中國刊行委員會 | 미소장 |
40 | Woodside, Alexander, 1998, “Territorial Order and Collective-Identity Tensions in Confucian Asia: China, Vietnam, Korea”, Daedalus, Vol. 127, No. 3 | 미소장 |
41 | Bae, Hang seob, 2013, “Foundations for the Legitimation of the Tonghak Peasant Army and Awareness of a New Political Order”, Acta Koreana, vol.16, no.2 | 미소장 |
42 | Riahi, Keywan et al., 2017, "Th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and their energy, land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mplications: An overview" Global Environmental Change 4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