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교실 스마트기기 휴대학습 정책 정착 방안 = Settlement of the smart device mobile learning policy in the classroom / 이정표 ; 서순식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연구 방법 4
1. 연구참여자 4
2. 자료수집 5
3. 자료분석 6
4. 신뢰성과 타당성 6
Ⅲ. 연구 결과 7
1. 교사 대상 7
2. 학생·학부모 대상 14
Ⅳ. 결론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민(2021). 독일의 교육 분야 메타버스 운영 및 활용 현황. 매일진 해외교육동향 제 408호 기획기사. https://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10091&nTbBo ardArticleSeq=832083에서 2023. 6. 14 인출. | 미소장 |
2 | 곽형석, 신영준(2014). 모바일을 활용한 형성평가가 과학수업의 흥미성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85-29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3.0285 | 미소장 |
3 | 권정민(2022). 최고의 블렌디드 러닝.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 미소장 |
4 | 김정효(2000). 교실아동의 사회적 관계.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5 | 김지광(2021. 6. 1). 스마트기기 휴대학습 [디벗] 어떤 정책인가요? 서울교육, 64(4). https://webzine-serii.re.kr/%EC%8A%A4%EB%A7%88%ED%8A%B8%E A%B8%B0%EA%B8%B0-%ED%9C%B4%EB%8C%80-%ED%95%99%E C%8A%B5-%E3%80%8C%EB%94%94%EB%B2%97%E3%80%8D-%EC %96%B4%EB%96%A4-%EC%A0%95%EC%B1%85%EC%9D%B8%EA% B0%80%EC%9A%94/에서 2023. 1. 3 인출. | 미소장 |
6 | 김혜숙, 계보경, 길혜지, 전종희(2013). 스마트교육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 세종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0(3), 27-48. https://doi.org/10.22804/jke.2013.40.3.002 | 미소장 |
7 | 대한민국 정부(2022. 6. 2). [윤석열정부 국정목표❹]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898392&mem berNo=30808385&vType=VERTICAL에서 2023. 1. 12 인출. | 미소장 |
8 | 도재우, 김수진(2021). 코로나 19 장기화 상황에서 등교수업 전략으로서 BYOD활용을 위한 BYOD연구동향 및 개념 탐색. 현장수업연구, 2(1), 1-22. https://doi.org/10.22768/JFLS.2021.2.1.1 | 미소장 |
9 | 서해합(2022).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피아노 교수법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3(4), 2873-2884. | 미소장 |
10 | 손영환(2011). 교육과 복지를 위한 연구방법론. 서울: 동문사. | 미소장 |
11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8).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개정판). 박영스토리. | 미소장 |
12 | 이정표, 서영민, 김준, 조성환(2022).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강원교육 정책연구 2022-35). 강원: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연구원. | 미소장 |
13 | 임걸, 장윤호, 이은환(2014). 스마트교육 확산에 따른 국내 BYOD 정책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7), 21-36. https://doi.org/10.14400/JDC.2014.12.7.21 | 미소장 |
14 | 임정훈, 안순선(2014). 초등학교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제점에 관한 질적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75-87.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1.75 | 미소장 |
15 | 장준혁, 박판우(2014).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21-528.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4.521 | 미소장 |
16 | 장형진, 남옥선(2021). 영유아 관련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연구동향.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6(2), 109-133. | 미소장 |
17 | 하수연(2021). LMS기반 비대면 On-line 수업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제고방안. 인문사회21, 12(5), 1643-1658. | 미소장 |
18 | Fairfax County School Board. (2023). FCPSOn. Retrieved May 30, 2023, from https://www.fcps.edu/resources/technology/fcpson | 미소장 |
19 | MEXT(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Japan).(2023). GIGA スクール 構想の実現へ. Retrieved May 30, 2023, from https://ww w.mext.go.jp/content/20200625-mxt_syoto01-000003278_1.pdf | 미소장 |
20 |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2023). Educational technology plan. Retrieved May 3 0, 2023, from https://www.moe.gov.sg/education-in-sg/educational-tech nology-journey/edtech-plan | 미소장 |
21 | Sheninger, E. (2022). 디지털 리더십으로 이끄는 최고의 학교-테크놀로지 도구를 활용한 학교 운영-[Digital Leadership Changing Paradigms for Changing Times]. (김보영 역). 서울: 다봄교육. (원전은 2019에 출판). | 미소장 |
22 | Tashakkori, A., & Teddlie, C. (1998). Mix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23 | Tlili, A., Huang, R., Shehata, B., Liu, D., Zhao, J., Metwally, A. H. S., ... & Burgos, D. (2022). Is metaverse in education a blessing or a curse: a combined content and bibliometric analysis. Smart Learning Environments. 9(1), pp. 1-31. | 미소장 |
24 |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 (5th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