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송지원, 「『금합자보(琴合字譜)』의 역사적 의미」, 『한국음악사학보』50권, 한국음악사학회, 2013, 125~146쪽. |
미소장 |
2 |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동양음악』제16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4, 39~70쪽. |
미소장 |
3 |
이보형, 「리듬형의 구조와 그 구성에 의한 장단분류 연구-사설의 율격이 음악의 박자와 결합되는 음악적 사설구조에 기하여-」, 『한국음악연구』제23집, 한국국악학회, 1995, 26~131쪽. |
미소장 |
4 |
이보형, 「장단의 여느리듬형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박자구조 연구」, 『국악원논문집』제8집, 국립국악원, 1996, 101~156쪽. |
미소장 |
5 |
이보형, 「장단 리듬형의 형태구조 및 통사구조와 그 변화연구」, 『동양음악』제19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7, 1~47쪽. |
미소장 |
6 |
이혜구, 『정간보의 정간ㆍ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1987. |
미소장 |
7 |
이혜구, 「장단의 개념」, 『한국음악연구』제19집, 한국국악학회, 1991, 11~33쪽. |
미소장 |
8 |
이혜구ㆍ임미선, 『한국음악이론』, 민속원, 2005.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