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간(井間)의 시가 해석에 관한 논의 = Discussion on interpretation of Jeonggan's beat 최선아 p. 5-25
이혜구와 이보형의 박자론 검토 및 비교 = Review of meter theory related to Korean music : 장단과 박자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성기련 p. 27-54
장단(長短)의 개념과 계통 = The concept and system of Jangdan, the rhythmic pattern : focused on reviewing the songs from <Geumhapjabo琴合字譜> : 『금합자보(琴合字譜)』 수록곡을 통한 검증적 시각을 중심으로 임혜정 p. 55-75
한국음악학에서 음악적 시간의 개념과 요소에 관한 담론 = A discourse on the concept and elements of the musical time in Korean musicology 이용식 p. 77-99
<한림별곡> 관련 악곡의 선율 연구 = A study on the melody of music related to <Halimbyeolgok> 강혜진 p. 101-133
형명 악기 나(鑼)와 바라(哱囉)에 대한 검토 = Examination of Hyeongmyeong instrument Na and Bara 박라희 p. 135-158
세계 속 '아리랑'의 가치와 역할 = The value and role of 'Arirang' in the world 박소현 p. 159-181
일본근대음악관 소장 자료를 통해 본 이시카와 기이치(石川義一)의 궁중음악 채보 활동과 그 내용 = Reconsideration of Ishikawa Giichi's transcription of Korean court music through the analysis of his collection preserved in The TOYAMA Kazuyuki Memorial Archives of Modern Japanese Music 우에무라 유키오 p. 183-228
장단의 박자표기 체계화 및 통일화를 위한 시론 = A discussion on the systematization and unification of time tables of Jangdan : centering on unusual combined meter, unusual paired meter, and unusual unpaired meter : 결합박장단, 혼합박장단, 복합박장단을 중심으로 윤아영 p. 229-243
20세기 초반 가곡의 고착화 과정 검토 = A review of the adhesion process of Gagok so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이동희 p. 245-278

참고문헌 (6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등학, 「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 『남도민속연구』 제26집, 남도민속학회, 2013, 7~32쪽. 미소장
2 강등학 외, 『아리랑의 역사적 행로와 노래』, 안트워프 어소시에이트, 2014. 미소장
3 강평원, 『아리랑 시원지를 찾아서』, 청어, 2004. 미소장
4 곽동현, 「<밀양아리랑>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 연구」, 『음악문헌학』 제3권, 한국음악문헌학회, 2012, 105~138쪽. 미소장
5 권갑하·김영만·김용범, 「아리랑의 글로벌 콘텐츠화를 위한 지역문화 브랜딩 전략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28집,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104~128쪽. 미소장
6 권오성, 『소암권오성문집 7 한국의 민요와 소리를 말하다』, 민속원, 2016. 미소장
7 국악박물관, 『겨레의 노래, 세계의 노래 아리랑』 기획전시 책자, 국립국악원, 2013. 미소장
8 김보희, 「한인 디아스포라 아리랑의 원형과 파생관계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51집, 한국국악학회, 2012, 5~34쪽. 미소장
9 김연갑, 『아리랑』, 현대문예사, 1986. 미소장
10 김연갑, 「<아리랑>의 성격 변화와 정체성 확립과정 고찰」, 『지역문화연구』 제11집,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2, 199~254쪽. 미소장
11 김열규, 『아이랑: 역사여 겨레여 소리여』, 조선일보사, 1987. 미소장
12 김용출. 『독일 아리랑』, 북랩, 2015. 미소장
13 김혜정, 「진도아리랑 형성의 음악적 배경」, 『한국음악연구』 제35집, 한국국악학회, 2004, 269~284쪽. 미소장
14 김혜정, 「음악학적 관점에서 본 아리랑의 가치와 연구의 지향」, 『한국민요학』 제39집, 한국민요학회, 2013, 139~156쪽. 미소장
15 김희선, 「국악의 세계화; 2000년대 해외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27집, 한국공연문화학회, 2013, 357~400쪽. 미소장
16 박소현, 「세계음악 <아리랑>을 통한 몽골과의 교유」, 『몽골학』 제27집, 한국몽골학회, 2009, 247~265쪽. 미소장
17 박슬기, 「민족의 노래로서의 아리랑, 발명과 수행: 아리랑과 조선 민요 담론」, 『비교한국학』 제20권,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9~28쪽. 미소장
18 박찬호 저· 안동림 역, 『한국 가요사 1: 가요의 탄생에서 식민지 시대까지, 민족의 수난과 저항을 노래하다』, 미지북스, 2009. 미소장
19 서정매, 「밀양아리랑의 변용과 전승에 관한 연구」, 『한국민요학』 제35집, 한국민요학회, 2012, 131~166쪽. 미소장
20 심영보, 『세계로 열린 창 월드뮤직』, 해토, 2005. 미소장
21 오태환, 『유구한 역사의 흔적 아리랑』, 돌다리, 1994. 미소장
22 윤중강, 『창작에 희망을 걸다』, 민속원, 2015. 미소장
23 이보형, 「아리랑 소리의 근원과 그 변천에 관한 연구」, 『근대의 노래와 아리랑』, 소명출판, 2009. 미소장
24 이소영, 「융합문화 시대의 새로운 음악 읽기」, 『이소영의 음악비평 생존과 자유』, 민족음악연구회, 2005. 미소장
25 이용식, 「만들어진 전통: <밀양아리랑>의 형성과 전통화 과정」, 『동양음악』 제27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05, 127~159쪽. 미소장
26 이용식, 「<아리랑>의 토속성과 통속성」, 『열상고전연구』 제51집, 열상고전연구회, 2016, 15~35쪽. 미소장
27 이창식,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비교한국학』 제20집,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233~277쪽. 미소장
28 조정현, 「지역표상으로서 아리랑의 위상과 무대화된 진정성의 재인식」, 『민속연구소』 제30권,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2015, 161~186쪽. 미소장
29 진용선, 『중국 조선족의 아리랑』, 수문 출판사, 2001. 미소장
30 최은숙, 「일제강점기 <아리랑> 관련 민족 담론의 구성 양상과 의미」, 『한국민요학』 제40집, 한국민요학회, 2014, 203~226쪽. 미소장
31 최은숙, 「아리랑 세계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민요학』 제51집, 한국민요학회, 2017, 155~187쪽. 미소장
32 Anderson R. Sutton, “‘Fusion’ and Question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in Music,” Korean Studies Vol. 35,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 미소장
33 Atkins, E. Taylor, “The Dual Career of “Arirang”: The Korean Resistance Anthem That Became a Japanese Pop Hi,”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Vol. 66,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07. 미소장
34 Hesselink, Nathan, “Introduction,” Contemporary Directions: Korean Folk Music Engaging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ed. Nathan Hesselink, Berkele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 of California, 2002 미소장
35 Howard, Keith, “Korean Folk Songs for a Contemporary World,” In Contemporary Directions: Korean Folk Music Engaging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Berkeley: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01. 미소장
36 Kim Shi-ŏp, “Arirang: Modem Korean Folk Song,” Korea Journal Vol.28 No.7,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88. 미소장
37 Kim Youn-gap, “The Origin of Arirang and Meari as Its Original Form,” Korea Journal Vol.28 No. 7,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88. 미소장
38 Maliangkay, Roald, Broken Voices: Postcolonial Entanglements and the Preservation of Korea's Central Folksong Tradition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7. 미소장
39 McCann, David R, “Arirang: The National Folk song of Korea,” In Studies on Korea in Transition, ed. David R. McCann, John Middleton, and Edward J Shultz, Honolulu: 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1979. 미소장
40 Miles, B Richard, Teaching Music Through Performing in Band, Vol. 1, Chicago: GIA Publications, Inc. 2010. 미소장
41 Provine, Robert C, “Alice Fletcher's Notes on the Earliest Recordings of Korean Music,” 『한국음반학』 제17호, 한국고음반연구회, 2017. 미소장
42 Riddle, Ronald, “Korean Musical Culture in Los Angeles,” Ethnomusicology, Vol. 6 (Asian Music in North America). Los Angeles: Music Depart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1985. 미소장
43 Simon Frith, “Music and Identity,”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ed. Stuart Hall and Paul du Gay, SAGE Publications Ltd, 1996. 미소장
44 Stringer, Julian, “Sopyonje and the Inner Domain of National Culture,” Im Kwon-Taek: The Making of a Korean National Cinema, In James, David E. & Kim Kyung-hyun(ed.).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45 金智栄·山川力, 『日韓合併とアリラン』, 北海道新聞社, 1992. 미소장
46 朴燦鎬, 『韓国歌謡史 I 1895~1945』, 邑楽舎, 1987. 미소장
47 박태정, 「매년 10월 1일, ‘아리랑의 날’로 제정한다」, 『뉴스1코리아』, 2014.07.25. https://www.news1.kr/articles/?1786022 미소장
48 이준호, 「[뉴스 리포트] ‘정선군 아리랑의 날’ 선포…. 세계화 과제 많아」, 『MBC 강원영동 NEWS』, MBC문화방송, 2021.12.03. https://www.youtube.com/watch?v=1FlxoIyPmQc 미소장
49 최병천, 「캘리포니아주 아리랑의 날 제정 이끈 샤론 쿼크-실바 의원 한국 방문」, 『월드코리안신문』, 월드코리안신문사, 2019.11.19. https://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35717 미소장
50 「[새 음반] 우리 민요 재즈로 재해석」, 서울경제, 2000.06.26.;https://www.sedaily.com/NewsView/1HN6A7G6MD 미소장
51 국악 포털 아리랑 http://arirangs.com 미소장
52 ACT Music https://www.actmusic.com/Kuenstler/Black-String 미소장
53 Album dei ricordi 26° Zecchino d'oro dal 24 al 26 Novembre 1983 ARIRANG(Arirang); Zecchino d'oro-Arirang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2x57YwjgsTk 미소장
54 International Music Council https://www.imc-cim.org/ 미소장
55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https://kr.koreanculture.org/performing-arts/2019/1/17/blackstringSaltaCello http://saltacello.de/en/ 미소장
56 Smithsonian Institution https://folkways.si.edu/unesco 미소장
57 Théâtre équestre Zingaro https://www.bartabas.fr/zingaro/le-theatre/ 미소장
58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s://ich.unesco.org 미소장
59 Yang Bang Ean(양방언), 『Embrace』, 지니뮤직, ENDORF MUSIC, 2015. 미소장
60 『반락, 그 사람의 음반이야기 <진용선> 아리랑로드 : 발길 따라 피어난 아리랑』 CD 1매, 제작 한국문화재재단, 기획사 KOUS, 사가반, 음반 번호 KOUSCD-02, 2016. 미소장
61 「살타첼로의 한국 연가」, 『KBS 1TV 수요기획』, 한국방송공사(KBS), 2005.03.09. 미소장
62 Oscar Pettiford, AH-DEE-DONG BLUES ROYAL, ROOST Records, New York, 1952. 10. 16. 미소장
63 Pete Seeger, A Pete Seeger Concert: Folk Songs And Ballads, Stinson Records – SLP 57, 1953. 미소장
64 SaltaCello, Second flush CD, Good International, 1998. 미소장
65 SaltaCello, Live in Seoul CD, Good International, 1999. 미소장
66 SaltaCello, Salted CD, Good International, 2000. 미소장
67 SaltaCello, Come Together CD, Good International, 2003. 미소장
68 Alice C Fletcher collection of Korean cylinder recordings, Library of Congress. 1896. 미소장
69 金色仮面(小林千代子), 『アリラン』 西條八十 作詞, ビクター文芸部 編曲, 日本ビクター 51819, 193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