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기록된 노비의 체벌과 관련된 서술의 수집과 분류, 분석을 통해 노비 체벌에 전제된 노비의 의무와 규범을 재구성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조선시대 노비의 역량과 자질, 덕목과 교양, 윤리의 실재를 해석학적으로 규명했다. 노비는 노주로부터 명령에 대한 복종, 성실성, 양질의 노동 품질과 빠른 속도, 세심한 육아 태도, 기물 파손 금지, 노주의 취향과 요구에 대한 적절한 응대, 위험 관리 등을 요구받았으며, 근면, 신중, 조심스러움, 예의, 공손, 돌봄, 신뢰, 가족 및 동료에 대한 등의 예의 바른 태도와 언어생활, 윤리 등을 요청받았다. 노주는 노비의 사귐, 다툼, 강간, 간통 등 개인적, 신체적, 성적 부분에 관여했으며, 노비를 통해 감정을 해소하거나 투사하는 등 감정 노동의 수혜를 받았다. 노비는 대체로 노주의 체벌을 일방적, 수동적으로 감내했지만, 때때로 언어와 행동의 차원에서 맞서거나 노주의 부재시나 사후(事後)에 노주를 비판하고 명령을 회피하는 등 노주와의 교섭과 저항, 조율을 시도했다. 노비에 대한 노주의 체벌은 역설적으로 노비의 역량과 자질, 윤리와 교양을 노주가 인정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신분적 위계가 노비에 대한 정당한 인정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일상생활에서 노비 스스로도 명확한 자기 인식을 단련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이해를 공론화하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신분제 사회에 노비의 윤리/교양의 역설로 명명하고, 교육 없는 교육, 문화 없는 문화, 명명 없는 실재의 해석을 통해, 문자화되지 못한 노비의 정체성, 일상, 관계, 감각과 능력의 실재에 대해 사유하는 계기를 제안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방 이후 도시개발 기구의 재편과 새로운 도시 구조의 모색 = Reorganization of the urban development organization after liberation and search for a new urban structure 곽경상 p. 1-27

북한의 조립식 건축의 도입과 '평양속도'의 탄생 = North Korea’s adoption of prefabricated architecture, and the birth of ‘Pyongyang speed’ 김태윤 p. 29-61

아파트를 통해 서울을 소비하기 = Consuming Seoul through apartments : gendered portrayals of apartments in weekly magazines and films, 1961-1972 : 1960년대~1970년대 초 주간지와 영화에 나타난 아파트의 젠더 표상 신지현 p. 63-88

『향약제생집성방』에 수용된 『성제총록』과 '금원사대가'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Shengjizonglu(聖濟總錄) and the 'four great physicians in the Jin and Yuan Dynasties(金元四大家)' accepted in the Hyangyakjesaengjibseongbang(鄕藥濟生集成方) : the development process of medical theories during the Koryo Dynasty : 고려시대 의학이론의 전개 과정 이경록 p. 103-136

조선 왕실 순회묘(順懷廟) 의례의 형성과 특징 = Sunhoimyo ritual formation and character of the Joseon royal family 권용란 p. 137-158

매 맞는 노비와 윤리/교양의 역설 = The punished slaves and the paradox of ethics and culture : a literary hermeneutic study on the Mukjae’s Diary : 『묵재일기』의 문학해석학적 연구 최기숙 p. 159-187

초기 계몽운동에서 법 관념의 향방 = Ideas of law i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political movements of the late 1890s : 『독립신문』과 독립협회를 중심으로 권기하 p. 189-225

연희전문학교 이사회 운영의 특징 =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govern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in Seoul between those of Yenching University in Peking and Meiji Gakuin in Tokyo : 중국 연경대학·일본 명치학원과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문백란 p. 227-257

1970년대 원주지역 벽지보건사업의 전개과정 연구 = A study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mote areas health project in Wonju in the 1970s : centering on the Korean nurses dispatched to Germany : 파독간호사를 중심으로 김소남 p. 259-301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장애, 인지적 공감과 감정 윤리 = Emotional disability,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thics : Son Wonpyeong, Almond(2017) : 손원평, 『아몬드』(2017) 이행선 p. 303-330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奇大升, 『高峯集』(한국고전종합DB 사이트:(https://db.itkc.or.kr/dir/item?itemId=MO#dir /node?dataId=ITKC_MO_0185A_0020_000_0010&viewSync=TR) 미소장
2 유재건, 『이향견문록』, 이성호 옮김, 민음사, 1997. 미소장
3 이문건, 『역주 묵재일기』 1~4권, 김인규 옮김, 민속원, 2018. 미소장
4 이문건, 『국역 묵재일기』 1~6권, 정긍식 외 옮김, 경인문화사, 2019.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4-KFR-1230007) 미소장
5 서유구, 『정조지』 1~4권. 임원경제연구소 정정기 외 옮김, 풍석문화재단, 2020. 미소장
6 오희문, 『쇄미록』 1~8권 국립진주박물관 편,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옮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미소장
7 이덕무, 「사소절」, 『청장관전서』(한국고전종합DB 사이트: https://db.itkc.or.kr) 미소장
8 韓沋劤 외,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5. 미소장
9 강명관. 『노비와 쇠고기』, 푸른역사, 2023. 미소장
10 곽차섭 외,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0. 미소장
11 김용철, 「<묵재일기> 속의 여비(女婢)」,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미소장
12 김지수, 『정의의 감정들: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김대홍 옮김, 너머북스, 2020. 미소장
13 김현숙, 「19세기 중반 양반가 일기에 나타난 노비와 노비 노동」, 『조선시대사학보』 67, 2013. 미소장
14 안대회, 『한양의 도시인』, 문학동네, 2022. 미소장
15 안승준, 『조선 전기 사노비의 사회경제적 성격』, 경인문화사, 2007. 미소장
16 안승준, 「朝鮮時代 奴婢 市場과 去來」, 『장서각』 3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미소장
17 이혜정, 「16세기 奴婢의 삶과 의식 세계: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논문, 2012. 미소장
18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양창렬 옮김, 궁리, 2016. 미소장
19 최기숙, 「조선후기 여성의 ‘문화/문학’적 실천(讀・書・行)을 통한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재성찰: 성찰적 한국학을 위한 학제적 재맥락화」, 『국어국문학』 176, 국어국문학회, 2016. 미소장
20 최기숙, 「여종과 유모: 17~19세기 사대부의 기록으로부터: ‘일상ᆞ노동ᆞ관계’와 윤리 재성찰을 위하여」, 『국어국문학』 181, 국어국문학회, 2017. 미소장
21 최기숙, 「女工ᆞ婦德ᆞ梱政과 ‘영혼 노동’: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장 재성찰」, 『인문과학』 123,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2021. 미소장
22 최기숙,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미소장
23 페터 하프너, 『익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보기: 지그문트 바우만의 마지막 인터뷰』, 김상준 옮김, 마르코폴로, 2022. 미소장
24 피에르 베르제, 『나의 이브생 로랑에게』, 이유진 옮김, 프란츠, 20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