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기록된 노비의 체벌과 관련된 서술의 수집과 분류, 분석을 통해 노비 체벌에 전제된 노비의 의무와 규범을 재구성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조선시대 노비의 역량과 자질, 덕목과 교양, 윤리의 실재를 해석학적으로 규명했다. 노비는 노주로부터 명령에 대한 복종, 성실성, 양질의 노동 품질과 빠른 속도, 세심한 육아 태도, 기물 파손 금지, 노주의 취향과 요구에 대한 적절한 응대, 위험 관리 등을 요구받았으며, 근면, 신중, 조심스러움, 예의, 공손, 돌봄, 신뢰, 가족 및 동료에 대한 등의 예의 바른 태도와 언어생활, 윤리 등을 요청받았다. 노주는 노비의 사귐, 다툼, 강간, 간통 등 개인적, 신체적, 성적 부분에 관여했으며, 노비를 통해 감정을 해소하거나 투사하는 등 감정 노동의 수혜를 받았다. 노비는 대체로 노주의 체벌을 일방적, 수동적으로 감내했지만, 때때로 언어와 행동의 차원에서 맞서거나 노주의 부재시나 사후(事後)에 노주를 비판하고 명령을 회피하는 등 노주와의 교섭과 저항, 조율을 시도했다. 노비에 대한 노주의 체벌은 역설적으로 노비의 역량과 자질, 윤리와 교양을 노주가 인정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신분적 위계가 노비에 대한 정당한 인정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일상생활에서 노비 스스로도 명확한 자기 인식을 단련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이해를 공론화하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신분제 사회에 노비의 윤리/교양의 역설로 명명하고, 교육 없는 교육, 문화 없는 문화, 명명 없는 실재의 해석을 통해, 문자화되지 못한 노비의 정체성, 일상, 관계, 감각과 능력의 실재에 대해 사유하는 계기를 제안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奇大升, 『高峯集』(한국고전종합DB 사이트:(https://db.itkc.or.kr/dir/item?itemId=MO#dir /node?dataId=ITKC_MO_0185A_0020_000_0010&viewSync=TR) | 미소장 |
2 | 유재건, 『이향견문록』, 이성호 옮김, 민음사, 1997. | 미소장 |
3 | 이문건, 『역주 묵재일기』 1~4권, 김인규 옮김, 민속원, 2018. | 미소장 |
4 | 이문건, 『국역 묵재일기』 1~6권, 정긍식 외 옮김, 경인문화사, 2019.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4-KFR-1230007) | 미소장 |
5 | 서유구, 『정조지』 1~4권. 임원경제연구소 정정기 외 옮김, 풍석문화재단, 2020. | 미소장 |
6 | 오희문, 『쇄미록』 1~8권 국립진주박물관 편,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옮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 미소장 |
7 | 이덕무, 「사소절」, 『청장관전서』(한국고전종합DB 사이트: https://db.itkc.or.kr) | 미소장 |
8 | 韓沋劤 외,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5. | 미소장 |
9 | 강명관. 『노비와 쇠고기』, 푸른역사, 2023. | 미소장 |
10 | 곽차섭 외,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0. | 미소장 |
11 | 김용철, 「<묵재일기> 속의 여비(女婢)」,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 미소장 |
12 | 김지수, 『정의의 감정들: 조선 여성의 소송으로 본 젠더와 신분』, 김대홍 옮김, 너머북스, 2020. | 미소장 |
13 | 김현숙, 「19세기 중반 양반가 일기에 나타난 노비와 노비 노동」, 『조선시대사학보』 67, 2013. | 미소장 |
14 | 안대회, 『한양의 도시인』, 문학동네, 2022. | 미소장 |
15 | 안승준, 『조선 전기 사노비의 사회경제적 성격』, 경인문화사, 2007. | 미소장 |
16 | 안승준, 「朝鮮時代 奴婢 市場과 去來」, 『장서각』 3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 미소장 |
17 | 이혜정, 「16세기 奴婢의 삶과 의식 세계: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경희대 박사논문, 2012. | 미소장 |
18 |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양창렬 옮김, 궁리, 2016. | 미소장 |
19 | 최기숙, 「조선후기 여성의 ‘문화/문학’적 실천(讀・書・行)을 통한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재성찰: 성찰적 한국학을 위한 학제적 재맥락화」, 『국어국문학』 176, 국어국문학회, 2016. | 미소장 |
20 | 최기숙, 「여종과 유모: 17~19세기 사대부의 기록으로부터: ‘일상ᆞ노동ᆞ관계’와 윤리 재성찰을 위하여」, 『국어국문학』 181, 국어국문학회, 2017. | 미소장 |
21 | 최기숙, 「女工ᆞ婦德ᆞ梱政과 ‘영혼 노동’: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장 재성찰」, 『인문과학』 123,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2021. | 미소장 |
22 | 최기숙,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 미소장 |
23 | 페터 하프너, 『익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보기: 지그문트 바우만의 마지막 인터뷰』, 김상준 옮김, 마르코폴로, 2022. | 미소장 |
24 | 피에르 베르제, 『나의 이브생 로랑에게』, 이유진 옮김, 프란츠, 202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