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가야금 명인 김종기의 생애사에 대한 재고 = A reconsideration of life of a Gayageum master, Kim Jong-Gi / 이용식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이보형의 조사에 따른 김종기에 대한 정보 4
3. 김종기의 가족 배경 7
1) 집안 내력 7
2) 한자 이름 11
3) 생몰 연도 11
4) 출생지 15
4. 김종기의 음악 관계망과 관계맺기 16
1) 스승 16
2) 제자 18
3) 음악 동료 22
5. 맺는말 34
참고문헌 38
ABSTRACT 4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도희(1993), 「가야금산조 진양의 형식론」, 『한국음반학』 제3집, 고음반연구회. | 미소장 |
2 | 권도희(2001), 「김창조 산조의 양식사적 조망」, 『산조연구』, 은하출판사. | 미소장 |
3 | 권도희(2006), 「김종기 산조와 산조사의 수수께끼」, 『국립민속국악원논문집』 제6집, 국립민속국악원. | 미소장 |
4 | 김동일(2016), 『피에르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5 | 김성혜(1990), 「조선성악연구회의 음악사적 연구」, 『한국음악학논집』 제1집, 한국음악사학회. | 미소장 |
6 | 김영재(1991), 「한국근현대사의 음악가 열전 (IV)-나의 스승 신쾌동선생님을 그리며」, 『한국음악사학보』 제7집, 한국음악사학회. | 미소장 |
7 | 김우진(2005), 「백낙준의 생애」, 『한국음악사학보』 제35집, 한국음악사학회. | 미소장 |
8 | 김인제(1990),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 미소장 |
9 | 김인제(1994), 「고음반에 나타난 김종기 가야금산조의 가락과 현행 정금례의 가락 비교-진양조를 중심으로」, 『한국음반학』 제4집, 고음반연구회. | 미소장 |
10 | 김진애(2008),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음반해설집. | 미소장 |
11 | 노재명(2017), 『조선성악연구회 발자취를 따라서: 1934~1943년 익선동 등에서 활약한 판소리중심의 한국민속음악 독립군, 국악 성지』, 채륜. | 미소장 |
12 | 문순태(1975), 「임방울, 서민의 한 풀어준 소리」, 『월간중앙』 1975년 12월호. | 미소장 |
13 | 박록주(1974), 「나의 이력서 13」, 『한국일보』 1974년 1월 24일자. | 미소장 |
14 | 박미경(2007), 「진도 세습무 박씨 계봉와 인물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41집, 한국국악학회. | 미소장 |
15 | 삐에르 부르디외(2006),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상』, 새물결. | 미소장 |
16 | 손태룡(2011), 『한국전통음악가연구』, 보고사. | 미소장 |
17 | 송방송(2003), 『한국근대음악사연구』, 민속원. | 미소장 |
18 | 송방송(2007),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 미소장 |
19 | 송방송(2012), 「김창조」, 『한겨레음악인대사전』, 보고사, 2012. | 미소장 |
20 | 심새미(2004), 「유대봉 가야금 산조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유영대(2004), 「임방울 판소리의 미학」,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 미소장 |
22 | 이달재, 「이동백과 조선음악」, 『조광』, 1939년 5월호, 5권 5호, 통권 431. | 미소장 |
23 | 이보형(1980), 『가야금산조: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94호』,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3집(87호~96호), 문화재관리국. | 미소장 |
24 | 이보형(1982), 『전라북도국악실태조사: 무형문화재종합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25 | 이보형(1987), 『산조: 무형문화재종합조사보고서(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 미소장 |
26 | 이보형(2004), 「임방울의 음악론」,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 미소장 |
27 | 이숙희(2005), 『김수악: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시리지 3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미소장 |
28 | 이영희 구술, 이용식 조사(2021), 『이영희: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042』, 국립무형유산원. | 미소장 |
29 | 이예원(2015), 「김종기 가야금 산조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이용식(2018), 「남도굿 악사의 삶과 음악-영암의 한씨 고인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제36집, 한국무속학회. | 미소장 |
31 | 이재화(1994), 「유성기 음반에 나타난 김종기 거문고산조 단모리 연구」, 『한국음반학』 제4집, 한국고음반연구회. | 미소장 |
32 | 이진원(2023), 「일제강점기 전통음악 명인 김종기 재조명」, 『김종기류 가야금산조의 특징과 전승 가치』, 김종기류가야금산조보존회 학술세미나 발표집. | 미소장 |
33 | 정익섭(1989), 『개고 호남가단연구』, 민문고. | 미소장 |
34 | 정지연(2013), 「김삼태 가야금 산조의 분석연구-김종기 가야금·거문고 산조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조영애(2022), 『유대봉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 미소장 |
36 | 최동현(2004), 「임방울의 활동」,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 미소장 |
37 | 최동현·송화섭·류장영(2006), 『전라북도 마을굿·산조: 전통문화예술의 정리』, 전라북도 문화예술과. | 미소장 |
38 | 크리스토퍼 스몰(2004), 조선우·최유준 옮김, 『뮤지킹 음악하기』, 효형출판. | 미소장 |
39 | 표인주(2004), 「임방울의 출생과 성장」,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 미소장 |
40 | 표인주 외(2004),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 미소장 |
41 | 하선영(2014),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과 장르적 특성」,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8),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 미소장 |
43 |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0),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 민속원. | 미소장 |
44 | Bourdieu, Pierre(1990), The Logic of Practice, Cambridge: Polit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