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가야금 명인 김종기의 생애사에 대한 재고 = A reconsideration of life of a Gayageum master, Kim Jong-Gi / 이용식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머리말 2

2. 이보형의 조사에 따른 김종기에 대한 정보 4

3. 김종기의 가족 배경 7

1) 집안 내력 7

2) 한자 이름 11

3) 생몰 연도 11

4) 출생지 15

4. 김종기의 음악 관계망과 관계맺기 16

1) 스승 16

2) 제자 18

3) 음악 동료 22

5. 맺는말 34

참고문헌 38

ABSTRACT 4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행 정악가야금보의 율자보 기보 체계에 대한 재고 = A reconsideration on the notation system of Yuljabo in the current Jeongak Gayageumbo 박소현 p. 9-36

보기
카자흐스탄 고려극장과 고려인 가무단 공연예술의 특징과 전망 = The characteristics and prospect of performing arts of Korean diaspora in Kazakhstan : based on interviews with senior artists and the performances at the Republic State Academic Korean Theater : 원로예술가 구술 채록과 고려극장 공연을 바탕으로 서인화 p. 37-62

보기
임란전판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서지학적 검토 = Bibliographic review on the pre-Imjin War edition of 『Akhakgwebeom』 송현이 p. 63-95

보기
김성기의 고조(古調) 연구 = A study on Kim Sung-Gi’s Gojo(古調, old melody) 이동희 p. 97-127

보기
사물놀이 장구의 구음 연구 = A study on the Gueum of Samulnori Janggu 이상규 p. 129-153

보기
가야금 명인 김종기의 생애사에 대한 재고 = A reconsideration of life of a Gayageum master, Kim Jong-Gi 이용식 p. 155-195

보기
조선 초기 의례에서의 당악 사용 및 양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and style of Tang-ak(Tang Music) in early Joseon Dynasty rituals 임영선 p. 197-232

보기
한주환 대금산조의 구성원리 연구 = Study of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Han Ju-Hwan’s Daegeum Sanjo : focused on Jinyangjo in nine audio sources : 9종 음원의 진양조를 중심으로 정소희 p. 259-295

보기
동아시아 문화권 배경에서의 통일신라와 당나라 가릉빈가 기악도상(迦陵頻伽伎樂圖像)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Kalavinka images of the Unified Silla and Chinese Tang Dynasty from an East Asian cultural sphere perspective : focused on images in Cheolgam Seonsa tower in Ssangbong Temple and Mogao cave 159 : 쌍봉사 철감선사탑과 막고굴 159굴 기악도상을 중심으로 馬睿 p. 297-323

보기
연변 민족 개량 악기 관련 연구 = Yanbian ethnic improved musical instruments research. 1, Focusing on the Danso. 1, 단소를 중심으로 박영일 p. 325-347

보기
가중치 변화를 적용한 <계면가락도드리>의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 연구 = Topological data analysis of <Gyemyeongarakdodeuri> with variable weights : focusing on Sigimsae and grace note : 시김새와 장식음을 중심으로 김명옥, 허은우, 최병찬, 정재훈 p. 351-388

보기
<웃도드리>와 <양청도드리>의 선율 구성과 음 집합 연구 = A study on melody structure and tone clustering of <Utdodeuri> and <Yangcheongdodeuri> : using python-based skeletal tone analysis tool : Python 기반의 골격음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박진형, 이재원, 허은우, 최병찬, 정재훈 p. 389-424

보기
운초 장사훈의 세종대 음악 연구 업적 = Uncho Jang Sa-Hun’s research achievements on music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임혜정 p. 233-258

보기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도희(1993), 「가야금산조 진양의 형식론」, 『한국음반학』 제3집, 고음반연구회. 미소장
2 권도희(2001), 「김창조 산조의 양식사적 조망」, 『산조연구』, 은하출판사. 미소장
3 권도희(2006), 「김종기 산조와 산조사의 수수께끼」, 『국립민속국악원논문집』 제6집, 국립민속국악원. 미소장
4 김동일(2016), 『피에르 부르디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5 김성혜(1990), 「조선성악연구회의 음악사적 연구」, 『한국음악학논집』 제1집, 한국음악사학회. 미소장
6 김영재(1991), 「한국근현대사의 음악가 열전 (IV)-나의 스승 신쾌동선생님을 그리며」, 『한국음악사학보』 제7집, 한국음악사학회. 미소장
7 김우진(2005), 「백낙준의 생애」, 『한국음악사학보』 제35집, 한국음악사학회. 미소장
8 김인제(1990),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미소장
9 김인제(1994), 「고음반에 나타난 김종기 가야금산조의 가락과 현행 정금례의 가락 비교-진양조를 중심으로」, 『한국음반학』 제4집, 고음반연구회. 미소장
10 김진애(2008),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음반해설집. 미소장
11 노재명(2017), 『조선성악연구회 발자취를 따라서: 1934~1943년 익선동 등에서 활약한 판소리중심의 한국민속음악 독립군, 국악 성지』, 채륜. 미소장
12 문순태(1975), 「임방울, 서민의 한 풀어준 소리」, 『월간중앙』 1975년 12월호. 미소장
13 박록주(1974), 「나의 이력서 13」, 『한국일보』 1974년 1월 24일자. 미소장
14 박미경(2007), 「진도 세습무 박씨 계봉와 인물 연구」, 『한국음악연구』 제41집, 한국국악학회. 미소장
15 삐에르 부르디외(2006),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상』, 새물결. 미소장
16 손태룡(2011), 『한국전통음악가연구』, 보고사. 미소장
17 송방송(2003), 『한국근대음악사연구』, 민속원. 미소장
18 송방송(2007),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미소장
19 송방송(2012), 「김창조」, 『한겨레음악인대사전』, 보고사, 2012. 미소장
20 심새미(2004), 「유대봉 가야금 산조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유영대(2004), 「임방울 판소리의 미학」,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미소장
22 이달재, 「이동백과 조선음악」, 『조광』, 1939년 5월호, 5권 5호, 통권 431. 미소장
23 이보형(1980), 『가야금산조: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94호』,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3집(87호~96호), 문화재관리국. 미소장
24 이보형(1982), 『전라북도국악실태조사: 무형문화재종합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미소장
25 이보형(1987), 『산조: 무형문화재종합조사보고서(7)』,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미소장
26 이보형(2004), 「임방울의 음악론」,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미소장
27 이숙희(2005), 『김수악: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시리지 3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미소장
28 이영희 구술, 이용식 조사(2021), 『이영희: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구술 자서전 042』, 국립무형유산원. 미소장
29 이예원(2015), 「김종기 가야금 산조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이용식(2018), 「남도굿 악사의 삶과 음악-영암의 한씨 고인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제36집, 한국무속학회. 미소장
31 이재화(1994), 「유성기 음반에 나타난 김종기 거문고산조 단모리 연구」, 『한국음반학』 제4집, 한국고음반연구회. 미소장
32 이진원(2023), 「일제강점기 전통음악 명인 김종기 재조명」, 『김종기류 가야금산조의 특징과 전승 가치』, 김종기류가야금산조보존회 학술세미나 발표집. 미소장
33 정익섭(1989), 『개고 호남가단연구』, 민문고. 미소장
34 정지연(2013), 「김삼태 가야금 산조의 분석연구-김종기 가야금·거문고 산조와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조영애(2022), 『유대봉류 가야금산조』, 은하출판사. 미소장
36 최동현(2004), 「임방울의 활동」,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미소장
37 최동현·송화섭·류장영(2006), 『전라북도 마을굿·산조: 전통문화예술의 정리』, 전라북도 문화예술과. 미소장
38 크리스토퍼 스몰(2004), 조선우·최유준 옮김, 『뮤지킹 음악하기』, 효형출판. 미소장
39 표인주(2004), 「임방울의 출생과 성장」, 표인주 외,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미소장
40 표인주 외(2004), 『국창 임방울의 생애와 예술』, (사) 임방울국악진흥회. 미소장
41 하선영(2014), 「오태석 가야금병창의 음악적 특징과 장르적 특성」,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2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8),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미소장
43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0),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 민속원. 미소장
44 Bourdieu, Pierre(1990), The Logic of Practice, Cambridge: Polit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