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분리드립 커피의 향기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 = Aroma component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drip coffee / 최정현 ; 신혜경 1
Ⅰ. 서론 1
Ⅱ. 이론적 고찰 3
1. 커피의 추출 3
2. 분리드립(Separation drip) 4
Ⅲ. 재료 및 방법 5
1. 재료 5
2. 추출 5
3. 향기성분 분석 방법 7
4. 관능평가 및 기호도 8
Ⅳ. 결과 및 고찰 10
1. 향기성분 분석 결과 10
2. 관능평가 및 기호도 20
Ⅳ. 요약 및 결론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7
[저자소개] 2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희정. (2018). 로부스타 원두의 볶음정도와 측정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 변화의 비교. 한국커피문화연구, 4(1), 17-26. | 미소장 |
2 | 고지연. (2022). 커피의 볶음도에 따른 에스프레소의 비휘발성 성분 함량 변화와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커피문화연구, 8(1), 93-119. | 미소장 |
3 | 김민정. (2021). 스페셜티 커피 시각적 향미표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권아민, & 남궁영. (2022). 커피 브랜드 Social Network Service (SNS) 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도, 브랜드 사랑 및 공동가치창출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31(7), 137-156. | 미소장 |
5 | 김아람. (2014). 추출 방식(여과 vs 침지)과 추출 시간에 따른 냉수 추출 커피의 향미 유도 비휘발성 이화학 성분 및 관능 특성 (국내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지나, & 김주신. (2013). 로스팅 강도에 따른 아라비카 대비 로부스타 추출 커피의 알칼로이드 성분 변화와 원두의 구조 변화. 한국커피산업학회지, 2(1), 10-18. | 미소장 |
7 | 복희정, 진영호(2011). 취향 선호도가 커피 음식의 조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요리과학과 접객업 연구 , 17 (1), 58-77. | 미소장 |
8 | 서지연. (2006). 한국의 원두커피 시장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송만호. (2020). 한국 커피 산업 발전사. 식품과학과 산업, 53(4), 397-409. | 미소장 |
10 | 신미령. (2022). 에스프레소 커피의 휘발성 성분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신우리, 최유미, & 윤혜현. (2011). 커피원두의 분쇄입자크기에 따른 에스프레소의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제권제호, 27, 1. | 미소장 |
12 | 신혜경. (2013). 그린커피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신혜경. (2019). 워시드 커피와 내추럴 커피를 활용한 커피제조 과정에서의 항산화 성분 분석.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2(4), 312-320. | 미소장 |
14 | 윤순원. (2014). 추출방식에 따른 커피의 품질 특성 (국내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음료자격검정원 학술위원회(2011) Coffee Barista. 도서출판 한수. | 미소장 |
16 | 이문조, 김상은, 김종환, 이상원, & 염동민. (2013). 커피원두의 배전강도에 따른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2), 255-261. | 미소장 |
17 | 이재진, 허원수, 최은주(2013). 한 대학 재학생의 고카페인 에너지드링크 섭취와 부작용에 대한 패턴분석. 약학회지 , 57 (2), 110-118. | 미소장 |
18 | 이소영. (2018). 커피와 물 비율에 따른 드립 커피의 품질특성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이주희, & 변상요. (2008).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커피의 향기 성분 증진. KSBB Journal, 23(3), 193-198. | 미소장 |
20 | 정유현. "커피 실버스킨 제거에 따른 변화 : 볶은 커피 원두 실버스킨 제거에 따른 성분ㆍ향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커피문화연구 8.2 (2022): 141-161. | 미소장 |
21 | 조명근, 강민정 (2022). 원두커피의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경로를 중심으로. 비즈니스융복합연구. 7(1):103-110. | 미소장 |
22 | 최낙언 (2014) 과학으로 풀어본 커피 향의 비밀. 서울꼬문, 서울. p 182. | 미소장 |
23 | 최낙언 (2022) 향의언어. 예문당, 서울. p 426. | 미소장 |
24 | 최정현, 분리드립 커피 및 커피 원액을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한국 특허10-2385680. 2022년 4월 7일 | 미소장 |
25 | 최정현, 카페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커피의 분리드립 방법. 한국 특허 공개번호10-2023-0029492. 2023년 3월 3일 | 미소장 |
26 | 한국 식음료 산업진흥원(2012) 카페 & 바리스타. 백산출판사. | 미소장 |
27 | Blank, I., Sen, A., & Grosch, W. (1991, July). Aroma impact compounds of Arabica and Robusta coffe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vestigations. In 14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lloquium on Coffee (pp. 117-129). ASIC San Francisco. | 미소장 |
28 | Clarke, R. J. (1987). Packing of roast and instant coffee. Coffee: Volume 2: Technology, 201-219. | 미소장 |
29 | coffee scen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51, 101987.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19.07.013 | 미소장 |
30 | Grosch, W. (2001). Evaluation of the key odorants of food by dilution experiments, aroma models and omission. Chemical Senses, 26(5), 533-545. | 미소장 |
31 | Czerny, M., & Grosch, W. (2000). Potent odorants of raw Arabica coffee. Their changes during roasting.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8(3), 868-872. | 미소장 |
32 | Czerny, M., Mayer, F., & Grosch, W. (1999). Sensory study on the character impact odorants of roasted Arabica coffee. Journal of A W. | 미소장 |
33 | (2003). Analysing the headspace of coffee by proton-transfer-reaction mass-spectrometry.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223, 115–139. https://doi.org/10.1016/S1387-3806(02)00785-6 | 미소장 |
34 | Hernández, J. A., Heyd, B., Irles, C., Valdovinos, B., & Trystram, G. (2007). Analysis of the heat and mass transfer during coffee batch roasting. Journal of Food Engineering, 78(4), 1141-1148. | 미소장 |
35 | ICO(2018).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http://www.ico.org/ | 미소장 |
36 | KNYSAK, D. (2017). Volatile compounds profiles in unroasted Coffea arabica and Coffea canephora beans from different countri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 444-448. https://doi.org/10.1590/1678-457x.19216 | 미소장 |
37 | SCAA(2011). ArabicaGreenCofeeDefectHandbook.. | 미소장 |
38 | SCAA(2018). SCA Cupping protocols. | 미소장 |
39 | The good scents company, http://www.thegoodscentscompany.com/data/rw1008921.html/, 검색일자 : 2023. 03. 2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