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가상 반려동물 관리 플랫폼 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virtual pet care platform using digital twin technology 박정호 p. 1-10
메타버스의 개인화 및 사회화 가치 지원 영향 = The influence of supporting values related personalization and socialization in the metaverse : the role of digital technology competence : 디지털 기술 역량의 역할 황인호 p. 11-24
기술수용모델을 통한 4Es기반 혼합현실 수용의도 연구 = Intention of acceptance of mixed reality based on 4Es through technology acceptance model 김영익, 김지연, 김민철 p. 25-34
주문 제작 기반 자동화 설비 3차원 부품 모델 형상 유사도 비교 기법 = Comparison scheme of shape similarity for 3D parts models of order-based automated facility 임종태, 김준태, 유재수 p. 35-45

디지털 위기경보 단계의 의미작용을 위한 디자인 연구 = Studying the design for signification of digital crisis alert levels 이현주, 황병한 p. 46-55
의료정보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행동 의도 연구 = A study on behavior intention for medical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s 진석 p. 56-74
온라인 블로거 영화 설명 영상 콘텐츠의 텍스트 밀렵 모델과 팬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ext poaching patterns and fan interaction in online bloggers' film analysis video content 한저우 p. 75-86
스마트 온실 지능형 추론 플랫폼을 위한 환경 데이터의 영향력 분석 = Influence analysis of environmental data for the smart greenhouse intelligent inference platform 임종태, 최지현, 최환용, 정상준, 이서희, 황현중, Retiti Diop Emane Christopher, 김윤아, 유재수 p. 87-95
게이미피케이션과 사회변화 게임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대학 수업 설계 및 운영사례 = A project-based university class design and operation cases using gamification and social change games 이영수 p. 96-111
경영자보상에 대한 미실현손익의 비대칭적 민감도 = Asymmetric sensitivity of CEO compensation to unrealized gains and losses : evidence from the incentive zone : Incentive Zone을 중심으로 이은주, 황성준 p. 112-119

머신러닝을 이용한 상가 경매 매각가율 추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bid price ratio of commercial property using machine learning 전해정 p. 120-127
개별 공시지가의 유사가격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imilarly assessed land area of publicly announced individual land price : focusing on the Gwangjingu cases : 광진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재, 신승우 p. 128-137

극한 기후 지수를 이용한 여름철 극한 고온 현상의 시공간적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evolution characteristics of extreme high temperature events in summer in Korea using the extreme weather index 루지에치옹, 김용석, 양건석 p. 138-151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이 소비자의 인지된 기관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creating shared value(CSV) on perceived institutional performance by consumers : comparison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 공기업과 사기업 비교 한인호, 서영욱 p. 152-171
중앙정부의 대북 포용정책과 국제스포츠이벤트의 남북교류 성과 분석 = Analysis of North Korea engagement policy and inter-Korean exchanges in international sports 안문경 p. 172-179

"I'm tired but can't stop" = "피곤하지만 멈출 수 없다" 정보과부하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문제적 소셜미디어 이용, 피로감,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 : how FoMO and problematic social media usage exacerbate the negative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on subjective well-being Yang Wang, Han Lin, Kwankyu Kim p. 180-194
21세기 융합시대,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The convergence era in the 21st century,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 using the Q-methodology :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도희 p. 195-204
공동 출원 특허가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application patents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황성현 p. 205-211
스트릿 댄스 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 요인이 댄스 Flow 및 댄스 공연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motivation factors for the watchers of dance performances on the dance flow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watching of the street dance performances 김의영, 박성진 p. 212-223
찜질방의 물리적 환경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jjimjilbang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권장욱 p. 224-235
<레지던트 이블> IP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 확장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transmedia story world expansion strategy of <Resident Evil> IP 심초호, 김세훈 p. 236-249
일상사의 관점에서 본 영화 <패터슨> = Everyday life in the movie Paterson 김미혜 p. 250-256
<오징어 게임>(2021)에 나타난 기억의 의미와 재해석 = A study on the meaning and reinterpretation of memory in <Squid Game>(2021) : focusing on Marianne Hirsch's post-memory theory : 마리안느 허쉬의 포스트메모리 이론을 중심으로 이강석 p. 257-264
가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연결하는 감각 경험 설계 = Designing sensory experiences connecting virtual and physical spaces : focusing on VR immersive theater <Scarecrow> : VR 이머시브 공연 <허수아비>를 중심으로 김지연, 이혜리, 권호창 p. 265-274
인류세 시대에서 슬로 드라마투르기의 역할과 가능성 = The role and possibilities of slow dramaturgy in the anthropocene 윤두영 p. 275-285
연극놀이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 Meta analysis on effectiveness research of creative drama in Korea 신동인 p. 286-294
실버세대 신체특성과 감성요소를 적용한 재활제품 실무디자인 개발 = Rehabilitation product design practi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ensual elements of the silver generation 유초, 김기수 p. 295-303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관련 요인 =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이은아, 박민정 p. 304-313
알코올 문제로 내원한 환자들의 호소문제 유형 특성 = Characteristics of complaint types in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s : focusing on the MMPI-2 content scale and supplementary scale : MMPI-2 내용척도와 보충척도를 중심으로 이상일 p. 314-325
보건계열 대학생의 일반 수면습관 및 지연된 수면위상과 수면의 질, 주간졸림증, 우울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sleep habits and the delayed sleep phase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and the quality of sleep,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depression, and stress 이원준 p. 326-337
지역거점 공공병원의 환자 만족도가 의료수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tient satisfaction on patient service revenues at regional hub public hospitals :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구조방정식모형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이현서, 최만규 p. 338-348
자연 기흉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 분석 = Analysi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pontaneous pneumothorax 문대환 p. 349-354
실용무용 전공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dance major textbooks : focusing on the learner's needs survey : 학습자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유현미 p. 355-361

온라인 환경에서의 수학과 완전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astery learning model of online mathematics 조은학, 김대권 p. 362-373
어머니의 성격 5요인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아동의 교사관계 및 또래애착의 차이 = Latent profiles of the mothers' big five persionality[실은 personality] traits :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relation with teacher and peer attachment 최유석, 허무녕 p. 374-385
게임 이용자의 심리적 특성이 게임 선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ame us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game use : focusing on game efficacy, game leadership, loneliness, and depression : 게임 효능감, 게임 리더십, 고독감, 우울을 중심으로 주은선, 조환빈 p. 386-396
외적동기로 직장을 선택한 사회초년생의 직업적응 과정 = Work adjustment process of new employees who chose their jobs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임태선 p. 397-415
청소년 메타버스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youth metaverse users : 청소년 메타버스 이용자 유형에 따른 실재감, 자기표현, 이용행태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상희, 김기윤 p. 416-427
교육소외계층 아동 청소년을 위한 독일의 문화예술교육과 시사점 연구 = Germa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underprivileged children and youth : focused on program "kultur macht stark" : "문화가 강하게 한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정숙 p. 428-437
서울 수어지명의 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transition of place names in Korean sign language in Seoul 송재림, 이준우 p. 438-451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마약 관련 이슈 분석 = Analysis of issues related to adolescents and drugs after the COVID-19 outbreak using topic modeling 김민선 p. 452-464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aby boom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공경배, 모선희 p. 465-477
중장년층의 COVID-19 위험지각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depression in the middle-aged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solation :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 임영신 p. 478-490
여성장애인고용기업체의 장애인고용인식이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mployment perceptions of disabled persons on employment satisfaction in companies employing women with disabilities 오수경 p. 491-500
장애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최지원, 최문경, 김한솔 p. 501-509
재난 약자로서 중고령장애인의 취업상태 변화와 생활만족도 =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aged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vulnerable people in social disasters :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 COVID-19 전후를 중심으로 곽지영, 고진경 p. 510-520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능력과 정서적 안녕감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literacy and emotional well-being in middle and older adults : focusing on regional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of active coping : 적극적 대처전략 조절효과의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엄사랑, 신혜리, 김영선 p. 521-536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일상생활만족, 행복감,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disabled on everyday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stress : the mediation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고진경, 곽지영 p. 537-545
중년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single person households 최소은, 김재옥, 위휘, 박민정 p. 546-554
간호대학생의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와 건강행동 관계에서 e-헬스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health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health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변진이 p. 555-564
해외 개 공격성 평가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기준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standards through overseas dog aggression evaluation analysis 박현아, 김영근, 육근창, 주용윤, 최용석, 황성구 p. 565-576
가상가치법(CVM)을 이용한 제주해녀문화 보존가치평가 = Estimating the preservation value of culture of Jeju haenyeo 도연진 p. 577-588

참고문헌 (6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안수인, 한정란, 이남, “노년기 평생교육 참여와 삶의질,” 노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49-68, 2021. 미소장
2 박성희, 2013 워크샵 및 봄학술대회토론자료, 한국성인교육학회 & 한국평생교육․HRD 연구소, 2013. 미소장
3 최희경, “신노년 정책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17권, 제3호, pp.41-65, 2010. 미소장
4 전순득,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미소장
5 권수현, 현영섭,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과 성공적노화의 관계에서 평생학습참여의 매개효과,” 평생학습사회, 제17권, 제2호, pp.167-199, 2021. 미소장
6 R. Sabates and C. Hammond, The impact of lifelong learning on happiness and well-being, 2008. 미소장
7 조순옥, 이희수, “평생학습 관점에서의 한국 성인의24시,” 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2호, pp.133-167, 2009. 미소장
8 양윤희, 이경화, “성공적 노화에 관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평생교육·HRD연구, 제17권, 제2호, pp.61-84, 2021. 미소장
9 A. E. Woolfolk, Educational psychology, New Delhi: Pearson Education, 2013. 미소장
10 박창동, 이희수, “성인학습자의 공식적 CoP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K 은행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3호, pp.83-107, 2011. 미소장
11 김영미,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 참여동기및 학습참여도와 평생학습성과의 구조적 분석,” 교육연구논총, 제33권, 제2호, pp.123-143, 2012. 미소장
12 안은미, 허정무, “평생학습 관련변인들이 중년여성의삶의 질 인지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8권, 제1호, pp.391-400, 2018. 미소장
13 박영실, “평생학습과 행복과의 관계-자아존중감과몰입을 중심으로,” HRD 연구, 제12권, 제4호. pp.119-136, 2010. 미소장
14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Vol. 1990), New York:Harper & Row, 1990. 미소장
15 박형근,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6 곽명희, 곽영희, 고미나, “고등학생의 부모애착, 교사-학생 관계,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11호, pp.209-229, 2018. 미소장
17 홍송이, 임성택, “학습컨설팅 지원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성취에 미치는효과,” 교육학연구, 제54권, 제4호, pp.295-327, 2016. 미소장
18 박정례,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참여동기 및 자아개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제34권, 제2호, pp.151-178, 2013. 미소장
19 정기범,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RD 연구, 제16권, 제3호, pp.159-183, 2014. 미소장
20 정찬길, 배을규, 박상오,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유형과 학습몰입 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5호, pp.155-177, 2018. 미소장
21 민현기, “학점은행제 등록 중년여성의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제8권, 제1호, pp.130-151, 2017. 미소장
22 B. J. Fisher,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1, No.3, pp.239-250, 1995. 미소장
23 J. Angus and P. Reeve, “Ageism: A threat to “aging well”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5, No.2, pp.137-152, 2006. 미소장
24 노준희,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25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Y: Pantheon/ Random House, 1998. 미소장
26 K. L. Chou and I. Chi,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54, No.1, pp.1-14, 2002. 미소장
27 D. L. Charbonneau-Lyons, P. M. Mosher-Ashley and M. Stanford-Pollock, “Opinions of college students and independent-living adults regarding successful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No.10, pp.823-833, 2002. 미소장
28 G. E. Vaillant and K. Mukamal,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8, No.6, pp.839-847, 2001. 미소장
29 R. Crosnoe and G. H. Elder Jr,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pp.309-328, 2002. 미소장
30 R. B. Tate, L. Lah, and T. E. Cuddy, “Definition of successful aging by elderly Canadian males: The Manitoba follow-up study,” The Gerontologist, Vol.43, No.5, pp.735-744, 2003. 미소장
31 이황원, 법적 관점에서 살펴본 평생교육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8. 미소장
32 S. B. Sheffield, The orientations of adult continuing learn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62. 미소장
33 배미주, 이경희, “농업인의 교육훈련프로그램 참여동기, 교육만족, 직무만족, 현업적용 간의 구조 관계,”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267-300, 2020. 미소장
34 송영선, “고학력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 평생교육학연구, 제24권, 제2호, pp.31-55, 2018. 미소장
35 최재훈, 이동규, 하상구, “경찰 직무교육효과 제고를위한 정책적 제언: 참여동기와 반응평가 및 학습평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제19권, 제2호, pp.147-175, 2019. 미소장
36 신미정, “청소년교육학 전공 성인학습자의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삶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7권, 제4호, pp.71-96, 2020. 미소장
37 이효영,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의 성과요인에관한 통합적 고찰,” 교육문화연구, 제26권, 제3호, pp.319-344, 2020. 미소장
38 C. O. Houle,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Wisconsin, W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미소장
39 김철호,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동기와 관여가 평생교육 학습자의 만족, 지속수강의도, 권유의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575-588, 2015. 미소장
40 이지선, 성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미소장
41 J. P Steele and C. J. Fullagar, “Facilitators and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in a college setting,”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143, No.1, pp.5-27, 2009. 미소장
42 A. W.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Jossey-Bass, Inc., 1993. 미소장
43 H. M. Marks,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 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7, No.1, pp.153-184, 2000. 미소장
44 H. Coates, “The value of student engagement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1, No.1, pp.25-36, 2005. 미소장
45 석임복, 강이철,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21-154, 2007. 미소장
46 김희정, 교사-학생관계 및 학습동기와 학습몰입간의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47 김미란,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활동이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남성 노인의색소폰 연주 동아리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48 신의현,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의 학습참여동기가 성공적 노화,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49 김세희,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SNS 활용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50 김종식,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 및 삶의 질 간의 관계연구: 종교생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51 이현주, 구혜경, 김숙연, “평생교육 서비스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청주지역의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15-338, 2015. 미소장
52 전명수, 송선희, “노인 평생교육 참여동기 유형이 교육만족도와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438-448, 2012. 미소장
53 한우식, 학습동아리 참여노인의 학습경험 과정과 지속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54 박윤희, 중년기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55 김민아,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이 노년기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한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56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57 장희영, 중·고령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58 S. A. Jackson and H. W. Mar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Vol.18, No.1, pp.17-35, 1996. 미소장
59 김진호, 성인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몰입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60 임숙경,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61 홍세희, 정송,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제21권, 제4호, pp.1-24, 2014. 미소장
62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4, 집현재, 2017. 미소장
63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미소장
64 김주성, 중·노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의 노후 준비 및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65 조혜경, 중년여성의 심리상담교육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66 이경란, 고령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