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혁범, 신형진 (2022). 대구・경북지역 대졸자의 취업 이동 연구: 사회연결망과 직업가치 요인이 이동목적지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5(1): 303-323. | 미소장 |
2 | 기윤환 (2022). 청년・신혼부부의 주거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시를 중심으로. LHI저널, 13(4): 13-26. | 미소장 |
3 | 김기승, 정민수 (2013).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1(2): 103-130. | 미소장 |
4 | 김노은, 윤갑식 (2022). 부산광역시 대학 졸업자의 취업이동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5): 55-79. | 미소장 |
5 | 김도형 (2018). 지방정부의 청년정책 만족도 및 필요도 분석. 도시행정학보, 31(4): 55-81. | 미소장 |
6 | 김도형, 박승규 (2017). 울산 청년 실태조사 및 청년정책 수요 분석.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미소장 |
7 | 김동신 (2021). 지역 청년층 인구이동의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21(2): 177-205. | 미소장 |
8 | 김명숙 (2011). 심의 민주주의의 경험과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5(1): 141-167. | 미소장 |
9 | 김문연 (2017). 울산 청년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정책방안 연구. 정책과제 2017-04. 울산: 울산발전연구원. | 미소장 |
10 | 김병국, 최철호 (2012). 지방자치제도 하의 주민주권 확보방안: 시론적 연구. 지방행정연구, 26(1): 31-52. | 미소장 |
11 | 김성환 (2008). 기업규모에 따른 청년층의 직장 이행과정 분석: 첫직장 규모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1(4): 1479-1501. | 미소장 |
12 | 김순은 (2018). 자치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의 상생적 추진전략. 지방행정연구, 32(1): 35-60. | 미소장 |
13 | 김안국 (2005).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분석: 인문사회계와 이공계 졸업자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28(3): 39-76. | 미소장 |
14 | 김영식 (2020). 청년층의 대학 진학 및 취업 관련 지역 이동 예측 요인 탐색. 교육재정경제연구, 29(4): 129-149. | 미소장 |
15 | 김용현 (2012). 지역 청년 역외유출 원인과 해소방안 연구: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06-533. | 미소장 |
16 | 김우림 (2021). 저출산 대응 사업 분석・평가.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 미소장 |
17 | 김유현 (2021).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55(2): 337-367. | 미소장 |
18 | 김윤중, 이창문, 김민영 (2022). 대졸 청년들의 괜찮은 일자리 진입 및 노동시장 이동 분석. 사회보장연구, 38(4): 71-100. | 미소장 |
19 | 김재호 (2008). The Korean Recall System. 지방자치법연구, 8(3): 73-84. | 미소장 |
20 | 김재훈 (2022). 지역균형발전 이론과 정책의 패러다임 대전환. 지역사회연구, 30(3): 23-60. | 미소장 |
21 | 김현우 (2023). MZ세대 수도권 이동자의 직업 가치관 변화와 특징. KIET 산업경제, 2월호: 50-60. | 미소장 |
22 | 김현우, 강명구 (2020). 삶의 자기결정권 선호에 따른 밀레니얼 세대 청년층의 인구이동 특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5): 49-78. | 미소장 |
23 | 김화연, 이대웅 (2022).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청년세대의 지방 정주의사 영향요인 연구: 청년정책과 생활인프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2): 261-288. | 미소장 |
24 | 남국현 (2022). 대기업 지방 이전과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연구: 노동생산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54(2): 33-57. | 미소장 |
25 | 노현수 (2020). 지방자치법상 주민직접참여제도의 발전과정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28(4): 223-245. | 미소장 |
26 | 류장수 (2015). 지역 인재의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연구, 23(1): 1-23. | 미소장 |
27 | 문영만, 류장수 (2020).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청년의 유출입 특성 및 유출 결정요인. 지역사회연구, 28(3): 59-86. | 미소장 |
28 | 문영만, 홍장표 (2017).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2): 165-187. | 미소장 |
29 | 문영만, 홍장표 (2021). 대졸 청년의 취업 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성과 격차: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7(4): 70-93. | 미소장 |
30 | 박진경, 김도형 (2020). 인구감소대응 지방자치단체 청년유입 및 정착정책 추진방안. 원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미소장 |
31 | 배성숙 (2021). 대졸 청년층의 직무일치도와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 기업경영리뷰, 12(3): 187-201. | 미소장 |
32 | 서옥순 (2012). 부산지역 대졸자의 지역이동에 관한 연구. 질서경제저널, 15(4): 31-46. | 미소장 |
33 | 석호원 (2012). 고령집단의 인구이동 요인에 관한 연구: 티부의 가설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6(2): 273-312. | 미소장 |
34 | 소진광 (2020). 지역균형발전의 접근논리 탐색: 지역격차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34(1): 3-48. | 미소장 |
35 | 송동욱, 이기형 (2017). 불안정한 현실과 대면하는 이 시대 청년들의 삶에 관한 질적인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84: 28-98. | 미소장 |
36 | 엄창옥, 나주몽, 백경호 (2021).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역개발연구, 53(2): 125-147. | 미소장 |
37 | 엄창옥, 노광욱, 박상우 (2018).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대구지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6(3): 259-283. | 미소장 |
38 | 오윤석, 황광훈, 홍석현 (2022). 수도권 지역 청년층의 직장 이동과 임금의 변화. GRI 연구논총, 24(1): 123-152. | 미소장 |
39 | 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21). 청년층 유출방지를 위한 실태조사. 울산: 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 미소장 |
40 | 원지영 (2015). 청년층 이직의 결정 요인과 효과: 직무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6: 348-372. | 미소장 |
41 | 유재언 (2015). 떠나는 자와 남는 자: 대한직학과 대졸취업 시 지역이동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8(1): 191-219. | 미소장 |
42 | 윤광재 (2007).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정책적 효과분석. 현대사회와 행정, 17(1): 81-105. | 미소장 |
43 | 이경우 (2022). 고부가가치 울산으로의 이행. 울산경제사회브리프 제132호. 울산: 울산연구원. | 미소장 |
44 | 이상림 (2020). 청년인구 이동에 따른 수도권 집중과 지방 인구 위기.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95호.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45 | 이상욱, 권철우, 임영주 (2019). 청년층의 지역이탈과 이주지역 선택: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7(1): 43-66. | 미소장 |
46 | 이윤형, 이주영, 김상우, 김혜경 (2020). 울산광역시 청년정책수립을 위한 선행연구. 정책과제 2020-10. 울산: 울산연구원. | 미소장 |
47 | 이재현 (2020). 지방의회 권력구조와 지역 주민의 정치참여: 패널회귀분석을 중심으로. NGO 연구, 15(1): 175-197. | 미소장 |
48 | 이찬영 (2018). 연령대별 인구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31(2): 707-729. | 미소장 |
49 | 이찬영, 문제철 (2016). 광주・전남 지역의 연령별・이동지역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29(6): 2239-2266. | 미소장 |
50 | 이찬영, 이흥후 (2016).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경제연구, 34(4): 143-169. | 미소장 |
51 | 이현국 (2019). 어메니티와 청년인구변화: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6: 348-372. | 미소장 |
52 | 임재빈, 정기성 (2021). 지역별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LHI저널, 12(2): 47-59. | 미소장 |
53 | 임준홍 (2021).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도시와 농촌 차이. 주거환경, 19(1): 13-14. | 미소장 |
54 | 임현 (2008). 자치입법의 활성화를 위한 주민의 역할: 조례제정개폐청구제도의 개선논의를 중심으로. 지방자치법연구, 8(4): 147-165. | 미소장 |
55 | 장윤서 (2022). 가족까지 제쳤다. 20대 직장인 “삶에서 가장 중요” 꼽은 것. 중앙일보 2022년 11월 29일. URL available: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1424#home. | 미소장 |
56 | 정미나, 임영식 (2010).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진로교육연구, 23(2): 13-152. | 미소장 |
57 | 정충대 (2020). 광역도 지역 청년 대졸자의 수도권 유출 원인. 지역사회연구, 28(2): 1-18. | 미소장 |
58 | 조동훈 (2020). 청년층 지역이동과 임금수준 효과. 노동경제논집, 43(3): 123-148. | 미소장 |
59 | 조성철 (2020). 산업단지 혁신과 청년일자리 창출: 정주환경을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183: 9-22. | 미소장 |
60 | 채창균 (2006). 기업규모와 청년층 노동이동. 직업능력개발연구, 9(1): 81-103. | 미소장 |
61 | 최영출 (2022). 새 정부의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방향성. 지방행정연구, 36(4): 3-44. | 미소장 |
62 | 최형재 (2022). 지역의 사회・문화 여건이 대졸자들의 지역이동에 미치는 효과. 노동정책연구, 22(2): 97-125. | 미소장 |
63 | Banzhaf, H. S. (2008). Do People Vote with Their Feet? An Empirical Test of Tiebout. American Economic Review, 98(3): 843-863. | 미소장 |
64 | Chueva, I. I., E. V. Polyanskaya, L. H. Kolmakova & Y. V. Daneykin (2022). Advances in Economics, Business and Management Research 208.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and Practical Conference Strategy of Development of Regional Ecosystems “Education-Science-Industry” (ISPCR 2021). URL available: https://www.atlantis-press.com/article/125970859.pdf. | 미소장 |
65 | Ferguson, M., K. Ali, M. R. Olfert & M. Partridge (2007). Voting with Their Feet: Jobs versus Amenities. Growth and Change, 38(1): 77-110. | 미소장 |
66 | Frenkel, A., E. Bendit & S. Kaplan (2013). Residential Location Choice of Knowledge-Workers: The Role of Amenities, Workplace and Lifestyle. Cities, 35: 33-41. | 미소장 |
67 | Greenwood, M. J. (1985). Human Migration: Theory, Models, and Empirical Studie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5(4): 521-544. | 미소장 |
68 | Hansen, S. B., C. Ban & L. Huggins (2003). Explaining the “Brain Drain” from Older Industrial Cities: The Pittsburgh Region.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7(2): 132–147. | 미소장 |
69 | Hollander, J. B. & J. Németh (2011). The Bounds of Smart Decline: A Foundational Theory for Planning Shrinking Cities. Housing Policy Debate, 21(3): 349-367. | 미소장 |
70 | Millsap, A. (2016). Location Choice in Early Adulthood: Millennials versus Baby Boomers. Papers in Regional Science, 97(S1): S139-S167. | 미소장 |
71 | Musgrave, R. A. (1939). The Voluntary Exchange Theory of Public Economy.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53(2): 213-237. | 미소장 |
72 | Niedomysl, T. & W. A. V. Clark (2014). What Matters for Internal Migration, Jobs or Amenities? Migration Letters, 11(3): 377–386. | 미소장 |
73 | Oates, W. E. (1969). The Effect of Property Taxes and Local Public Spending on Property Values: An Empirical Study of Tax Capitalization and the Tiebout Hypothesi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7(6): 957-971. | 미소장 |
74 | Rosen, H. S. & T. Gayer (2009). Public Finance (9th Edition). McGraw-Hill/Irwin. | 미소장 |
75 | Samuelson, P. A. (1954). The Pure Theory of Public Expenditur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6(4): 387-389. | 미소장 |
76 | Scott, A. J. (2010). Jobs or Amenities? Destination Choices of Migrant Engineers in the USA. Papers in Regional Science, 89(1): 43-63. | 미소장 |
77 | Tiebout, C. M. (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5): 416-424. | 미소장 |
78 | Woldoff, R. A., T. DeCola & R. C. Litchfield (2011). The Aspirational Creative Class: Urban Residential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in Creative Majors. City, Culture and Society, 2(2): 75-8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