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상이(2002). 교사발달 측면에서 본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유정, 박지혜, 안선희(2012).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5), 71-89. http://dx.doi.org/10.5723/KJCS.2012.33.5.71 |
미소장 |
3 |
김윤지(2017). 유아교사 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청자(1996). 불안의 심리학적 원인과 치료대책. 교육연구, 14, 67-95 |
미소장 |
5 |
김현주(1991). 사회적 지지와 내외통제성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상황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명준희(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문은영, 신혜원(2012). 보육시설 초임교사 입문교육의 운영형태에 따른 초임교사 교직적응. 열린부모교육연구, 4(2), 67-92. |
미소장 |
8 |
박복매(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내, 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박은혜, 전샛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5.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1.253 |
미소장 |
10 |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박형경(2016).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관련 변인: 직업 선택 동기, 직무 환경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서영숙, 김경혜(2005). 영유아 보육론. 서울: 양서원. |
미소장 |
13 |
서지영, 서영숙(2002).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9(2), 115-136. |
미소장 |
14 |
손희진, 성지현(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2), 191-209 https://dx.doi.org/10.5723/KJCS.2014.35.2.191 |
미소장 |
15 |
송경섭(2006).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오경희, 신유림(2010).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 변인. 유아교육연구, 30(2), 339-357.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2.015 |
미소장 |
17 |
오현미(2009). 어린이집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이 경(2001).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이민경(2006).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불안과 문제 및 지원 요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지민(2017).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및 교수, 학습에 관한 신념과 역할수행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이지연(2018). 직장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행복감, 자아존중감이 영유아 권리 존중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이철수(2009). 사회복지학 사전. 서울: 블루피쉬. |
미소장 |
23 |
이혜리(2016). 공립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불안에 관한 조사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이희경, 김성수(2000). 유아교사 역할 Q-set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1), 27-54. |
미소장 |
25 |
정효정(2003). 보육교사의 조직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3, 273-305. |
미소장 |
26 |
조부경, 고영미(2006). 유치원 교사의 과학 불안,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339-369. |
미소장 |
27 |
조성연, 이정희(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ㆍ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 28(4), 29-42. https://doi:10.6115/fer.2014.52.1.63 |
미소장 |
28 |
조은영(200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조혜영(2015).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목표접근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직장보육정보센터 (2023). 직장 어린이집 현황. https://welfare.comwel.or.kr/escac에서 2023년 4월 5일 인출. |
미소장 |
31 |
최경주(2020).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의 관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최현주(1999).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직무만족도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최효신, 신영희(2013).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간호학회, 19(2), 207-215. https://doi:: 10.4069/kjwhn.2017.23.3.191 |
미소장 |
34 |
홍금자(2002). 보육교사 양성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적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 31, 287- 325. |
미소장 |
35 |
Hart, N. I. (1987). Student teachers anxieties: Four measured factors and their reactionships to pupil disruption in class. Educational Research, 29(1), 12-18. https://doi:: 10.1080/0013188870290102 |
미소장 |
36 |
McClelland, J. (1986).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workers: A review. Child Care Quarterly, 15(2), 82-89. https://doi.org/10.1007/BF01121152 |
미소장 |
37 |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
미소장 |
38 |
Katz, L. G. (1980). Mothering and teaching-some significant distinctions. Current Top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 47-64. |
미소장 |
39 |
Saracho, O, N. (1993). A Study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8, 43-44. https://doi.org/10.1080/0300443880380104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