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상 뿐만 아니라 과다수면, 하지불안증후군을 포함하여 수면 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 하기 위한 수면 문제 선별 설문지(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SPSQ)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불면증상(SPSQi), 과다수면(SPSQh), 하지불안증 후군(SPSQr)의 세 가지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SPSQ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불면장애 임상군 222명 및 건강군 78명을 대상으로 SPSQ와 비교 척도인 불면증 심각도 척도 (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를 진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SPSQ는 수용할만한 내적 일관성과 수렴·변별 타당도를 보여 수면장애의 측정에 타당한 도구로 평가되었다. ROC curve 분석 결과, 불면장애의 임상적 유의미성 판단을 위한 절단점은 SPSQi 6점,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94, 0.96이었다.
결론 : 해당 연구결과는 SPSQ가 일반 성인 인구의 수면 문제를 선별하는데 있어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단, 하지불안증후군 및 과다수면 관련 척도와 비교 검증이 수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해야겠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주기성사지운동증의 임상적 의의 =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eriod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 이소진 | p. 1-2 |
|
|
주기성 사지운동장애와 사망률 =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and mortality | 최재원 | p. 3-8 |
|
|
다양한 수면장애의 주기성사지운동증의 임상적 의의 =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eriodic limb movements during sleep in various sleep disorders | 이소진 | p. 9-12 |
|
|
계절성 정동장애 = Seasonal affective disorder : focusing on psychophysiological aspects : 정신생리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 김선혜, 이건석 | p. 13-21 |
|
|
수면 문제 선별 질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 focusing on insomnia symptoms : 불면증상을 중심으로 | 이주열, 최선우, 신현경, 석정호, 장수아 | p. 22-2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hn DH. Insomnia: causes and diagnosis. Hanyang Med Rev 2013; 33:203-209. | 미소장 |
2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p.361-422. | 미소장 |
3 | Benca RM, Peterson MJ. Insomnia and depression. Sleep Medicine 2008;9:S3-S9. | 미소장 |
4 | Bhaskar S, Hemavathy D, Prasad S. Prevalence of chronic insomnia in adult patients and its correlation with medical comorbidities. J Family Med Prim Care 2016;5:780-784. | 미소장 |
5 | Bland JM, Altman DG. Statistic notes: Cronbach’s alpha. BMJ 1997; 314:572. | 미소장 |
6 |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215. | 미소장 |
7 |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and Breathing 2011;15:377-384. | 미소장 |
8 | Cook JD, Rumble ME, Plante DT. Identifying subtypes of hypersomnolence disorder: a clustering analysis. Sleep Medicine 2019;64: 71-76. | 미소장 |
9 | Foley D, Ancoli-Israel S, Britz P, Walsh J. Sleep disturbances and chronic disease in older adults: results of the 2003 National Sleep Foundation Sleep in America Survey. J Psychosom Res 2004;56: 497-502. | 미소장 |
10 |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22. p.691. | 미소장 |
11 | Kaplan KA, Plante DT, Cook JD, Harvey A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ypersomnia Severity Index (HSI): a measure to assess hypersomnia severity and impairment in psychiatric disorders. Psychiatry Res 2019;281:112547. | 미소장 |
12 | LaMonica HM, Hickie IB, Ip J, Ireland C, Mowszowski L, English A, et al. Disability in older adults across the continuum of cognitive decline: unique contributions of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cognitive deficits and medical burden. Int Psychogeriatr 2019;31:1611-1625. | 미소장 |
13 | Lee S, Cheong YS, Park EW, Choi EY, Yoo HK, Kang KH, et al. Prevalence of sleep disorder and associated factors in family practice. Korean J Fam Med 2010;31:837-844 | 미소장 |
14 | Li Y, Zhang X, Winkelman JW, Redline S, Hu FB, Stampfer M, et al. Association between insomnia symptoms and mortality: a prospective study of US men. Circulation 2014;129:737-746. | 미소장 |
15 | Mai E, Buysse DJ. Insomnia: prevalence, impact, pathogene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evaluation. Sleep Med Clin 2008;3:167- 174. | 미소장 |
16 | Manconi M, Garcia-Borreguero D, Schormair B, Videnovic A, Berger K, Ferri R, et al. Restless legs syndrome. Nat Rev Dis Primers 2021;7:80. | 미소장 |
17 | Okun ML, Kravitz HM, Sowers MF, Moul DE, Buysse DJ, Hall M.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Insomnia Symptom Questionnaire: a self-report measure to identify chronic insomnia. J Clin Sleep Med 2009;5:41-50. | 미소장 |
18 | R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2020. Available from: https://www.R-project.org/. | 미소장 |
19 | Shin S, Kim 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 Converg Inf Technol 2020;10:148-155. | 미소장 |
20 | Yu ES, Ko YG, Sung GH, Kwon JH.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Dysfunc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K-DBAS-16). Kor J Clin Psychol 2009;28:309-320. | 미소장 |
21 | Silber MH, Ehrenberg BL, Allen RP, Buchfuhrer MJ, Earley CJ, Hening WA, et al. An algorithm for the manage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Mayo Clinic Proceedings 2004;79:916-922. | 미소장 |
22 | Sowa NA. Idiopathic hypersomnia and hypersomnolenc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sychosomatics 2016;57:152- 16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