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수집, 정리와 그 의미 = Collection, organiz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folk literature in Taiwanese literary circle in the 1930s / 최말순 1
국문초록 1
차례 2
1. '만들어진' 민간문학 2
2.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논의 8
3.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수집성과 26
4. 일제시기 대만근대문단의 민간문학 수집과 정리의 의의 34
참고문헌 39
Abstract 4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台灣民報社, 『台灣民報』(1923-1930) | 미소장 |
2 | 台灣民報社, 『台灣新民報』(1930-1941) | 미소장 |
3 | 北京大學歌謠硏究會, 『歌謠』週刊(1922-1925) | 미소장 |
4 | 南音雜誌社, 『南音』(1932.1-1932.9) | 미소장 |
5 | 台灣藝術硏究會, 『フォルモサ』(1933.7-1934.6) | 미소장 |
6 | 台灣文藝協會, 『第一線』(1935.1) | 미소장 |
7 | 台灣文藝聯盟, 『台灣文藝』(1934.11-1936.8) | 미소장 |
8 | 台灣新文學社, 『台灣新文學』(1935.12-1937.6) | 미소장 |
9 | 台灣文化協進會, 『台灣文化』(1946.9-1950.12) | 미소장 |
10 | 李獻璋 정리, 『台灣民間文學集』, 台灣文藝協會, 1936 | 미소장 |
11 | 박지향, 장문석 역, 『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 휴머니스트, 2004 | 미소장 |
12 | 최말순, 『식민과 냉전하의 대만문학』 글누림 출판사, 2019 | 미소장 |
13 | 최말순 편, 『타이완의 근대문학 1』,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14 | 崔末順, 『海島與半島:日據臺韓文學比較』, 聯經出版社, 2013 | 미소장 |
15 | 施懿琳, 「民歌采集史上的一頁補白」:蕭永東在『三六九小報』的民歌仿作及其價值」, 『通俗文學與雅正文學』, 2002 | 미소장 |
16 | 胡萬川, 「反思與認同:1920-30年代中國與台灣民間文學運動的異同」, 『中國近代文化的解構與重建學術研討會論文集—中華文化與台灣文化:延續與斷裂』, 政治大學, 2005 | 미소장 |
17 | 王美惠, 「1930年代台灣新文學作家的民間文學理念與實踐:以『台灣民間文學集』爲考察中心」, 國立成功大學歷史硏究所博士論文, 2008 | 미소장 |
18 | 崔末順, 「現代性與台灣文學的發展(1920-1949), 國立政治大學中文系博士論文, 2004 | 미소장 |
19 | 戴文鋒, 「日治晚期的民俗議題與台灣民俗學:以『民俗台灣』為分析場域」, 國立中正大學歷史研究所博士論文, 199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