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수집, 정리와 그 의미 = Collection, organiz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folk literature in Taiwanese literary circle in the 1930s / 최말순 1

국문초록 1

차례 2

1. '만들어진' 민간문학 2

2.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논의 8

3.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수집성과 26

4. 일제시기 대만근대문단의 민간문학 수집과 정리의 의의 34

참고문헌 39

Abstract 40

초록보기

1930년대 식민지 대만문단에서는 민간문학에 대한 수집과 정리, 연구 열기가 활발히 일었다. 이 운동을 주도한 지식인들은 대부분 1920년대부터 서구 근대성을 받아들여 대만문화의 발전과 식민지 상황의 개선을 추구했던 신흥 지식인 계층이었다. 이들은 민중의 오락으로 민간에서 구전되고 있던 노래, 설화, 속담, 수수께끼 등을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류하고, 그 속에 담긴 민중의 일상생활, 대자연에 대한 정감과 역사의식을 추출하여 당시 식민지 처지의 민족상황에 대한 돌파구를 찾으려 했다. 그 대표적인 실천이 󰡔대만민간문학집󰡕(1936)의 간행이었다. 당시 민간문학은 민중의 생활과 염원의 담지체로서 뿐만 아니라 내용과 방향, 언어면에서 대만문학의 근대적 발전과 연관되어 전방위로 논의된 것으로 상세한 고찰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문은 식민지 대만근대문단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직면했던 여러 조건과 문제에 착안하여 1930년대 대만문단에서 민간문학 채집과 정리의 열기가 일어나게 된 배경과 원인, 과정과 결과, 그리고 당시 채집된 민간문학의 규모와 내용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이를 주도했던 지식인들의 사고와 인식, 나아가 민간문학에 대한 관심이 식민지하 대만근대문학의 발전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사고해 보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식민지 시대 鄕歌 解讀史의 재조명 = Rethinking the interpretation of hyang-ga in the colonial era 박재민 p. 9-45

보기
근대아동교양전집 『소학생전집』에 수록된 '역사동화'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historical fairy tales” from the complete collection of Japanese children's books “Shogakuseizenshu” : focusing on Empress Jingu and Toyotomi Hideyoshi : '신공황후'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중심으로 조은애 p. 47-84

보기
1930년대 항주(杭州) 시기 중국 민속학과 손진태 『조선민담집』 중역(中譯)의 배경 = Chinese folklore and the background of Son Jin-tae's translation of Joseon Folktales into Chinese during the Hangzhou Period in the 1930s 권애영 p. 85-111

보기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수집, 정리와 그 의미 = Collection, organiz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folk literature in Taiwanese literary circle in the 1930s 최말순 p. 113-152

보기
19세기 중반 이후 대만어 백화자(Tâi-gí Pe̍h-ōe-jī, 台語白話字) 운동의 전개 양상 = Taiwanese Peh-oe-ji movement in modern Taiwan : perceptions shift about Taiwan and formation of ‘Taiwanese consciousness’ : 대만 인식의 변화와 ‘대만의식’의 형성 서원익 p. 153-194

보기
고전문학의 계승과 확장 방안 = Methods of current succession and expansion of classics : in the case of blog and podcast : 블로그, 팟캐스트 연재의 경우 유광수 p. 195-234

보기
許筠 『乙丙朝天錄』에 나타난 문언소설과 공연 = The Chinese literary novers[실은 novels] and plays found in Heo Gyun(許筠)’s records of Eulbyeong jocheonrok(乙丙朝天錄) 朴現圭, 楊茜雯 p. 235-257

보기
17세기 담호(談虎) 담론의 전통과 <호정문> <산군전>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A prose of the tiger trap and 4 pieces of The pseudo-biography of the mountain-lor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17th-century tradition of telling-tiger discourse 윤주필 p. 259-307

보기
<남이장군실기>의 역사적 상상력과 그 의미 = The historical imagination and meaning of <Nam Yi Changgun silgui (南怡將軍實記)> : focusing on the stories of the conquest of Geonju Yeojin(建州女眞征伐記) and the entry of Seonchunryeong (先春嶺進出談) : 건주여진정벌기와 선춘령진출담을 중심으로 박상석 p. 309-343

보기
조선 후기 백두산 기행문을 시각화하여 재해석한 백두산 경관 = Landscape of Mt. Baekdu through a travel report on Mt. Baekdu in the late Joseon Dynasty 문상명 p. 345-387

보기
湛軒洪大容 《乙丙燕行錄》 的編撰及文本構成研究 = A study on compilation of Yibingyanxinglu(乙丙燕行錄) edited by Hong Da Rong and its texts construction 劉婧 p. 389-411

보기
『群書標記』의 成立과 板本에 대한 再考 = A further study on the appearance and the editions of Gunseopyogi 袁成 p. 413-437

보기
『使朝鮮錄』에 나타난 明 使臣의 朝鮮 認識 = Recognition of Joseon among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according to 『Sajoseonrok (使朝鮮錄)』 이성형 p. 439-470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台灣民報社, 『台灣民報』(1923-1930) 미소장
2 台灣民報社, 『台灣新民報』(1930-1941) 미소장
3 北京大學歌謠硏究會, 『歌謠』週刊(1922-1925) 미소장
4 南音雜誌社, 『南音』(1932.1-1932.9) 미소장
5 台灣藝術硏究會, 『フォルモサ』(1933.7-1934.6) 미소장
6 台灣文藝協會, 『第一線』(1935.1) 미소장
7 台灣文藝聯盟, 『台灣文藝』(1934.11-1936.8) 미소장
8 台灣新文學社, 『台灣新文學』(1935.12-1937.6) 미소장
9 台灣文化協進會, 『台灣文化』(1946.9-1950.12) 미소장
10 李獻璋 정리, 『台灣民間文學集』, 台灣文藝協會, 1936 미소장
11 박지향, 장문석 역, 『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 휴머니스트, 2004 미소장
12 최말순, 『식민과 냉전하의 대만문학』 글누림 출판사, 2019 미소장
13 최말순 편, 『타이완의 근대문학 1』, 소명출판, 2013 미소장
14 崔末順, 『海島與半島:日據臺韓文學比較』, 聯經出版社, 2013 미소장
15 施懿琳, 「民歌采集史上的一頁補白」:蕭永東在『三六九小報』的民歌仿作及其價值」, 『通俗文學與雅正文學』, 2002 미소장
16 胡萬川, 「反思與認同:1920-30年代中國與台灣民間文學運動的異同」, 『中國近代文化的解構與重建學術研討會論文集—中華文化與台灣文化:延續與斷裂』, 政治大學, 2005 미소장
17 王美惠, 「1930年代台灣新文學作家的民間文學理念與實踐:以『台灣民間文學集』爲考察中心」, 國立成功大學歷史硏究所博士論文, 2008 미소장
18 崔末順, 「現代性與台灣文學的發展(1920-1949), 國立政治大學中文系博士論文, 2004 미소장
19 戴文鋒, 「日治晚期的民俗議題與台灣民俗學:以『民俗台灣』為分析場域」, 國立中正大學歷史研究所博士論文, 199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