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해보고 이들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H대학과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54부를 대상으로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성인애착,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의 하위요인만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은 행복감을 의미 있는 수준으로 예측하였다. 특히 놀이성 하위요인 중 재미 추구 동기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성인애착 하위요인 중 의존-애착,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관계형성 및 개시, 놀이성 하위요인 중 비억제성 순으로 행복감에 대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성인애착과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에 관심을 갖고 이를 발달시키기 위한 노력과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육교사가 지각한 경제적 어려움이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자유의지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work vol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decent work in childcare teachers 홍시라, 이유영 p. 5-20

초등학교 입학 전·후 아동의 행복감 =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entrance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송영주 p. 21-43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elf-esteem on emotional labor among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rious leisure : 진지한 여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윤호, 유영의 p. 93-110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the playfulness on the play support cap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mediating effect by the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임연자, 이윤아 p. 129-149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을 위한 법과 전달체계의 현황 및 개선 방안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legislation and delivery systems for supporting infants and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y 강은진, 최윤경 p. 253-278

디지털 전환 시대 유아교사 역량 =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i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 '방음'과 '공명'의 균형을 추구하며 조부경, 강지애 p. 151-178

예비유아교사의 성인애착, 놀이성, 대인관계 유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playfuln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happi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고지민, 이진희 p. 279-299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ent's smartphone addiction on children's playfulness :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of parent's attitudes of play participati+on and playfulness :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놀이성의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델(APIMeM) 장소현 p. 179-200

유아 동요의 음악적 요소 분석 = An analysis on musical elements of children's songs : children's songs posted on i-Nuri : i-누리에 게시된 동요를 중심으로 김동환 p. 343-362

어머니의 정서코칭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간 관계 = Relations between maternal emotion coaching and child peer play behaviors : mediating effect of child emotion regulation ability :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정하, 박성민 p. 201-221

영유아교사 조직문화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as factors protect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ors : 보호 요인을 중심으로 김시영, 윤재희 p. 363-384

유아의 신체표현활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천 경험과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children's physical expressive activities 성소영 p. 385-416

2019 개정 누리과정으로의 변화에 따른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계획안 작성과 실천 =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lan und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국윤, 권귀염 p. 223-251

'유아용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steem scale for young children' 박성주, 이영선, 이승연 p. 45-71

유아기 부모의 긍정적 아동기 경험과 인권친화적 양육태도 간의 관계에서 아동관의 다중매개효과 =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view of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childhood experience and human rights-friendly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김선희, 윤재희 p. 73-92

가정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ome mathematical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s math achievements : moderating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for math : 수학 사교육 이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수정, 임혜성 p. 111-128

교사 자기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놀이상호작용 간의 종단적 구조 관계 = The longitudinal structure relationship among teacher self-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classroom environ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문은식, 문명화 p. 301-320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의 메타경로분석 = Meta-path analysis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for turnover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홍희주, 최효정 p. 321-341

참고문헌 (6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정원 (2015).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산업학회논문지, 9(4), 227-242. https://doi.org/10.21184/jkeia.2015.12.9.4.227 미소장
2 고영자 (2023).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행복감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9), 815-829.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9.815 미소장
3 고정완 (2019). 예비유아교사의 성격특성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0(3), 73-87. https://doi.org/10.22143/HSS21.10.3.6 미소장
4 고태순 (2019).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3), 229-249. https://doi.org/10.22590/ecee.2019.23.3.229 미소장
5 권석만 (2011). 인간의 긍정적 성품 -긍정 심리학의 관점-. 집문당. 미소장
6 권수현, 이승연 (201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역할갈등 및 역할갈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영향 분석: 회복탄력성 상·하집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2), 311-331. 미소장
7 권혜진 (2013).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75-200. 미소장
8 김병만, 김미진 (2016).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69-192. 미소장
9 김용희 (2018). 대학생의 불안정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긍정반추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6), 191-219. https://doi.org/l10.21509/KJYS.2018.06.25.6.191 미소장
10 김정은 (2010).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 및 교육신념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김춘경, 조민규(2016). 예비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성격특성, 인성문제간의 관계: 애착유형별 차이 검증. 정서·행동장애연구, 32(2), 129-147. 미소장
12 김희정, 박유영, 조은정 (2009).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1), 121-138. 미소장
13 김희진 (2020).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교사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문연경 (2015). 유아-교사의 상호작용을 위한 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조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9(2), 41-60. 미소장
15 문태형 (2014).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착각,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아동교육, 23(1), 43-58. 미소장
16 박은혜, 고재천 (2008). 유아교사의 부모, 원장, 동료교사에 대한 정서적 지형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4), 139-166. 미소장
17 박은희 (2014).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경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박지연, 고지민 (2022). 만 4세 바다반 유아가 경험한 행복과 그 의미에 관한 교사의 인식변화. 유아교육학논집, 26(3), 83-110. https://doi.org/10.32349/ECERR.2022.6.26.3.83 미소장
19 박진성, 신현정 (2017).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2), 215-236. 미소장
20 박진성, 신현정 (2018). 예비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9(6), 145-159. https://doi.org/10.22143/HSS21.9.6.11 미소장
21 서지윤 (2018. 8. 27). 대학생 행복도, '현재'도 '5년 후'도 불행하다.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8472/에서 2022년 4월 3일 인출 미소장
22 성영실, 최우수, 이성주 (2021).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6(2), 125-150. https://doi.org/10.20437/KOAECE 26-2-06 미소장
23 송미선 (2017).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및 교사전문성 인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2), 171-189. http://dx.doi.org/10.22155/JFECE.24.2.171.189 미소장
24 안미현 (2016). 유아의 놀이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엄은나 (2016).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53-78. 미소장
26 육아정책연구소 (2020). 2019 영유아 주요 통계. 경성문화사. 미소장
27 윤성민 (2019).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기본 심리적욕구만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1(4), 1139-1164. https://doi.org/10.23844/kjcp. 2019.11.31.4.1139 미소장
28 이경민,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의 관련성 탐색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미소장
29 이보람, 서영 (2018).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 역량인식,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 12(1), 205-214. https://doi.org/10.21184/jkeia.2018.1.12.1.205 미소장
30 이수정 (2020). 유아의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이순행, 이희연, 정미라 (2018). 한국판 성인놀이성 척도(K-APTS) 타당화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지, 23(2), 397-425. https://doi.org/10.17315/kjhp.2018.23.2.006 미소장
32 이승은, 서현 (2015).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 및 행복과 행복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5), 333-356. 미소장
33 이은정, 이소현 (2019).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복감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4), 139-155. https://doi.org/10.22155/JFECE. 26.4.139.155 미소장
34 이재원 (2006).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자아정체감과 대인 관계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이정희 (2021). 유아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이지원 (2021). 영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이진화 (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아동교육, 16(4), 199-210. 미소장
38 이혜영 (2020).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9 전은주 (2014).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정서지능 및 직무만족도와 행복감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0 정윤주 (2017). 청소년 후기의 놀이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2(1), 23-41. https://doi.org/10.23931/kacp.2017.12.1.23 미소장
41 정주희, 김종운 (2021). 대학생의 성인애착, 자기자비, 탈중심화, 반추,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1), 645-661. 미소장
42 조순오, 송주연 (2011).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아동교육, 20(3), 287-301. 미소장
43 채영문, 곽수진 (2013). 대학생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감능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2(6), 599-6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6.599 미소장
44 최보람 (2015). 회피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최아라 (2022) 성인애착과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60(2), 232-242. https://doi.org/10.6115/fer.2022.015 미소장
46 최혜영, 김수영 (2021).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정서 변인과 직무 관련 변인 –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30(1), 33-55. https://doi.org/10.17643/KJCE.2021.30.1.02 미소장
47 한나리, 이동귀 (2010).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2(1), 137-156. 미소장
48 한희정, 서현아, 오소라, 하지만 (2014).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탕력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143-164. 미소장
49 현미정 (2017). 예비유아교사의 정서표현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조절 효과.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2(4), 115-133. 미소장
50 홍지명 (2021). 유아의 놀이성 및 자기조절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5), 2687-2699. https://doi.org/10.22143/HSS21.12.5.190. 미소장
51 황은희, 이영애 (2021).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및 놀이성이 창의적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6(1), 165-188. https://doi.org/10.20437/KOAECE26-1-07 미소장
52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5).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유아교육연구, 36(3), 365-386. 미소장
53 황해익, 김은정 (2016). 영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경로분석. 유아교육연구, 36(5), 373-397. 미소장
54 황해익, 최혜진, 김병만 (2012).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주의 및 학과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405-434. 미소장
55 Berman, W. H., & Sperling, M. B. (1994).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dult attachment. In M. B. Sperling & W. H. Berman (Eds.), Attachment in adults: Cin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pp. 3-28).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56 Brennan, K. A., Clark, C. L., Shaver, P. R.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57 Bulanda, R. E., & Majumdar, D. (2009).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 and adolescent self-esteem.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2), 203-212. 미소장
58 Collins, N. L., & Read, S. J. (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4), 644-663. 미소장
59 John, C. L., & Meng, X. (2020).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Happiness in Hong Kong:A Comparative Study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Life Education, 12(1), 71-109. 미소장
60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21. December 4). COVID-19, university(Graduate) stud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urvey. Retrieved December, 4, 2021 from http://www.kcue.or.kr/index.htm 미소장
61 Noddings, N. (2003). 행복과 교육[Happiness and Education]. (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역). 학이다. (원저 2003년 출판) 미소장
62 Proyer, R. T. (2013). The well-being of playful adults: Adult playfulness,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well-being, and the pursuit of enjoyable activities. European Journal of Humour Research, 1(1), 84-98. 미소장
63 Shen, X., Chick, G., & Zinn, H. (2014). Playfulness in adulthood as a personality trait: A reconceptulization and a new measur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6(1), 58-83. 미소장
64 Waugh, C. E., & Fredrickson, B. L. (2006). Nice to know you: Positive emotions, self-other overlap, and complex understanding in the formation of new relationships.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2), 93-106. 미소장
65 Yue, X. D., Leung, C. L., & Hiranandani, N. A. (2016). Adult playfulness, humor styles, and subjective happiness. Psychological Reports, 119(3), 630-64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