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기존의 선거 여론조사 보도 개선방안이 만족스러운 결과로 이어지지 않은 이유는 언론이 여론조사 방법에 내재한 대표성 한계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뉴스 수용자와 유권자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유권자 설문조사 데이터에 근거하여 구체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20대 대통령선거에 투표권이 있었던 전국 만 19세 이상 유권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N = 1,304).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인식적 속성에서 선거 여론조사 참여자와 비참여자 집단의 차이를 확인했다. 설문조사 응답자 속성의 편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선거 여론조사로 실제 투표 결과를 예측할 때 생기는 불일치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한편, 전화면접 방식 응답자와 ARS 방식 응답자의 집단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사기관과 언론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는 100점 만점에 60점이 채 안 되었다.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조사기관은 기관별 품질 격차를 줄이고 언론사는 조사 결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며 해석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는 앞으로의 정책 및 제도적 개선 과정에 필요한 유권자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북제재에 관한 뉴욕타임즈 뉴스보도 = New York Times coverage of sanctions on North Korea : a corpus-driven approach : 코퍼스에 기반한 텍스트 분석 문미리 p. 117-163

한국 언론의 저출산 담론의 구성 = The construction of low birth rates discourse in the Korean media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ow birthrate" coverage in the Dong-A Ilbo and Kyunghyang Shinmun : 동아일보와 경향신문의 '저출산' 보도를 중심으로 허윤철 p. 5-36

선거여론조사와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Practitioners’ perspectives on election polls and election poll coverage : 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 현업종사자에 대한 인터뷰 연구 윤호영, 임윤주 p. 37-79

선거 여론조사 응답자의 대표성과 조사기관과 언론에 대한 뉴스 수용자 인식 분석 = Representativeness biases of election poll participants and analysis of news users’ perceptions on survey companies and the press 정일권, 임윤주, 차유리 p. 81-115

편향성의 동원과 부정적 정치 사이클 = The mobilization of bias and the negative political cycle : anxiety, social media us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negative political awareness : 불안, 소셜미디어 이용, 환경감시와 부정적 정치인식 김미경 p. 165-199

네이버의 주요 뉴스 서비스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언론 이슈에 대한 고찰 = The media issues in response to Naver’s major news service policy changes 박기묵 p. 201-237

'이름짓기'의 정치적 효과 = The political effects of labeling : focusing on news labeling using identity cues : 정체성 단서를 활용한 언론의 이름짓기를 중심으로 김감미, 민영 p. 239-277

참고문헌 (5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아영 (2016. 5. 25.). 조사기관 탓 말고 언론도 반성해야. 『한국기자협회』. http://m.journalist.or.kr/m/m_article.html?no=39247 미소장
2 강은나래 (2020. 3. 25.). 총선 때마다 여론조사 무용론…이번엔 맞힐까?.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MYH20200325022500038 미소장
3 권혁남 (1991). 선거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새로운 방향: 13대 대통령선거와국회선거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신문학보)』, 26, 5-43. 미소장
4 권호천 (2016). 20대 총선에 대한 신문보도의 의미네트워크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2, 39-87. 미소장
5 고성석・한용희 (2016). 2014 지방선거 여론조사의 예측오차에 대한 조사편향의영향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권 2호, 771-781. 미소장
6 곽은선・김영원 (2022). 현행 선거여론조사 방법의 정확성과 선거결과 예측 가능성. 『조사연구』 23권 1호, 131-153. 미소장
7 김경모・김시현・송현진 (2010). 선거 여론조사 보도에서 방법론 문제와 부정적 보도 경향의 관계: 주요 일간지의 16-18대 국회의원선거기사 내용분석. 『언론과학연구』, 10권 3호, 81-124. 미소장
8 김선호・김위근 (2016)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여론조사. Media Issue 2권 4호, 1-17. 미소장
9 김선호・백영민・장경은 (2021). 『선거와 미디어: 유권자의 관점에서』.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소장
10 김연수・김지현・정일권 (2007). 2007 대선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특성-신문과방송 보도의 내용분석과 응답자 서베이 조사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7권, 83-120. 미소장
11 김영원・황다솜 (2014). 2014년 지방선거 여론조사 전화조사방법에 따른 예측오차및 편향. 『조사연구』, 15권 4호, 1-32. 미소장
12 김지연・나윤정・이명진・조성겸 (2007). 선거여론조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006년 지방선거 전화조사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8권 1호, 31-54. 미소장
13 김지윤・강충구 (2014). 여론조사의 대표성: 표집과 조사방식에 대한 연구. 『평화연구』, 22권 2호, 360-397. 미소장
14 김지윤・우정엽 (2012). 휴대전화를 이용한 정치 여론조사에 대한 연구. 『한국정당학회보』, 11권 2호, 225-246. 미소장
15 김철년・하윤수・배승주 (2022). 정치의 미디어화 실증을 위한 유튜브 연구: 2022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66, 97-134. 미소장
16 김춘석・정한울 (2010). 6・2 지방선거 여론조사 방법론 논쟁: 선거여론조사방법의문제점과 개선 방안 제언. 『EAI 기타간행물』, 1-12. 미소장
17 박재영・안수찬・박성호 (2014). 대통령 선거 보도의 기사품질, 심층성, 공공성의 변화: 1992~2012년 국내 주요 신문의 경우. 『방송문화연구』, 26권 2호, 33-66. 미소장
18 박종희 (2013). 제18대 대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조사기관 편향. 『조사연구』, 14권 호 1 , 1-30. 미소장
19 박현진・정일권 (2018).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효과: 수치 위주 기술형 대 분석-설명형 보도의 비교.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2권 3호, 4-35. 미소장
20 법령강령 – 방송제작가이드라인. 서울: KBS. 접속일자: 2023. 2. 5. URL:https://open.kbs.co.kr/index.html?sname=kbs&stype=rule#none 미소장
21 송병권 (2019). 여론조사 보도에서 나타난 언론매체의 정치적 편향: 제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8권 4호, 69-93. 미소장
22 양승찬 (2002).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제언. 한국언론학회 <선거 보도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하여> 세미나 발제문. 85-123. 미소장
23 양승찬 (2007).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커뮤니케이션이론』, 3권 1호, 83-119. 미소장
24 양승찬 (2016).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이슈. 『관훈저널』, 28-36. 미소장
25 언론중재위원회 (2022) 제20대 대선 선거기사심의위원회 제재 결정 역대 최다. 서울: 언론중재위원회. 접속일자: 2023.04.07. URL: https://www.pac.or.kr/kor/pages/?p=41&b=B_1_2&bn=2900&m =read&nPage=1 미소장
26 오미영 (2018). 국내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과 언론사 및 여론조사 신뢰에 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50, 83-123. 미소장
27 이강형 (2002). 유권자의 정치후보에 대한 감정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6권 5호, 73-104. 미소장
28 이명진・김선혁・최지영 (2021). 『선거여론조사 등록기관 관리・감독 강화 방안 연구』. 경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미소장
29 이준웅 (2002). 선거 여론조사방법 및 운용. 『관훈저널』, 83호. 45-59. 미소장
30 이효성 (2002). 선거보도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하여: 선거보도 개선을 위한 이론적 논의와 제안.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1-18. 미소장
31 전희락・이제영 (2014). 정치인 여론조사의 신뢰도 인식에 관한 유형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3, 71-93. 미소장
32 정승혜 (2022. 5. 5.). 응답률 1% 여론조사…믿을 수 있을까?. 『MBC』. https://imnews.imbc.com/news/2022/politics/article/6365844_35666.html 미소장
33 정일권 (2014). 선거여론조사 개선 방법에 대한 보도자와 조사자의 의견 차이에관한 연구. 『조사연구』, 15권 4호, 61-94. 미소장
34 정일권 (2017).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통한 언론의 상관조정 기능 강화. 『커뮤니케이션이론』, 13권 4호, 5-39. 미소장
35 정일권・김상연 (2021). 해석적 선거 여론조사 보도: 기사 작성과 취재 실천 방안. 『방송문화연구』, 33권 2호, 9-46. 미소장
36 정일권・김영석. (2006).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여론동향 지각과 제 3 차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4), 302-327. 미소장
37 정일권・장병희・남상현 (2014). 선거여론조사 방송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관한 연구: 지상파와 종편의 제18대 대선 방송뉴스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8권 5호, 150-196. 미소장
38 최영준 (2018). 19대 대선관련 뉴스에 대한 언론사별 팩트체킹 분석: 2017년 저널리즘 공정성에 관한 탐색적 고찰.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9호, 131-177. 미소장
39 최인숙 (2019). 한국 선거여론조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제도적 방안. 『정책개발연구』, 19권 1호, 123-153. 미소장
40 최종호・김태균・백다예・왕정하・한강욱 (2022). 조사방법 차이가 정치적 태도 조사결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여심위 선거여론조사 통합자료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21권 3호, 5-40. 미소장
41 한국갤럽 (2019. 9. 4.). 〈조사인으로 살다〉 부끄러운 여론조사 보도. https://www.gallup.co.kr/gallupdb/columnContents.asp?seqNo=111 미소장
42 한국조사학회 (2014. 8. 21.) [공지](사)한국조사협회, ARS 여론조사 수행하지 않기로 결의. http://ww.kasr.org/?m=bbs&bid=regard&p=10&uid =498 미소장
43 한국신문협회・한국방송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한국인터넷신문협회・한국인터넷기업협회 (2016). 선거여론조사 보도 준칙 및 선거 여론조사의이해. https://www.kpf.or.kr/front/board/boardContentsView.do?board_id=291&cont ents_id=00022D74204ECBA285732B93816939B2 미소장
44 허순영・이수철 (2016). 전화 선거여론조사에서 무응답률 증가로 인한편의와 응답률 제고 방안.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7권 2호, 315-325. 미소장
45 Ansolabehere, S., & Iyengar, S. (1994). Of horseshoes and horse races: Experimental studies of the impact of poll results on electoral behavior. Political Communication, 11(4), 413-430. 미소장
46 Beckers, K. (2021). “According to the Polls…” Opinion Poll Coverage in Network Evening News during the 2020 US Election Campaig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33(4), 1050-1061. 미소장
47 Bhatti, Y., & Pedersen, R. T. (2016). News reporting of opinion polls: Journalism and statistical nois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8(1), 129–141. doi: 10.1093/ijpor/edv008. 미소장
48 Chia, S. C., & Chang, T. K. (2017). Not my horse: Voter preferences, media sources, and hostile poll reports in election campaig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9(1), 23-45. 미소장
49 Hobbs, R. (2010).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A White Paper on the Digital and Media Literacy Recommendations of the Knight Commission on the Information Needs of Communities in a Democracy. Aspen Institute. 1 Dupont Circle NW Suite 700, Washington, DC 20036. 미소장
50 Kim, J., Gershenson, C., Glaser, P., & Smith, T. W. (2011). The polls-trends: Trends in surveys on surveys. Public Opinion Quarterly, 75, 165–191.doi: 10.1093/poq/nfq047 미소장
51 Lavrakas, P. J. & Traugott, M. W. (2000). Election Polling in the Twenty first Century: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P. J. Lavrakas and M. W. Traugott (Eds.), Election Polls, the News Media, and Democracy(pp. 162-181). New York:Chatham House. 미소장
52 Meyer, P., & Potter, D. (2000). Hidden Value: Polls and Public Journalism. In P. J. Lavrakas and M. W. Traugott (Eds.), Election Polls, the News Media, and Democracy(pp. 113-141). New York: Chatham House. 미소장
53 Patterson,T. E. (1980). The Mass Media Election. New York: Praeger. 미소장
54 Patterson,T. E. (1993). Out of Order. New York: Knopf. 미소장
55 Perryman, M. R., Foley, J., & Wagner, M. W. (2020). Is Bad News Biased? How Poll Reporting Affects Perceptions of Media Bias and Presumed Voter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4, 21. 미소장
56 Pinkleton, B. E., Austin, E. W., & Fortman, K. K. (1998). Relationships of media use and political disaffection to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2(1), 34-49. 미소장
57 Price, V., & Stroud, N. J. (2006). Public attitudes toward polls: Evidence from the 2000 U.S. presidential el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8, 393–421. doi: 10.1093/ijpor/edh119 미소장
58 Stephens, M. (2014). Beyond News: The future of journalis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59 Tsfati, Y. (2001). Why do people trust media pre-election polls? Evidence from the Israeli 1996 el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13, 433–441. doi: 10.1093/ijpor/13.4.43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