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계보경, 한나라, 김은지, 박연정, 조소영 (2021). 메타버스의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2 |
교육플러스 (2021.10.25.). 동아리 발표회 ‘게더타운’에서 한다고? 밀양여고, 메타버스의 교육적 모델 제시 ‘화제’. 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7에서 2023년 2월 14일 인출. |
미소장 |
3 |
김경희, 주금재, 윤제연 (2017). 의대생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 훈련 프로그램 효과 검증 및 참여경험 분석. 의료커뮤니케이션, 12(1), 41-50. |
미소장 |
4 |
김나랑 (2022).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연구, 31(1), 219-238. |
미소장 |
5 |
김명순 (2003).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상균 (2020). 메타버스: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
미소장 |
7 |
김수향, 문미경 (2021). 메타버스(Metaverse)와 미래교육 학습자 정체성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
미소장 |
8 |
김수형 (2020). 온라인에서의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주관성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우상, 나건 (2017). 현존감을 반영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3), 139-153. |
미소장 |
10 |
김지환, 김광욱 (2022). 메타버스 내 사용자 신원 증명을위한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가상 아바타. 정보과학회논문지, 49(11), 1032-1042. |
미소장 |
11 |
남문희, 이강훈, 이정미 (202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탈플라스틱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의만족도 및 효과성 분석: 수업몰입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8), 85-103. |
미소장 |
12 |
뉴스핌 (2022.01.05.). 메타버스 활용 79.3%, 코로나 이후이용... 아직은 1회성.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105001036에서 2022년 1월 5일 인출. |
미소장 |
13 |
박노일, 정지연, 홍다예 (2022). 메타버스(Metaverse) 이용과 사회자본 형성: 사회적 실재감과 사회적 지지 및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6(5), 83-121. |
미소장 |
14 |
박지혜 (2021).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 차세대 콘텐츠 산업의 방향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
미소장 |
15 |
서동희 (2022). 3D애니메이션 기술로 본 메타버스 현존감구성요소와 발전 방향성 연구.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20(6), 79-91. |
미소장 |
16 |
손정명, 이시훈, 한정혜 (2022).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소통SW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1), 11-22. |
미소장 |
17 |
송명자, 이현림 (2008).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0(2), 269-291. |
미소장 |
18 |
안서현, 허윤 (2023). 메타버스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과목 강의의 설계와 운영. 교양교육연구, 17(1), 63-76. |
미소장 |
19 |
유철수 (2008). 의사소통훈련이 전문대학생의 대인관계 및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윤송이, 이규혜 (2011). 사회적 자기이미지와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 이미지-이상적 이미지와 실제적 이미지를중심으로-. 복식, 61(9), 1-14. |
미소장 |
21 |
윤진영, 김연형, 이채원 (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창작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5), 273-283. |
미소장 |
22 |
윤혜성 (2009). 사이버 공간에서 소통이 갖는 교육적 의미.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고은 (2020).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교육 트랜드 변화. KDB 미래전략연구소. |
미소장 |
24 |
이도연, 정여주 (2022).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 539-555. |
미소장 |
25 |
이예진, 정광태 (2022). 메타버스의 수업활용에 관한 사용자경험 분석-스페이셜(Spatial)을 중심으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4(2), 367-376. |
미소장 |
26 |
이주현 (2022). 대학교육에 있어서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탐색적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구보고서. |
미소장 |
27 |
이희준, 차상안, 권해나 (2016). 증강현실을 활용한 IT 교육콘텐츠가 성인 학습자의 학업 성취와 학습 흥미 및 몰입에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424-437. |
미소장 |
28 |
임평규 (2001). 현실과 사이버의 맥락에 따른 자기노출의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자투리경제 (2022.10.26.). [메타버스⑯] ‘메타버시티’... 메타버스 활용 대학들. http://www.jaturi.kr/news/articleView.html?idxno=9918에서 2022년 10월 26일 인출. |
미소장 |
30 |
정기성, 한승훈, 이동규, 김진모 (2016). 몰입형 전래동화콘텐츠 제작을 위한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22(3), 43-52. |
미소장 |
31 |
정은경 (2013). 스마트 앱 TV의 수용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정호권 (2003).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인간관계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조연직, 신소영, 박현진 (2022). 메타버스를 경험한 교육 분야 종사자들의 인식 및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 방안 탐색. 교육연구, 44(1), 33-53. |
미소장 |
34 |
주지선 (2005).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최원호, 전영국 (2020).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
미소장 |
36 |
태지현 (2010). 청소년 개인특성에 따른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에서 자기노출: 인터넷 자기효능감과 자의식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한겨레 (2022.06.09.). “가상공간에서 수업을”... 울산 모든초등학교 ‘메타버스’ 활용.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046312.html에서 2022년 6월 9일 인출. |
미소장 |
38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2). 2021 디지털전환시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
미소장 |
39 |
홍희경 (2021).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 융합, 43(9), 1-23. |
미소장 |
40 |
황요한 (2022).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교육 인식 및 만족도사전조사: 이프랜드(ifland) 앱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 논문지, 22(3), 121-133. |
미소장 |
41 |
UNN (2022.10.01.). [대학通] 대학가 대면 수업 전환과 교육환경의 변화.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34504에서 2022년 10월 1일 인출. |
미소장 |
42 |
Biocca, F., Harms, C., & Burgoon, J. K. (2003). Toward a more robust theory and measure of social presence:Review and suggested criteria.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12(5), 456-480. |
미소장 |
43 |
Carlson, J. R., & Zmud, R. W. (1999). Channel expansion theory and the experiential nature of media richness perception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2(2), 153-170. |
미소장 |
44 |
Carter, K. A. (2003). Type me how you feel: Quasi-nonverbal cue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ETC: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60(1), 29-39. |
미소장 |
45 |
Freeman, G., & Maloney, D. (2021). Body, Avatar, and Me:The Presentation and Perception of Self in Social Virtual Reality. Proceedings of the ACM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239, 1-27. |
미소장 |
46 |
Hiltz, S. R., & Turoff, M. (1981). The evolution of user behavior in a computerized conferencing system. Communications of the ACM, 24(11), 739-751. |
미소장 |
47 |
Hu, C., Kumar, S., Huang, J., & Ratnavelu, K. (2017). Disinhibition of negative true self for identity reconstructions in cyberspace: Advancing self-discrepancy theory for virtual setting. PloS one, 12(4), e0175623. |
미소장 |
48 |
Martey, R. M., & Consalvo, M. (2011). Performing the Looking-Glass Self: Avatar Appearance and Group Identity in Second Lif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a and Culture, 9, 165-180. |
미소장 |
49 |
Oh, H. J., Kim, J., Chang, J. J., Park, N., & Lee, S. (2023). Social benefits of living in the metavers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presence, supportive interaction, social self-efficacy, and feelings of lonelin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39, 107498. |
미소장 |
50 |
Park, S. B., & Chung, N. (2011). Mediating roles of self-presentation desire in online game community commitment and trust behavior of 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6), 2372-2379. |
미소장 |
51 |
Pfeiffer, J. W., & Jones, J. E. (1974). Annual handbook for group facilitators. Pfeiffer & Company. |
미소장 |
52 |
Rains, S. A. (2007). The Anonymity Effect: The Influence of Anonymity on Perceptions of Sources and Information on Health Websites.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35(2), 197-214. |
미소장 |
53 |
Short, J. A., Williams, E., & Christie, B. (1976).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London: Wiley. |
미소장 |
54 |
Teng, C. I. (2017). Impact of avatar identification on online gamer loyalty: Perspectives ofsocial identity and social capital the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7, 601-610. |
미소장 |
55 |
Tidwell, L. C., & Walther, J. B. (2002).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ffects on Disclosure, Impressions, and Interpersonal Evaluation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3), 317-348.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