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습실재감 및 능동적 학습에 기반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설계 개발과 학습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verse-based education platform (MEP) focusing on learning presence and active learning and its effect on learning outcomes : The case of ‘Election Land’ : '메타버스 선거랜드' 구축 및 활용 사례 임지연, 김정주, 하형석 p. 1-17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instructional work using microteaching up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김정은 p. 19-31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관계에서 교사 전문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 between daycare center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봉현주, 김민정 p. 33-47
Social distance, positioning, and investment of an Arabic student in a US elementary ESL classroom with Korean peers = 미국 초등학교 ESL 교실의 한국 또래와의 사이에서 아랍권 학생의 사회적 거리, 위치 설정(포지셔닝) 및 투자 Hyona Park p. 49-66
아동의 창의적 학교 환경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tudents’ creative school environment perception : focusing on teacher and school environment, parents, student : 교사, 학부모, 학생 요인을 중심으로 윤가영, 장재홍 p. 67-80
2015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등급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vocabulary grade in Korean textbooks in 2015 curriculum middle school 김지연, 박영민 p. 81-99
아동기 외상 경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on childhood trauma experience : focusing on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2016 to 2021 : 2016년~2021년에 게재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윤판기, 김지연 p. 101-118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areer activity experiences of 2n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엄희수, 김재철 p. 119-135
중학교 음악교사의 원격수업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online class by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 황부남 p. 137-150
비대면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김영숙, 김미점, 김유나, 노윤지 p. 151-165
수업실습지원 사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pre-education program supporting teaching practicum on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하문선, 설양환, 황명환 p. 167-178

결혼이주여성의 온라인 생활문화 쓰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online writing class about life culture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김정은, 이윤정 p. 179-196
육사 생도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for KMA cadets :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최윤영, 이현엽, 현승주, 강성록 p. 197-210
과학기술연구자들의 목적지향 동기기반추론 경험과 극복 전략 =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experiences with goal-directed motivational reasoning and strategies for overcoming it 신세인, 이준기 p. 211-233
교수 교육역량 진단 도구 개발 = A development of faculty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instrument : the case of G university : G대학 사례 조은영, 채수은 p. 235-248
영유아 교사의 교수창의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teaching creativity : from 2012 to February 2023 : 2012년부터 2023년 2월까지 김성애 p. 249-261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related variables :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types :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차이 검증 박현웅, 김춘경 p. 263-278
축구선수의 은퇴인식 및 은퇴준비의 심층 분석 = An in-depth analysis of soccer players' retirement awareness and retirement preparation 최승범, 최재원 p. 279-296
교양강의 내 메타버스 공간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경험 분석 정여주, 선혜연, 이도연, 이애선, 조현진, 신지윤, 오솔길, 정소울, 최영숙 p. 297-317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undergraduates :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하영, 김나래 p. 319-333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coaching competency on early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emotional coaching style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감정코칭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희정 p. 335-353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experience Korean teachers of Korean teaching 박소영 p. 355-371
WPR(What's the Problem Represented to be?)의 접근에서 본 교육복지 정책의 문제화 = The problematicization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 focusing on WPR (What's the problem represented to be?) 이정민 p. 373-387
보육교직원의 세대 간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 Qualitative exploration of the intergenerational experience of childcare staff 윤선영, 임환미, 서은총 p. 389-406
대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기반 돌봄책임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ogram to improve caring responsibility based on distanc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이정은, 강수경 p. 407-422
유아교사의 전문성인식과 정서표현성이 교사 자신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emotional expression on th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육명신, 임영옥 p. 423-438
비대면 및 대면 상황의 논의기반 탐구(ABI)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인식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in Argument-Based-Inquiry (ABI) science classes of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situations 조혜숙, 이지화, 남정희 p. 439-459
어머니와 교사가 평정한 유아의 주도성과 자기통제가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 and teacher reported initiative and self-regulation to motor development 장유진, 김성애 p. 461-472
보육교사의 그릿이 가정 및 직장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child care teacher’s gri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home and work life 고정리 p. 473-490
MZ세대의 직업 가치관과 대학 생활 만족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MZ gener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planning : 진로 계획성 매개를 중심으로 서경화 p. 491-507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인관계 척도개발 = Development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이은미 p. 509-524
한국어 교원의 디지털 역량 구성요소 설정에 관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igital competence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teacher 김정미 p. 525-544
전문 낚시인의 낚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cal study on the fishing experience of professional anglers 오승환 p. 545-557
한국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이 건강상태(BMI)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rnet usage level on health status (BMI) of Korean adolescents : using the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김윤선 p. 559-571

보육교사 일-삶 균형(WLB)이 주관적 경력 성공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WLB (work-life balance)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career commitment 이신주 p. 573-589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질적 문헌분석 = Qualitative literature analysis on stud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김세연, 이은택, 서성일, 유영만 p. 591-608
'질문생성' 기반 읽기 지도가 중학생의 메타인지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question generation based reading instruct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eta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전상은, 정옥년 p. 609-620
학교 중단 청소년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participating in an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 program 윤우영, 박성옥 p. 621-637
유아음악교육에서 물질적 상상력의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meaning of material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 focusing on Bachelard’s theory : Bachelard 이론을 중심으로 백지혜 p. 639-654
개업상담자 다중역할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acticing counselor multiple-role stress scale 문호경, 김지현 p. 655-673
대학생들의 메타인지, 학습몰입,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resilience o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원주연, 성귀복 p. 675-691
대학생의 지연동기와 지연행동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rastination motives and procrastination : mediating effects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장성훈, 정남운 p. 693-705
심리적으로 소진된 초등교사의 학생⋅학부모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burn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 students and parents 최지혜, 유형근 p. 707-725
영유아교사의 정서저널쓰기 경험의 변화과정과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rs on and the meanings of reflective emotion journaling 김효진 p. 727-750
교과융합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공감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converg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on empathy of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이형순, 박성희 p. 751-765
생태패러다임(NEP)의 관점으로 본 고등학생의 생태 관련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ecolog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NEP) 남미자, 목정연 p. 767-779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핵심역량 탐색 = An explor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promote professionalism in directors of home daycare centers 이정화, 안영혜 p. 781-795
유자녀 여성의 부모화 경험이 가정 소진에 미치는 영향 =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housework burnout in women with children : 완벽주의, 정서표현 억제, 양육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 배성아, 최현주 p. 797-809
피지컬 리터러시 내 동기 및 자신감 영역 척도에 관한 타당성 = Validation on the scale for the motivation and confidence domain within physical literacy 최승우, 이안수 p. 811-822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재평가와 갈등해결전략의 매개 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reappraisal and conflict rrsolution strategy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mid-life crisis 길예진, 김영희 p. 823-839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사고 경험 =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accident during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phenomenological research : 현상학적 연구 곽수영 p. 841-852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are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최용호, 최웅용 p. 853-868
융합예술치료가 뚜렛 장애 아동의 틱 증상 감소와 자기표현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단일 사례 연구 = Effects of convergence art therapy on the reduction of tic symptoms and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self-esteem in children with Tourette's disorder single case study 지민정, 이에스더 p. 869-889

참고문헌 (4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소산 (2021).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한국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연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을 중심으로. 漢城語文學, 44, 119-153. 미소장
2 교육부 (2023.2.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방안. https://www.moe.go.kr/main.do?s=moe에서 2023년 3월 20일 인출. 미소장
3 길혜지, 이상훈, 황정미 (2022).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핵심역량교육연구, 7(2), 1-24. 미소장
4 김교령, 박은혜 (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교육 프로그램 개발. 육아지원연구, 17(3), 103-132. 미소장
5 김지혜, 윤경원, 심상민 (2022). 교육용 테크놀로지 활용에대한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인식 연구. Journal of K orean Culture, 57, 73-111. 미소장
6 남경란 (2015). 예비 한국어교사의 역량 강화를 통한 Dual Target 한국 언어문화 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하여. 민족연구, 64, 45-63. 미소장
7 노들 (2022).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3(1), 171-202. 미소장
8 노정은, 임수진, 안윤숙 (2020).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어 교육, 31(4), 21-53. 미소장
9 린천천, 권순희 (2021).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한국어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國語敎育學硏究, 56(2), 145-181. 미소장
10 박균열 (2017).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ICT기반의 미래 초⋅중등학교 설계와 교원교육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103-126. 미소장
11 박영지 (2022). 한국어 교사가 인식하는 테크놀로지 활용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국내 대학기관 한국어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58, 91-127. 미소장
12 오헌석 (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연구, 47, 191-213. 미소장
13 유다선, 정혜경 (2023). 직업훈련교사의 디지털 역량 측정설문도구 개발 연구. 職業 敎育 硏究, 42(1), 109-131. 미소장
14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敎育學硏究, 45(3), 233-260. 미소장
15 이경진, 최진영, 장신호 (2009).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수준및 교직경력별 핵심역량 수준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19-240. 미소장
16 이기영 (2022). 비대면 성취도 평가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어문연구, 111, 265-297. 미소장
17 이대용, 김석우 (2012).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평가지표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25(4), 581-604. 미소장
18 이미혜 (2019).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한국언어문화학, 16(2), 231-254. 미소장
19 이민우 (2022).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연구: 사이버대학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33(3), 147-166. 미소장
20 이영미, 박선영 (2022).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지표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6(6), 5-31. 미소장
21 이종성 (2001). 델파이연구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22 이철현, 전종호 (202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역량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 311-338. 미소장
23 이춘식 (2014). 델파이 조사를 통한 전문교과 교과서 인정제도의 개선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 229-243. 미소장
24 이해영, 김수현, 정혜선 (2020). 국외 한국어 교원의 교육및 연구 역량 제고를 위한 역량 중요도: 역량 향상도 분석. 이중언어학, 78, 149-172. 미소장
25 이혜현, 김수은 (2022).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핵심 역량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육, 33(4), 301-327. 미소장
26 정다운 (2019).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語文論集, 78, 443-475. 미소장
27 정영란, 곽덕훈 (2006). 이러닝에서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학습자 정보 표준화 모형 연구. 평생학습사회, 2(2), 91-112. 미소장
28 정희연, 윤지원 (2021). 온라인 동영상 한국어 수업에 대한교사 인식 조사 연구.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5(1), 124-133. 미소장
29 최숙영 (2018). 4차 산업혁명을 위한 디지털 역량에 관한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21(5), 25-35. 미소장
30 한혜민, 권유선 (2022). 국내외 한국어 교원 양성 교육의내용과 방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어 교원 대상 온라인 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04-114. 미소장
31 황용석, 이선민, 김여립, 황현정 (2022). 디지털 역량 척도개발 연구. 언론정보연구, 59(2), 5-48. 미소장
32 황윤희, 김선희 (2022). 역량 교육을 위한 수학 교사의 지식탐색에 관한 델파이. 커리큘럼 및 평가 저널, 25(2), 167-194. 미소장
33 Ala-Mutka, K. (2011). Mapping digital competence: Towards a conceptual understanding. Sevill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Institute for Prospective Technological Studies. 미소장
34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Sons, USA. 미소장
35 Ferrari, A. (2013). DIGCOMP: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understanding digital competence in europe. JRC Scientific and Policy Report. 미소장
36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Wiley Computer Publications. 미소장
37 Ilomäki, L., Paavola, S., Lakkala, M., & Kantosalo, A. (2016). Digital competence-an emergent boundary concept for policy and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1(3), 655-679. 미소장
38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미소장
39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미소장
40 Redecker, C., & Punie, Y. (2017). European framework for the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미소장
41 Rothwell, W. J., & Lindholm, J. E. (1999).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ling and assessment in the USA. Int J Train Dev, 3(2), 90-105. 미소장
42 Skantz-Åberg, E., Lantz-Andersson, A., Lundin, M., & Williams, P. (2022). Teachers’ professional digital competence: An overview of conceptualisations in the literature, Cogent Education, 9(1), 1-23. 미소장
43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e at Work: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MA:John Wiley & Sons, Inc. 미소장
44 UNESCO (2018). UNESCO ICT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UNESCO. 미소장
45 Vuorikari Rina, R., Kluzer, S., & Punie, Y. (2022). DigComp 2.2: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with new exampl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JRC Science for Policy Report. Luxembour: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미소장
46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미소장
47 Zhao, Y., Llorente, A. M. P., & Gómez, M. C. S. (2021). Digital competence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omputers & Education, 168. https://doi.org/10.1016/j.compedu.2021.1042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