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한글학자 신명균이 『신소년』에 발표한 역사 ‧ 과학 이야기의 제재, 구성, 담화방식을 분석하여 그의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제재는 시의성 있게 채택하였다. 역사 이야기는 주로 나라가 어지러울 때 지조와 절개를 지킨 역사적 인물을, 과학 이야기는 잡지가 발간되는 때의 자연 현상과 근대적 지식 형성에 이바지하는 것을 제재로 삼았다. 구성은 주로 설명 대상의 핵심 정보에 관련 일화를 삽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역사 이야기는 주로 인물의 어린 시절 일화를, 과학 이야기는 설명 대상과 관련된 다른 나라 일화를 소개하였다. 담화 방식은 계몽적 목소리와 근대적 문체의 특징을 보인다. 공통적으로 작자 서술자의 권위적 목소리로 경어체를 사용하여 구연체 서술을 하고 근대적 문체를 사용한다. 한자를 거의 쓰지 않고, 띄어쓰기를 비교적 일관되게 하며 입말을 살려 쓴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현대 학습동화에서 주로 쓰이는 방식이지만, 당시에는 새로 개척되는 방식으로서 다른 작가들의 서술 방식과 차이가 있다.

요컨대 신명균의 어린이를 위한 역사 ‧ 과학 이야기는 어린이 초점의 근대적 교술 이야기로서 그 선구적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신명균의 문학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이자, 한국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의 기원을 밝히는 창의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토지』와 '신체화된 마음' = Toji and the “Embodied Mind” : Part 1 as ‘Text-Locality’ : 텍스트-로컬리티로서 1부 채예람 p. 7-39

박경리 『토지』에 재현된 언어와 권력 = Language and power in Park, Kyung-ri’s Land : focusing on the use of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al : 표준어와 방언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고석주, 정예은 p. 41-86

『토지』에 나타난 동학과 지리산 모임의 성격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Donghak and Jirisan group appearing in Toji 박상민 p. 87-121

박경리문학상을 통해 본 비서구권 세계문학상이라는 실천 = The practice of the non-western world literature award through the Park Kyong-ni Literature Award 김성연, 권기연 p. 123-162

한글학자 신명균의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for children of Shin Myung–kyun, Han–gul scholar : focusing on historical and scientific stories : 역사·과학 이야기를 중심으로 최배은 p. 165-193

아동문학과 일하는 아이 = Children’s poetry and working children in the pre-liberation period : 해방 전 동시(童詩)를 중심으로 김영주 p. 195-230

풍자 이전의 전영경 = Before ‘Satire poem’ period of Jeon Yeong-gyeong : a study of Jeon Young-gyeong’s early poetry : focusing on the poetry collection “Prehistoric Age” : 전영경 초기 시 연구 : 시집 『선사시대』를 중심으로 김륭 p. 231-269

유일사상체계의 '서곡' = ‘Prelude’ to the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 focusing on the plenary ses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in the Congress of Josun Writers in the late 1950s : 1950년대 후반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중심으로 남원진 p. 271-312

베트남전쟁과 영웅 만들기 = Vietnam War and hero-making : mythologization of Kang Jae-gu and its significance : 강재구의 신화화 과정과 그 의미 박선영 p. 313-359

거부와 기피 사이, 비(非)군인의 장소 = Between rejection and evasion, the place of the non-soldier : centered on the 1970s Song Young novel : 1970년대 송영 소설을 중심으로 허윤 p. 361-390

'해녀의 부엌'과 '서비스'라는 정동 경제 = Haenyeo’s Kitchen and the affective economy of “service” 권두현 p. 391-438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신소년』 미소장
2 『어린이』 미소장
3 구자황 ‧ 문혜윤 편, 새벗사 편집, 『어린이독본』, 경진출판사, 2009. 미소장
4 원종찬, 『한국아동문학총서6~10 신소년1~5』, 역락, 2010. 미소장
5 공임순, 『식민지 시기 야담의 오락성과 프로파간다』, 앨피, 2013. 미소장
6 구자황,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3)-1930년대 독본의 교섭과 전변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9, 2007, 5-32쪽. 미소장
7 김단아, 「역사동화에서의 팩션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8 김봉국, 「과학교육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육 방안」, 『새국어교육』 116,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61-84쪽. 미소장
9 김선영, 「근대 동화 문체 형성 과정 연구: 종결어미 ‘했습니다’의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미소장
10 김영순, 『문화산업과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한국문화사, 2008. 미소장
11 박용규, 「일제시대 한글운동에서의 신명균의 위상」, 『민족문학사연구』 38, 민족문학사학회, 2008, 365-394쪽. 미소장
12 박진,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소명출판, 2014. 미소장
13 안재원, 「인물과 전기-전기학(Biographia)과 성인학(Hagiographia)」, 『연보와 평전』 5,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2010, 23-34쪽. 미소장
14 염희경,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경진출판, 2014. 미소장
15 오길주, 『옛이야기와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제이앤씨, 2008. 미소장
16 오현숙, 「1920년대 아동문학의 독자와 텍스트 미학 연구 – 『어린이』 잡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48, 한민족문화학회, 2014, 7-33쪽. 미소장
17 원종찬, 「『신소년』과 조선어학회」,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5,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4, 107-140쪽. 미소장
18 장수경, 「1920년대 아동문학에서 “-습니다”체의 형성과 구술성」, 『비교한국학』 15(2), 국제비교한국학회, 2007, 47-70쪽. 미소장
19 정다연, 「『별건곤』 소재 차상찬 역사 서술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20 최배은, 「신명균의 글쓰기와 국문의 현대화 – 한글 표기와 문체를 중심으로」, 『우리말글』 제81집, 우리말글학회, 2019, 81-108쪽. 미소장
21 최배은, 「차상찬의 ‘어린이 역사 이야기’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27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0, 229-254쪽. 미소장
22 최시한,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문학과지성사, 2015. 미소장
23 최시한, 『콘텐츠 창작과 스토리텔링 교육』, 문학과지성사, 2020 미소장
24 한정영, 『어린이 논픽션 작가 수업』, 미래문화사, 2019. 미소장
25 마이클J. 툴란, 『서사론』, 김병욱‧오연희 공역, 형설출판사, 1995. 미소장
26 웨인 C.부스, 『소설의 수사학』, 최상규 옮김, 예림기획, 1999. 미소장
27 S.리몬 케넌, 『소설의 현대 시학』, 최상규 옮김, 예림기획, 199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