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울굿 말명 신격의 연구 = A study on the divine character of Seoulgut's Malmyeong :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through "family-ancestors" : '가족-조상'으로의 소통과 연결을 중심으로 이은우 p. 7-55

을 예증 삼아"> 《어우야담》 인어이야기의 TV프로그램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mermaid story on TV programs in "Eouyadam" : using the drama "Legend of the Blue Sea" as an example : 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을 예증 삼아 김채리 p. 57-88
여성시와 몸의 장소화 = Feminine poetry and 'making the body a place' : focusing on the poems of Na Hee-deok and Kim Seon-woo : 나희덕, 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심재휘 p. 89-120

황순원 소설의 설화성과 월남민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Hwang Soon-won's novel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refugee : focusing on 「Earth Rumble」 : 「땅울림」을 중심으로 방금단 p. 121-146
김중미 소설, 소통과 공감의 서사 = A study on communication and empathy in Kim Joong-mi's Novel : focusing on "The children lived in Gweonguiburi town" and "Being by your side" : 『괭이부리말 아이들』과 『곁에 있다는 것』을 중심으로 장수경 p. 147-173
부사 파생 접미사 '-이', '-히'에 대한 공시적 기술 = Synchronic description of adverbial derivative suffixes '-이(i)', '-히(hi)' 김준수 p. 175-201
융·복합적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한 외국인 학부생용 글쓰기 교재 분석 연구 = An analysis study of writing textbooks for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inconvergent thinking college writing education 류선숙 p. 203-236
상호문화적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한국 문학 번역 과제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tasks for intercultural Korean reading education 장미경 p. 237-266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정구, 「대학 교양교육에서 창의‧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적 글쓰기 수업 설계」, 문화와 융합42(8),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8, 349-372쪽. 미소장
2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2009(20),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9, 23-44쪽. 미소장
3 김정숙,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법론」, 한국어 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8.4, 95-112쪽. 미소장
4 김지영‧김정숙,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쓰기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쓰기 교재 개발 원리에 의한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58, 이중언어학회, 2015.3, 1-31쪽. 미소장
5 김춘규,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8(6),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12, 375-400쪽. 미소장
6 손다정‧정다운,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분석 -보고서 쓰기를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56,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2, 121-153쪽. 미소장
7 손자영, 「융합적 사고와 교양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우리말글 81, 우리말글학회, 2019.6, 109-139쪽. 미소장
8 안정호 외, 「외국인 학부생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학문적 토론 수업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6(3),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12, 151-166쪽. 미소장
9 양태영,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리터러시 연구 14(2), 한국리터러시학회, 2023.4, 307-336쪽. 미소장
10 양태영‧정서영, 「학문 목적 유학생의 대학 수강 능력 강화를 위한 <유학생의 대학 생활을 위한 글쓰기 기초> 교재 개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5, 518-531쪽. 미소장
11 양태영‧정서영,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정 글쓰기 교재 개발 및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7, 435-458쪽. 미소장
12 원만희, 「융복합 시대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대학작문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2015(10), 한국리터러시학회, 2015.10, 9-25쪽. 미소장
13 이금희,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 반교어문연구 33, 반교어문학회, 2012.12, 191-224쪽. 미소장
14 이경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창의적 사고 능력 계발’의 측면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20,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6, 49-85쪽. 미소장
15 이유경 외,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육 27(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12, 155-188쪽. 미소장
16 장미정 외, 「외국인 학부생 대상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어문논집 96, 민족어문학회, 2022.12, 281-314쪽. 미소장
17 장채린 한국인 대학생 대상 교재와의 비교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술 , 「글쓰기 교재 분석 - 학업 기술과 교육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3(2),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4, 315-338쪽. 미소장
18 정희모,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리터러시 연구 1,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11, 41-68쪽. 미소장
19 조민정외, 「외국인유학생을위한대학글쓰기교재편찬방안연구-학습자의요구조사를 토대로」, 문법교육 18,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4, 209-240쪽. 미소장
20 최성민, 「융합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우리말연구 46, 우리말학회, 2016.7, 1-22쪽. 미소장
21 최은지, 『한국어 쓰기 교육론』, 하우, 2019. 미소장
22 최준호, 「이공계 글쓰기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특화된 글쓰기에서 융합적 기초 글쓰기로 전환-」, 문화와융합 44(12),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12, 9-22쪽. 미소장
23 한승우‧김보영,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글쓰기 교재 개발 연구 - 『외국인을위한 대학 글쓰기』(2021)의 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81, 한민족문화학회, 2023.8, 239-264쪽. 미소장
24 Jordan, 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ce Book for Teachers, Campridge University Press. 1997. 미소장
25 Nunan, D., Communicative Syllabus Design. Campridge University Press. 1988.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