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정구, 「대학 교양교육에서 창의‧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적 글쓰기 수업 설계」, 문화와 융합42(8),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8, 349-372쪽. | 미소장 |
2 | 김정숙,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한국어 교육 2009(20),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9, 23-44쪽. | 미소장 |
3 | 김정숙,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법론」, 한국어 교육 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98.4, 95-112쪽. | 미소장 |
4 | 김지영‧김정숙,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쓰기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쓰기 교재 개발 원리에 의한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58, 이중언어학회, 2015.3, 1-31쪽. | 미소장 |
5 | 김춘규, 「융합적 사고에 기반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8(6),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12, 375-400쪽. | 미소장 |
6 | 손다정‧정다운,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분석 -보고서 쓰기를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Culture 56,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2, 121-153쪽. | 미소장 |
7 | 손자영, 「융합적 사고와 교양 글쓰기 수업 모형 연구」, 우리말글 81, 우리말글학회, 2019.6, 109-139쪽. | 미소장 |
8 | 안정호 외, 「외국인 학부생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학문적 토론 수업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16(3),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12, 151-166쪽. | 미소장 |
9 | 양태영, 「사고력의 측면에서 본 보고서 쓰기 교재 분석」, 리터러시 연구 14(2), 한국리터러시학회, 2023.4, 307-336쪽. | 미소장 |
10 | 양태영‧정서영, 「학문 목적 유학생의 대학 수강 능력 강화를 위한 <유학생의 대학 생활을 위한 글쓰기 기초> 교재 개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5, 518-531쪽. | 미소장 |
11 | 양태영‧정서영,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정 글쓰기 교재 개발 및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7, 435-458쪽. | 미소장 |
12 | 원만희, 「융복합 시대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대학작문학회 전국학술대회 자료집 2015(10), 한국리터러시학회, 2015.10, 9-25쪽. | 미소장 |
13 | 이금희, 「학문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교수요목과 교재 개발 방향」, 반교어문연구 33, 반교어문학회, 2012.12, 191-224쪽. | 미소장 |
14 | 이경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창의적 사고 능력 계발’의 측면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20,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6, 49-85쪽. | 미소장 |
15 | 이유경 외,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육 27(4),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12, 155-188쪽. | 미소장 |
16 | 장미정 외, 「외국인 학부생 대상 한국어 수준별 글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어문논집 96, 민족어문학회, 2022.12, 281-314쪽. | 미소장 |
17 | 장채린 한국인 대학생 대상 교재와의 비교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술 , 「글쓰기 교재 분석 - 학업 기술과 교육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3(2),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4, 315-338쪽. | 미소장 |
18 | 정희모,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리터러시 연구 1,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11, 41-68쪽. | 미소장 |
19 | 조민정외, 「외국인유학생을위한대학글쓰기교재편찬방안연구-학습자의요구조사를 토대로」, 문법교육 18,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4, 209-240쪽. | 미소장 |
20 | 최성민, 「융합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우리말연구 46, 우리말학회, 2016.7, 1-22쪽. | 미소장 |
21 | 최은지, 『한국어 쓰기 교육론』, 하우, 2019. | 미소장 |
22 | 최준호, 「이공계 글쓰기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특화된 글쓰기에서 융합적 기초 글쓰기로 전환-」, 문화와융합 44(12),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12, 9-22쪽. | 미소장 |
23 | 한승우‧김보영, 「유학생을 위한 대학 교양 글쓰기 교재 개발 연구 - 『외국인을위한 대학 글쓰기』(2021)의 편찬 사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81, 한민족문화학회, 2023.8, 239-264쪽. | 미소장 |
24 | Jordan, 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A Guide and Resource Book for Teachers, Campridge University Press. 1997. | 미소장 |
25 | Nunan, D., Communicative Syllabus Design. Campridge University Press. 1988.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