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대한민국은 2022년 12월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및 각론) 내용중 사회 - 세계사 부분’ 142페이지가) 성격에서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세계사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고, 나) 목표에서 ‘세계사’는 세계 여러지역의 역사를 주제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인류의 발자취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에서 핵심 아이디어로 “이슬람 세계의 확대”가 나온다. 결과적으로 종교를 다루는 세계사 교과서의 3단원에는 평균 18페이지의 이슬람 내용이 기술되어 있고 기독교는 천주교를 포함하여 2 페이지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교역망의 확대 단원에서도 이슬람 세계의 교역부분이 부각되고 있고, 국민 국가의 형성 단원에서도 무굴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부각되면서 튀르키예(터키) 국가 이야기가 부각되어 나온다. 심지어 ‘국민 국가 건설 운동’ 내용 중에는 이슬람 원리주의 ‘와하브운동 (와하비즘)’이 국민 국가 건설 운동으로 미화되어 기술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발맞추어 역사교육을 통한 세계관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공교육 현장에서 이슬람 편향적 세계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다음세대 복음화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대한민국의 복음화를 위한 선교학적 측면에서 주목해야 할 상황이라고 생각된다.

현 세계사 교과서는 이슬람 편향성과는 상대적으로 기독교가 배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비판하고 한국 사회에 상황화 할 수 있도록 소통하게 하려면 기독교의 핵심 역사들도 이슬람과 더불어 균형적으로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는 나아가서 로잔운동이 지향하고 있는 다음세대 선교리더 세우기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타종교인들에 대한 성경적 관점으로 이슬람교에 대하여 아량이 넓은 사람이 아니라 분별하는 사람으로 다음세대를 교육해야하는 사명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과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타종교의 이웃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무조건적인 관용과 무비판적인 포용이 아닌 확실한 진리의 확신에 근거하여 담대하게 복음을 증거 할 수 있는 다음세대로 교육해야하는 것이다. 이것이 대한민국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세계사 교과서 제4차 개정(1982년 적용)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이슬람 종교 편향성 변화 분석 = Analysis on the changes in religious inclination towards Islam, shown in educational curriculum of 2015 since the 4th amendment for world history text book (effective in 1982) 김성옥 p. 11-38

회개운동으로서의 로잔운동 = The Lausanne movement as a repentance movement 박형진 p. 39-84

빌립의 사마리아 복음전도와 선교신학적 의의 = Philip's evangelism in Samaria and its significance in mission theology : focused on Acts 8 : 4-25 : 행 8:4-25을 중심으로 배춘섭 p. 85-123

대한민국 다음세대 복음화를 위한 로잔운동과 대한민국 세계사 교과서 = The Lausanne movement for the evangelization of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and world history textbooks in Korea 소윤정 p. 125-160

동인도 회사 특허법 개정이 인도선교에 미친 영향 = The impact of the revision of the Charter Act 1813 on mission in India 유경하 p. 161-191

국내 무슬림 유학생 선교전략 = Mission strategy for muslim students in Korea 정혜원 p. 193-225

남아프리카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형성과 인종차별 극복의 화해신학 = Reconciliation theology for overcoming racism and the formation of apartheid in South Africa 최준호 p. 227-257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용찬. “영국과 프랑스 이주민의 정치적 권리에 관한 연구”. 「한국정당학회보」 10/1 (통권 18호) (2011): 201-230. 미소장
2 박 단. 『프랑스 공화국과 이방인들』.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3. 미소장
3 소윤정. “로잔운동과 이슬람상황화 : 위클리프(Wycliffe) 성경번역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복음과 선교」 31(2015): 167-205. 미소장
4 양경규. 『이슬람주의 와하비즘에서 탈레반까지』. 서울: 벽너머, 2022. 미소장
5 장정아. “다문화주의의 현실적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 - 다문화시대의 새로운 도덕 원리탐색”. 「보윤리교육연구」 66(2022): 343-367. 미소장
6 장훈태. “세계관 이해”. 『선교와 문화인류학』.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편. 서울: CLC, 2022. 미소장
7 전호진. “종교와 문화인류학”. 『선교와 문화인류학』.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편. 서울: CLC, 2022. 미소장
8 최영길. 『성 꾸란 의미의 한국어 번역』. 파하드 국왕 꾸란 출판청, 1999. 미소장
9 Haarscher. Guy. La Laicite, Que sais-Je? N.3129. Paris: PUF, 2004. 미소장
10 Maurice Andre et. Edmond Finck et al, Histoiren de la laicite. Paris: Editions PEMF, 1999. 미소장
11 P. McLaren. “White Terror and Oppositional Toward a Critical Multiculturalism.” David Theo Goldberg (ed), Multiculturalism: A Critical Reader. Oxford: Blackwell Press, 1994. 미소장
12 Spencer, Robert. The Politically Incorrect Guide to Islam (And The Crusades). Washington : Regnery Publishing, 2005. 미소장
13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141&lev=0&statusYN=W&s=moe&m=0404&opType=N&boardSeq=93512, [고시문]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고시문(교육부고시 제2022-35호), 2023년 2월 20일 접속. 미소장
14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57468, (고등교과서사회문화) ‘문화상대주의’,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15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65465, (중등교과서 사회문화) ‘문화상대주의’,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16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v160ha820a22, 다음백과,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17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611342&supid=kku010482122,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18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1&tblId=DT_1B040A5A&vw_cd=MT_ZTITLE&list_id=A8&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KOSIS 국가통계포털, 시군구별 및 국적(지역)별 등록외국인 현황, 2023년 2월 20일 접속. 미소장
19 https://lausanne.org/ko/content-ko/ctc-ko/ctcommitment-ko#p2-1, 케이프타운 서약 신앙고백과 행동, 2023년 5월 12일 접속. 미소장
20 https://lausanne.org/content/lga/2015-11/lausannes-renewed-engagement-in-global-mission, LAUSANNE’S RENEWED ENGAGEMENT IN GLOBAL MISSION, 2023년 5월 12일 접속. 미소장
21 http://www.lausanne.org/content/communication-and-contextualisation, 2015년 8월 20일 접속. 미소장
22 http://www.lausanne.org/ko/korean/1873-ctcommitment.html, 2014년 8월 22일 접속. 미소장
23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84403&plink=ORI&cooper=DAUM&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SBS뉴스, 2023년 2월 16일자, “자살폭탄 테러단체 KTJ에 ‘암호화폐’로 자금 지원한 이들, 왜?”,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24 https://www.news1.kr/articles/?4956404, 뉴스1 2023년 2월 17일 보도, “풀리지 않는 대구 이슬람사원 갈등… 건축 지지 단체 구청이 갈등 키워”,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25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315014024&wlog_tag3=daum, 서울신문 2021년 3월 15일자, “아시아도 ‘부르카 금지법’… 스리랑카 ‘안보 악영향’, 2023년 2월 21일 접속. 미소장
26 https://www.yna.co.kr/view/AKR20221031034900530?input=1179m, 연합뉴스 2022년 10월 31일 기사, “국내 거주 외국인 수 2년 연속 감소… 한국국적 취득자는 늘어”, 2023년 2월 20일 접속.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