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스웨덴은 NHS(National Health Service) 유형의 의료보장체계를 가진 대표적 나라의 하나였으나, 1990년대 이후 의료 시장화 정책을 추진하여 의료보장체계의 성격이 크게 변화했다. 진료선택제도(vårdval) 도입은 시장주의적 의료 개혁의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는데, 이 제도는 환자가 의료기관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등록하게 하고, 의료기관별 등록환자 수에 따라 광역지자체가 의료기관에 의료비를 보상해주는 제도다. 2007년부터 일부 광역지자체가 이 제도를 도입했고 2010년부터는 일차의료 영역에서 모든 광역지자체가 이 제도를 의무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진료선택제도의 성과로는 환자의 권리 신장, 환자의 요구에 대한 의료기관의 민감성 제고, 일차의료기관의 수 증가, 의료공급자의 다양성 증가를 들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인구밀집지역과 인구희소지역 간에, 그리고 경증환자와 중증환자 간에 의료접근성 격차가 벌어지고, 복합적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 대한 통합적 진료가 어려워진 점을 들 수 있다. 제도 도입 이후 의료의 객관적 필요가 큰 사람들의 처지가 악화되었다는 점에서 스웨덴 의료의 전통적 가치인 의료 평등주의를 훼손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오게 된 핵심 원인으로는, 환자가 의료기관을 선택하도록 한다는 제도 취지와는 달리,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제로는 의료공급자가 환자를 선택하는 측면이 강했다는 점, 그리고 이 제도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모든 의료공급자에 대한 동등대우 원칙으로 인해 의료낙후지역의 의료기관들에 대한 선별적 지원이 어려워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신정완(2022). “스웨덴에서 민간의료보험의 확산이 의료보장체계에 미치는영향”.” 『스칸디나비아 연구』, 25, 141-176. 미소장
2 Anell, A., Nylinder, P., Glenngård, A. H. (2012). Vårdval i primärvården:jämförelse av uppdrag, ersättningsprinciper och kostandsansvar (일차의료에서 진료선택제도: 과제, 보상원칙 그리고 비용책임). Stockholm:Sveriges Kommuner och Landsting. 미소장
3 Boström, L. (2013). Vårdval i glesbygd: Hur säkras jämlikheten? (벽촌 지역에서의 진료선택제도: 평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 웁살라대학교(Uppsala Universitet)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Buström, B. et al. (2017). Equity aspects of the primary health care choice reform in Sweden: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6, article number 29, 1-10. 미소장
5 Dietrichson, J., Ellegård, L. M., & Kjellsson, G. (2020). Patient choice, entry, and the quality of primary care: Evidence from Swedish reforms. Health Economics, 29, 716-730. 미소장
6 E-hälsomyndigheten. (2023). Nationell Listningstjänst i Statlig Regi: Slutrapport (국가 관리 국민 등록서비스: 최종보고서). Stockholm: E-hälsomyndigheten. 미소장
7 Fredriksson, M. (2012). Between Equity and Local Autonomy: A Governance Dilemma in Swedish Health Care. 웁살라대학교(Uppsala Universitet)의학 박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8 Fredriksson, M. (2013). Is patient choice democratizing Swedish primary care? Health Policy, 111, 95-98. 미소장
9 Fredriksson, M., & Isaksson, D. (2022). Fifteen years with patient choice and free establishment in Swedish primary healthcare: What we do know? Scandinavian Public Health, 50, 852-863. 미소장
10 Hart, J. T. (1971). The inverse care law. The Lancet, 297(7696), 405-412. 미소장
11 Hood, C. (1991).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Public Administration, 69, 3-19. 미소장
12 Hälso-och sjukvårdslag (보건의료법). (1982: 763). 미소장
13 Konkurrensverket Rapport 2010: 3. Uppföljning av vårdval i primärvården (일차의료에서의 진료선택제도 추적조사). Stockholm: Konkurrensverket. 미소장
14 Konkurrensverket Rapport 2012: 2. Val av vårdcentral (일차의료센터의 선택). Stockholm: Konkurrensverket. 미소장
15 Konkurrensverket Rapport 2014: 2. Etablering och konkurrens bland vårdcentraler (일차의료센터들의 설립과 경쟁). Stockholm:Konkurrensverket. 미소장
16 Kullberg, L., Blomqvist, P., & Windblad, U. (2018). Market-orienting reforms in rural health care in Sweden: How can equity in access be preserved?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7, article number 123, 1-14. 미소장
17 Lag (2008: 962) om valfrihetssystem (선택의 자유 시스템 법). 미소장
18 Lapidus, J. (2019). The Quest for a Divided Welfare Sate: Sweden in the Era of Privatization. Cham, Switzerlad: Palgrave Macmillan. 미소장
19 Le Grand, J. (2009). Choice and competition in publicly funded health care. Health Economics, Policy and Law, 4, 479-488. 미소장
20 Maun, A. et al. (2013) Primary healthcare in transition: A qualitative study of how managers perceived a system change. BMC Health Service Research, 13, article number 382, 1-9. 미소장
21 Molander, P. (2017). Dags för Omprövning: En ESO-rapport om Styrning av Offentlig Verksamhet (재검토가 필요한 시간: 공공부문 활동의 관리에관한 ESO 보고서). Stockholm: Finansdepartementet. 미소장
22 Regeringens proposition 2008/09: 74, Vårdval i primärvården (2008/09년 의회회기 정부 입법안 74호, 일차의료에서의 진료선택제도). 미소장
23 RiR 2014: 22. Primärvårdens styrning: efter behov eller efterfrågan? (일차의료의 관리: 필요에 따라, 아니면 수요에 따라?). Stockholm: Riksrevisionen. 미소장
24 SOU 2008: 37. Vårdval i Sverige (스웨덴에서 진료선택제도). Stockholm:Statens Offentliga Utreding. 미소장
25 SOU 2016: 78. Ordning och reda i välfärden (복지에서의 질서와 정돈). Stockholm: Statens Offentliga Utreding. 미소장
26 SOU 2019: 42. Digifysisk vårdval: Tillgänglig primärvård baserad på behov och kontinuitet (디지털-물리적 진료선택: 필요와 연속성에 입각한, 접근성 있는 일차의료). Stockholm: Statens Offentliga Utreding. 미소장
27 Sveriges Kommuner och Regioner. (2022). Ersättningsmodeller i primärvården, Delrapport 1: en nulägebeskrivning av ersättningsmodeller och andra ekonomiska villkor inom svensk primärvård 2021 (일차의료에서 보상모델들, 부분 보고서 1: 2021년 스웨덴 일차의료에서 보상모델과 여타경제적 조건의 현재상태 서술). Stockholm: Sveriges Kommuner och Regioner. 미소장
28 Vårdanalys PM 2017: 5. Primärvården i belysning: jämförelse mellan landsting och regioner 2011-2015 (일차의료 조명: 2011-2015년 기간에 란드스팅과 레기온들 간의 비교).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29 Vårdanalys Rapport 2012: 2. Effekter av valfrihet inom hälso-och sjukvård (보건의료에서 선택의 자유의 효과).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30 Vårdanalys Rapport 2013: 1. Vem har vårdvalet gynnat? (진료선택제도는 누구에게 이익을 주었나?).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31 Vårdanalys Rapport 2013: 4. Vad vill patienten veta för att välja (선택을 위해환자들이 알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32 Vårdanalys Rapport 2014: 3. Låt den rätte komma in (올바른 사람이 들어오도록 하라).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33 Vårdanalys Rapport 2015: 6. Vårdval och jämlik vård inom primärvården (일차의료에서 진료선택제도와 평등한 진료).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34 Vårdanalys Rapport 2017: 6. Löftesfri garanti? (약속 없는 보장?). Stockholm: Myndighet för vård-och omsorgsanalys. 미소장
35 WHO. (1996). Health Care Systems in Transition: Sweden.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