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Jockers, M. L. 2013. Macroanalysis: Digital Methods and Literary Histor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미소장 |
2 | Kang, Beommo 강범모. 2008. Ene kiswulul wihan khophesuuy kwuchwukkwa pinto (thongkyey) hwalyong 언어 기술을 위한 코퍼스의 구축과 빈도(통계) 활용 [Building Corpora and Making Use of Frequency (Statistics) for Linguistic Descriptions]. Journal of Korealex 12. 7-40.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xicography (Korealex). | 미소장 |
3 | Khakimov, B., Salimov, F., & Ramazanova, D. 2015. Building dialectological corpora for Turkic languages: Mishar dialect of Tatar,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98, 218-225, Amsterdam: Elsevier. | 미소장 |
4 | Kim, Doohyun 김두현. 2008. Manmwunwentangkwa ipkwancen chengsayenkwu ≪滿文原檔≫과 入關前 淸史硏究 [“Man-wen yuan-dang” and the History of Early Qing]. Journal of Ming-Qing Historical Studies 30. 259-286. The Society For MingQing Historical Studies. | 미소장 |
5 | Kim, Juwon et al. (trans.) 김주원 외 역주. 2019. Manmwunnotang: thayco 1, 2 만문노당: 태조 1, 2 [The chronicles of early Qing dynasty: Taidzu 1, 2]. Seoul: SNU Press. | 미소장 |
6 | Kim, Juwon 김주원. 2008. Althaieneuy saylowun yenkwu panghyangey tayhaye 알타이언어의 새로운 연구 방향에 대하여 [A New Direction of Research on Altaic Languages]. Hangeul 282. 343-367. Hangeul Hakho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 미소장 |
7 | Lee, Taehun & Yookyung Jeong (eds.) 이태훈 ·정유경 엮음. 2020. Ticithel inmwunhakkwa kuntayhankwukhak: ticitheluy nwunulo hankwukhakul ilkta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 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 [Digital humanities and morden Korean studies: Methods of Korean studies in the digital age]. Seoul: Somyong Publishing. | 미소장 |
8 | Norman, Jerry. 2013. A Comprehensive Manchu-English Dictionary. Cambridge and London: Havard University. | 미소장 |
9 | Seong, Baegin 성백인. 1978. Manmwun mwukwencem sipicatwu yenkwu 만문 무권점 십이자두 연구 [A study of the 12 initials without dots and circles in the Manchu script]. Language 말 3. 97-134. Seoul: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 | 미소장 |
10 | Yan, Chongnian 閻崇年. 1998. Lun Manzhou laodang 論 ≪滿洲老檔≫ [Discussion of Manzhou laodang]. Manchu studies 滿學硏究 4. 1-84. Manchu institute 滿學硏究所in Beijing academy of social sciences. | 미소장 |
11 | You, Hyun-Jo. 2014. A Manchu speller: With a practical introduction to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f minority languages. Altai Hakpo 24. 39-67. The Altaic Society of Kore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