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新羅 次妃의 실체와 파국의 庶子王 = Appearance of a concubine-born King in anarchy 徐榮敎 p. 1-27
金庾信 說話의 敍事와 三韓一統意識 = The narrative and the notion of “Three Han units being one” of Kim Yu Shin's tales 尹京鎭 p. 29-61
고려 전·중기 外官의 京官 兼帶 = Gyeonggwan Gyeomdae of local administrators in the early and the middle periods of Goryeo 孫榮得 p. 63-96
조선후기 국왕 국장에 弔問 온 청 사신의 설행 의례와 의례 공간 = Qing emissaries who came to Joseon to pay condolence for the death of the Joseon k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period : protocols observed, and places for those protocols 李賢珍 p. 97-129

朴殷植 『韓國痛史』의 새로운 이해 맥락 = New historical understanding of Park Eunsik[朴殷植]’s Hanguktongsa[韓國痛史] : focusing on the transnational and transtemporal context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 공간적 복합성과 시간적 복합성 盧官汎 p. 131-156
노론사대신의 유배 한시 연구 = A study on the exile poetry written by the four vassals of the Noron faction 金德秀 p. 157-190
한국어 비음 체계의 언어 유형론적 고찰 = Phonological typology of Korean nasal consonants 李珍昊 p. 191-222

『시골말 캐기 잡책(方言 採集 手帖)』의 체재와 내용 체계 = Format and content system of Sigolmal Kaegi Japchaek(시골말 캐기 잡책) : contrast with Ganyakbangeonsucheop(簡約方言手帖) : 『簡約方言手帖』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郭忠求 p. 223-252
선후대 문헌과의 비교를 통한 『훈몽자회』의 형성과 영향 = Studying the compilation and influence of Hunmongjahoe in comparison with precedent and descendant literature 沈慶昊 p. 255-285
崔世珍의 家系와 生涯 = Life and lineage of Choe Sejin 黃善燁 p. 287-319
『훈몽자회(訓蒙字會)』 수록 자종의 특성과 교육적 맥락을 중심으로 = Analysis Han-characters usage in HunMongJaHoe(訓蒙字會) 許喆 p. 321-346

문자론, 표기법 연구 자료로서의 『훈몽자회』의 이해 = Understanding of Hun-mong-ja-hoe as a research material for character theory and notation 金裕範 p. 347-366
『訓蒙字會』의 판본과 正音 = Block book and Jeong-eum(正音) of Hunmong-jahoi : around contrast between rhyme dictionary and Chinese study book in early Joseon Dynasty : 조선 전기 운서 및 한학서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朴哲珉 p. 367-413
『訓蒙字會』의 시대 = The era of 『Hunmongjahoe』 : social reform from above and a beckoning towards Chinese culture : 위로부터의 사회 更張 및 상호 문물을 향한 손짓 申東勳 p. 415-439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影印新增類合』,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1972. 미소장
2 『訓蒙字會』, 1985년 태학사 영인. 미소장
3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제공 DB. 미소장
4 丁若鏞, 『與猶堂全書』, 다산학술재단 편찬 정본,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DB. 미소장
5 金宗澤, 宋昌善, 「『천자문』, 『유합』, 『훈몽자회』의 어휘분류 체계 대비」, 『어문학』 52, 한국어문학회, 1991.3, pp.159-192. 미소장
6 金鎭奎, 『訓蒙字會의 同訓語硏究: 下卷을 中心으로』, 仁荷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9. 미소장
7 南基卓, 『訓蒙字會 身體部 字訓 硏究』, 中央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88. 미소장
8 박금자, 「分類 解釋 학습서로서의 訓蒙字會: 훈몽자회의 의미론적 어휘 분류와 의미 해석」, 『國語學』 26, 國語學會, 1995. 미소장
9 박형익, 『한국의 사전과 사전학』, 월인, 2006. 2. 미소장
10 심경호, 「정본 여유당전서 잡찬집 해제」, 『정본 여유당전서』 제3책 잡찬집, 다산학술재단, 2012. 미소장
11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제1책, 태학사, 2012(수정본). 미소장
12 심경호, 「고전문학 발전의 실상과 연구 과제 : 운어(韻語)의 발달에 대한 일고찰」, 『국어국문학』 185, 국어국문학회, 2018.12, pp.5-36. 미소장
13 심경호,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일조각, 2021, pp.733-734. 미소장
14 安秉禧, 「『新增類合』解題」, 檀國大學校東洋學硏究所, 『影印新增類合』, 1972. 미소장
15 安秉禧, 「최세진의 생애와 연보 - 그의 지석 발견을 계기로 하여-」, 『규장각』 2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장각), 1999.12, pp.49-67. 미소장
16 양효성 편역, 『史游 급취장』, 박이정, 2008. 미소장
17 오완규, 『천자문ㆍ훈몽자회ㆍ신증유합 字釋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8 李基文, 「訓蒙字會 小考」, 『語文硏究』 27-4,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99. 미소장
19 李敦柱, 「漢字 意味의 辨別性과 國語 字釋의 問題 : 訓蒙字會의 釋과 下註를 중심으로」, 『葛雲文璇奎博士華甲紀念論文集』, 葛雲文璇奎博士華甲紀念論文集刊行委員會, 1985. 미소장
20 李敦柱, 「訓蒙字會의 編成에 대한 再檢討」, 『國語學論叢(羨烏堂金炯基先生八耋紀念)』, 創學社, 1985. 미소장
21 李敦柱, 「訓蒙字會의 諧韻作書에 대하여」, 『歷史言語學(金芳漢先生回甲紀念論文集)』, 전예원, 1985. 미소장
22 李敦柱, 『훈몽자회 한자음 연구』, 홍문각, 1990. 미소장
23 李相度, 「訓蒙字會 編纂動機와 特徵」, 『中國學硏究』 7, 中國學硏究會, 1992. 미소장
24 이준환, 「『훈몽자회』의 訓에 실린 한자음 고찰」, 『대동문화연구』 10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pp.195-227. 미소장
25 住吉朋彦, 「五山版『三註』考」, 佐藤道生․高田信敬․中川博夫(編), 『これからの国文学研究のために』, 笠間書院, 2014, pp.302-332 미소장
26 张 健, 「从 《学吟珍珠囊》 到 《诗学大成》 《圆机活法》--对一类诗学启蒙书籍源流的考察」, 『文學遺産 WenXue Yi Chan/Literary Heritage , 2016-3, 74-103. 미소장
27 錢茂偉, 「韓國藏本『三字經』研究」, 『文獻』, 2009年 第4期. 미소장